• 제목/요약/키워드: 패치 이상점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공간통계분석에서 이상점 수정을 위한 방법비교

  • 이진희;신기일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5-280
    • /
    • 2003
  • 공간 자료에서 이상점이 존재할 경우 변이도(Variogram)를 추정함에 있어 그 효과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로버스트(robust) 변이도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상점이 존재하는 자료분석에서 로버스트 변이도를 사용하기에 앞서 이상점을 수정한 자료를 사용하였을 경우 그 효율성 또한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점이 존재하는 자료를 분석함에 있어 기존의 이상점 수정법 및 새로운 이상점 수정법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 PDF

일반화된 보안패치 분배 및 관리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the Normalized Secure Patch Distribution & Management System)

  • 이상원;김윤주;손태식;문종섭;서정택;이은영;이도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502-504
    • /
    • 2004
  • 해마다 보고되는 보안 취약점은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안패치 역시 릴리즈 되는 시간 간격이 짧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보안패치 분배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동화된 보안패치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한 지금까지의 보안패치 분배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내용들을 분석함으로써 보안패치 분배 및 관리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요건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직접 설계함으로써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Methods for Efficient Enterprise Software Patch Management

  • Kang, Chang-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179-18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이고 절차적인 소프트웨어 패치 절차를 제안하였다. 매년 조직에서는 수만 개의 알려진 취약점이 존재하고 패치 작업에 수만 시간과 수백만 달러 이상을 소비한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패치된 취약점에 대한 익스플로잇이 나타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 대학 등 다양한 형태의 조직에서 일관되지 않는 방법으로 패치를 관리함에 따라 보안 문제 발생, 시스템 불안정, 패치로 인한 정보 유출 및 작업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패치 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살펴보고 패치 관리를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과 패치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단계를 정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기능의 수정, 보안 취약점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조직 내의 소프트웨어를 새로운 버전으로 갱신하고 패치하는 과정에서 조직의 패치 관리 정책을 효율적이고 절차적으로 실행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것이다.

RMI와 SSL를 이용한 멀티플랫폼 환경에서의 안전한 보안패치 분배 시스템 설계 (Design the Multi-Platform Based Automatic Distribution Method of Security Patches with RMI and SSL)

  • 이상원;김윤주;문종섭;서정택;최대식;박응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283-285
    • /
    • 2004
  • 개발과정에서의 오류로 인한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들이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보안패치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신속하게 자동 분배가 가능한 보안패치 분배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분산 시스템 환경 및 안전한 통신을 기반으로 보안패치를 분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Java RMI와 SSL를 함께 사용한 보안패치 분배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설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공간통계분석에서 이상점 수정방법의 효율성비교 (On the Efficiency of Outlier Cleaners in Spatial Data Analysis)

  • 이진희;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17권2호
    • /
    • pp.327-336
    • /
    • 2004
  • 이상점이 존재하는 공간자료(spatial data) 분석에서 이상점(outlier)의 영향력를 줄이기 위 한 방법으로 로버스트 변이도(robust variogram)를 사용한다. 최근 이상점을 먼저 수정한 후 변이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더 좋은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점이 존재하는 공간자료 분석에서 Mugglestone 등(2000)이 제안한 이상점 수정법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새로운 이상점 수정법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등산로 개설에 의한 산림의 경관생태학적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Landscape Ecological Effect of Forest by Trail-Building)

  • 이우성;박경훈;김동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8-137
    • /
    • 2008
  •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등산로가 산림경관의 파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소유역별 경관생태학적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등산로 개설에 의한 영향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산림패치의 크기는 감소한 반면 패치 및 가장자리 밀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치형태는 보다 복잡해지고, 핵심지역의 면적은 뚜렷하게 감소하였고, 패치간의 근접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유역별 경관생태학적 건전성 평가 결과, 종합적인 건전성은 북한산유역이 3.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기유역이 1.6점으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산림의 경관생태학적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는 불필요한 등산로의 개설을 금지하고, 훼손 및 교란 지역에 대한 자연적인 생태학적 복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mart GPS 모듈용 슬롯과 결합된 패치안테나 설계 (Design of patch antenna combined with slots for smart GPS module)

