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싯 구조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 개정 방안 (Some Suggestion on the 5th Revise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정해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29-546
    • /
    • 2007
  • 이 연구는 KDC 제5판의 개정 내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개정되는 제5판은 조합식 구조를 전제로 다양한 합성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부가표의 신설, 주기의 다양화, 보조표의 전개를 확대하고, 기호 합성방법은 "기본기호 $\sim$$\sim$표의 기호 $\sim$을 합성한다." 형식의 주기를 일관성 있게 사용하고 실질적인 보조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개정할 것을 제안한다.

  • PDF

시소러스 구축을 위한 웹 기반 워크벤치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Workbench for the Construction of Thesaurus)

  • 이승준;정한민;성원경;최광;이상헌;최석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999-100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개념 패싯과 관계 패싯들을 수용한 범용 과학기술 시소러스 구축용 웹 기반 워크벤치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기존 국내 시소러스 구축용 워크벤치들이 제공하는 기본적인 용어 관계구축 기능을 확장하여 개념 패싯, 범주 관계 패싯, 의미역 관계 패싯, 속성 관계 패싯 및 속성 키워드 처리 기능을 원활히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적 워크벤치를 개발함으로써 시소러스 상의 개념들에 대한 효율적인 구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시멘틱 웹 상의 온톨로지 영역에 보다 근접한 고도화되니 시소러스 구축을 위해 용어들을 개념화시키고, 개념간의 다양한 관계를 설정하는 프로세스 중심적 설계로 분야 적합성이 높은 정보 처리 기반을 갖춘다. 궁극적으로 여러 마이크로 시소러스들을 통합하여 운용할 수 있는 복합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시스템 구현을 위해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개발 방법론으로 MSF/CD를 이용하였으며, 분산 환경에서 이기종간의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웹 서비스 (XML Web Services)를 이용하였다. 또한 시멘틱 웹 기반 연구자 간 협업 지원 서비스 구현을 위한 확장 검색용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소러스 반출은 CSV, XML 및 RDF를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요구 사항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소러스 브라우징을 시각화 기반의 3단계 구조를 가진 플래시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쉽게 시소러스를 탐색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또한 다양한 검색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기본 검색, 고급 검색, 메타 검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개념 편집 및 시소러스 브라우징과 연동시켜 효율적인 시소러스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워크벤치를 이용하여 구축된 시소러스는 기존 시소러스들에 비해 사용자가 보다 폭넓은 의미 기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각적인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다국어 시소러스 및 다중 시소러스를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 PDF

지식과 분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nk Between Knowledge and Classification)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23
    • /
    • 2000
  • 본 연구는 지식과 분류 사이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분류표는 분류 대상의 지식을 표현하는 구조로 그 안의 포함되는 내용과 다양한 관계를 표현해 주는데 대표적인 4가지 분류학적 접근방식인 계층 구조, 나무 구조, 패러다임. 패싯 분석을 새로운 지식의 창조와 발견의 측면에서 장단점을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식과 분류 과정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방식을 확인하고, 미래의 보다나은 새로운 분류 방식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고전 용어 시소러스의 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Literatures Thesaurus)

  • 유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415-434
    • /
    • 2006
  • 우리 고전 문집에 나타난 용어로 작성된 디스크립터들을 분류하기 위해서 분류 체계를 개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고전 용어 시소러스의 분류 구조는 6개의 패싯으로 범주화를 시작하여 고전 분야의 지식을 근거로 연역적으로 분류 체계를 구조화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인문학 분야의 다른 시소러스들의 분류 체계와 비교하였고, 이러한 비교를 통해서 얻은 것은 고전 용어 분류 체계만이 갖는 여러 장점들 즉 패싯 기법을 적용한 장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서 범주 설정의 일관성과 분류 구조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시대나 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공통 구분을 독립적으로 설정하여 분류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다. 이 분류 체계는 디스크립터들을 배정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나은 분류 체계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

소프트웨어 부품의 재사용을 위한 개선된 패싯 분류 방법과 의미 유사도 측정 (Advanced Faceted Classification Scheme and Semantic Similarity Measure for Reuse of Software Components)

  • 강문설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855-865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재사용가능한 소프트웨어 부품의 분류 과정을 자동화하여, 소프트 웨어 부품 라이브러리에 구조적으로 저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효율적이고 자동화 된 소프트웨어 부품의 분류를 위하여 자연어로 기술된 소프트웨어 부품 설명서로부터 의미 정보와 문장 구성 정보 등의 특징을 획득하여 소프트웨어 부품의 특성을 표현하 는 패싯을 결정하고각각의 패싯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소프트웨어 부품 식별자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분류된 소프트웨어 부품들 사이의 의미 유사도를 측정하여 비슷한 특성을 갖는 소프트웨어 부품들을 인접한 장소에 저장시켜 구조화된 소프트웨어 부품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소프트웨어 부품의 분류 과정이 간단하고, 유사한 소프트웨어 부품을 쉽게 식별할 수 있었으며, 또한 소프트 웨어 부품을 라이브러리에 구조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 PDF