  • 장민규;이영순;조동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77-18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L1주파수대역(1.575GHz)을 사용하는 보안등제어기 내장형 무선 모듈에 적용 가능한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형 GPS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삽입형 급전(insertion feeding)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를 기본구조로 하였다. 특히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윗면에 좌/우 2개의 비대칭형 슬롯을 삽입하였으며, 아랫면에는 대역폭 증가와 주파수설정을 위하여 한 쪽 끝이 개방된 슬롯과 단락점(shorting point)을 적용하였다. 측정 결과 설계 목표로 한 GPS주파수 L1대역에서 90%의 방사효율과 4.8dBi 이상의 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패치 특징 코어세트 기반의 흉부 X-Ray 영상에서의 병변 유무 감지 (Leision Detection in Chest X-ray Images based on Coreset of Patch Feature)

  • 김현빈;전준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5-45
    • /
    • 2022
  • 현대에도 일부 소외된 지역에서는 의료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위·중증 환자에 대한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의료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자동화하여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 문제 및 의료 인력 부족을 해소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컴퓨터 비전 기반의 진료 자동화는 훈련 목적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라벨링 작업에서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은 희귀질환이나 시각적으로 뚜렷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병리적 특징 및 기전을 구분하는 작업에서 두드러진다. 이상 탐지는 비지도 학습 전략을 채택함으로써 데이터 수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상 탐지 기법들을 기반으로, 흉부 X-RAY 영상에 대해 이상 탐지를 수행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최적 해상도로 샘플링된 의료 영상의 색상 범위를 정규화한다. (2) 무병변 영상으로부터 패치 단위로 구분된 중간 수준 특징 집합을 추출하여 그 중 높은 표현력을 가진 일부 특징 벡터들을 선정한다. (3) 최근접 이웃 탐색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미리 선정된 무병변(정상) 특징 벡터들과의 차이를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PA 방식으로 촬영된 흉부 X-RAY 영상들에 대한 제안 시스템의 이상 탐지 성능을 세부 조건에 따라 상세히 측정하여 제시한다. PadChest 데이터세트로부터 추출한 서브세트에 대해 0.705 분류 AUROC를 보임으로써 의료 영상에 대한 이상 탐지 적용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의료 기관의 임상 진단 워크플로우를 개선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의 조기 진단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스프링 서버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CVE-2018-1270)을 이용한 응용 공격 시나리오의 대응 방안 (Countermeasure of an Application Attack Scenario Using Spring Server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 (CVE-2018-1270))

  • 정병문;장재열;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03-308
    • /
    • 2019
  •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웹서비스 개발도구의 표준이라 할 만큼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CVE-2018-1270)이 발견되었다. 본 논문은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서버를 대상으로 발생한 취약점의 위험성을 해킹 시나리오 POC(Proof Of Concept)를 이용한 취약점 실험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종국적 대응방안으로 버전 4.3.16와 버전 5.0.5 이상으로 패치를 제안한다. 아울러 제안한 해킹시나리오 취약점 실험분석이 보안 프로그램의 성능향상 및 새로운 인증체계의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만경강 중류 에코톱다양성 추이분석 연구 (A Study on Ecotope Diversity Transition Analysis in the Middle of Mankyung River)

  • 김우람;김지성;김규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0-480
    • /
    • 2016
  • 에코톱은 생태학적 지휘체계(Niche)와 서식처(Habitat)가 결합된 환경을 의미하며 도면에서 최소한의 단위로 일반적인 구성요소의 상태, 잠재자연식생, 잠재생태계 기능으로 균일하게 분류가 가능한 요소로서 천이단계 또는 토지이용이 서로 다른 패치들로 이루진 생태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코톱과 비오톱은 식물과 동물의 특정 군집에 요구되는 서식공간의 개념에서는 의미가 같지만 비오톱은 서식공간의 일부분 또는 한 개 이상의 생물이 서식가능한 공간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재 네덜란드,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국가에서는 에코톱분류를 통한 하천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중류 소양천 합류점에서 전주천 합류점까지 약 3.5km 구간의 제외지포함 제내지 1km 폭을 대상으로 1918년 고지도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1948년 해방이전 항공사진, 2003년 2014년 항공사진을 활용한 에코톱을 분류하여 이에 대한 에코톱 다양성지수를 추이분석하여 하천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별 에코톱다양성지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제방축조 이전인 1918년 에코톱 다양성 지수는 하천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안정적으로 감소하였으나 1948년 이후의 하천은 제내지에서부터 지수값이 급격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948년 이후의 만경강은 과거 1918년 하천에 비해 구하도 공간이 농경지 증가, 보설치 등으로 인한 인위적 교란에 의한 감소로 분석되어지며 에코톱다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생물종다양성 역시 감소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