시각화된 환경에서 다차원 관점을 지원하는 객체기반 패싯 시소러스 관리 시스템 모델의 정형화 및 구현 (A Data Model for an Object-based Faceted Thesaurus System Supporting Multiple Dimensions of View in a Visualized Environment)

  • 김원중;양재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9호
    • /
    • pp.828-84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패싯 분류에 기반하여 다차원 사용자 관점의 도메인 시소러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각 관점에 따라 시각화된 환경에서 시소러스를 브라우징, 항해 그리고 검색할 수 있는 다차원 관점객체기반 패싯 시소러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패싯 시소러스 시스템들과 달리, 본 시스템은 개념들간의 다각적인 상관 관계를 객체 지향 패러다임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 구축할 수 있고, 브라우징과 항해를 통해 다차원 시소러스의 복잡한 개념 구조를 적절히 시각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시소러스의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하다. 다차원 브라우징 및 항해는 계층화된 패싯 용어들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패싯화된 시소러스를 필요시 동적으로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패싯화된 시소러스는 일종의 다차원 가상 시소러스 계층들로 볼 수 있다. 제안하는 방식에 의한 시소러스 자동 구축은 패싯들의 조합으로 새로운 차원의 시소러스를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융통성 있는 시소러스 확장이 가능하고 대량의 시소러스 인스턴스들을 관점에 따라 적절한 해석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구조화하기 때문에 개별적 사용자 관점에 부합되는 인스턴스들을 참조 질의에 의해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제안 시스템을 체계화하기 위한 모델을 정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델의 실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그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방송영상기록물의 저작자 식별을 위한 패싯 기반 식별체계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Facet-Based Identifier for Identifying Creators of Broadcasting Video Record)

  • 정연주;이승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3-234
    • /
    • 2020
  • 본 연구는 방송영상기록물을 대상으로 방송영상기록물의 제작에 참여한 저작자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항목을 제안하여 방송영상기록물에 대한 저자식별체계 구축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방송영상기록물의 저작자 식별을 위해, 이름, 성별, 생년월일, 저자식별체계, 국가, 소속기관, 분야 등 총 7개의 기술항목을 개인, 소속, 역할의 세 가지 범주로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해 2단계에 걸쳐 분류 및 범주화를 진행하였다. 이 구조를 바탕으로 총 10개의 기본 패싯과 14개의 하위 패싯을 구성하여 방송영상기록물 저작자의 식별을 위한 패싯 기반 구조를 구축하였으며, 방송영상기록물 저작자 식별을 위한 기술항목을 제안하였다.

패턴정보를 이용한 디자인패턴 검색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Design Pattern Retrieval System using Pattern Information)

  • 김귀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0-443
    • /
    • 2006
  • 본 연구는 디자인패턴의 효율적인 관리와 재사용을 위하여 패턴 정보를 이용한 디자인패턴 검색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패턴 정보는 패턴 속성정보와 패턴 메타정보로 구성하였고, 패턴 속성정보는 패턴 패싯 분류와 패턴 검색을 위한 유사도 측정에 이용되며, 패턴 구조를 UML로 모델링하기 위하여 패턴 메타 정보를 이용하였다. Gamma 분류 방법을 확장하여 각 디자인패턴이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경험적 상황을 패싯 항목으로 설정하고 패턴 정보로 관리하였다.

  • PDF

자동 요약을 위한 웹 기사들의 유형 구분과 주연문맥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News Form in the Web for Automatic Summarization)

  • 이태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6년도 제1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4
    • /
    • 2006
  • 웹 상의 기사들의 종류를 보도, 기획/해설, 인터뷰/대담, 논설, 신변잡기로 나누어 자동요약을 위한 프레임을 작성하였다. 각 기사 프레임들은 글 구조적으로 분석되어 '사건, 상황, 연관, 과정, 원인, 결과, 결론, 전망, 방안, 평가 등'과 같은 문단 슬롯이 부여되었고 문단 슬롯은 다시 문장 슬롯으로 세분되었다. 'if-needed' 패싯으로 육하원칙인 '주체, 객체, 시간, 장소, 원인, 방법'을 택하였다. 슬롯이나 패싯의 실제값들을 추출 표현하는 과정에서 문구의 수사적 역할과 단어 최상위 범주 및 줄거리 단위를 참조하였다. 기사의 유형과 문단 및 문장 슬롯을 판별하기 위해서 유형 판별 규칙과 슬롯 판별 규칙을 구비하였다.

  • PDF

Shakespeare 관련자료 분류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Suggesting an Analytico-Synthetic Classification System for Classifying Materials by and about Shakespeare or His Works)

  • 오동근;황일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7-237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Shakespeare에 관련된 문헌의 분류에 있어서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당주제의 확장전개를 위해 DDC, LCC, CC 등의 주요분류표와 관련분야의 전개표 등을 참고하여, 새로운 분석합성 식 분류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전개방식은 기본적으로 Shakespeare라는 주제아래에서 4개의 패싯을 “일반적 특성(generalities) + 문학형식(form) + 개별작품(works) + 언어(language)”순으로 전개하도록 하고, 각 패싯에 대해 별도의 구체적인 배열구조(away)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