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스트 패션상품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소비자 혁신성과 노스탤지어 성향에 따른 패션상품 구매기준, 패션정보원 활용, 패스트 패션상품과 친환경 패션상품에 대한 태도 특성 (Fashion product purchase criteria,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and fast fashion products based on consumer innovativeness and nostalgia)

  • 서민정;전대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3
    • /
    • 201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classify fashion consumers based on innovativeness and nostalgia and (2)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product purchase criteria,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and fast fashion products among the identified groups of consumers. A total of 327 respondents were clustered into four distinct groups: (1) high innovativeness and low nostalgia, (2) high innovativeness and high nostalgia, (3) low innovativeness and high nostalgia, and (4) low innovativeness and low nostalgia. The four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chase criteria of quality, design, and brands and no difference in the criteria of functionality and washing methods. The four groups preferred different sources of fashion information: fashion magazines, people in the street, and salespeople, but did not differ in term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nd in-store displays. While the four group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they did not show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fast fashion products, excluding usefulness. These meaningful results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merchandising strategies for both eco-friendly and fast fashion products.

Mobile contents review- 모바일 콘텐츠에 불어닥친 ‘웰빙’바람

  • 임영모
    • 디지털콘텐츠
    • /
    • 5호통권132호
    • /
    • pp.104-107
    • /
    • 2004
  • ‘웰빙(Well-Being)’이라는 단어를 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웰빙처럼 강력한 생활 트렌드를 만들어낸 경우도 흔치 않다. 어찌 보면‘잘 살아보세~ 우리도 한 번 잘 살아보세~’하던 1970년대 새마을 운동 컨셉과 비슷한 이 트렌드는 음식, 건강, 패션, 인테리어는 물론 여가 활용 등 생활 속 곳곳의 모든 것에 대해 웰빙 열풍을 만들어내고 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책들은 물론이고, 하다 못해 패스트푸드의 햄버거 상품에 이르기까지 웰빙을 들고 나서면서 웰빙은 트렌드를 넘어서 일종의 브랜드까지 되는 현상을 보인다. 모바일 환경에도 웰빙 컨셉이 도입되고 있다. 모바일이라는 것이 생활 속에서 뗄래야 뗄 수 없는 도구라고 한다면, 마땅히 가장 먼저 웰빙 컨셉을 도입해 변화할 환경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단순한 통신 도구로서의 역할을 벗어나 웰빙 상품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모바일 환경에 대해 살펴본다

  • PDF

동대문 패션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제안 (A Study on the Policie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DongDeaMoon fashion market)

  • 이지현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5호
    • /
    • pp.257-272
    • /
    • 2010
  • 동대문 패션상권은 전국의 소매상을 위한 도매의 기능과 함께 현대화된 대형 쇼핑몰을 중심으로 소매의 기능까지 도맡고 있다. 또한 동대문 패션상권은 동대문 1km 반경 내에서 원부자재와 봉제공장, 패션상가 등 관련 산업이 집적되어있어 패션상품의 기획과 생산, 판매 및 유통이 완결되는 매우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대문 패션상권은 보유하고 있는 경쟁력에 비해 급변하는 시장환경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으나 그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하고 일회성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들을 살펴보고 그 정책들이 간과하고 있는 동대문 패션상권의 활성화에 대한 정책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출, 제안했다.

  • PDF

패스트 패션을 위한 지능형 신속대응시스템(IQRS-FF)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igent Quick Response System for Fast Fashion(IQRS-FF))

  • 박현성;박광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163-179
    • /
    • 2010
  • 최근 패션산업에서는 고객의 니즈가 다양해지고 공급 리드타임이 크게 단축됨에 따라 최신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스트 패션이 각광받고 있다. 또한, 기업간 경쟁도 심화되면서 얼마나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것인가가 패션산업의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다품종 소량 신속생산이 강조되는 패스트 패션 산업에서는 트랜드 변화에 신속 대응을 지원하는 지능형 신속대응시스템(Intelligent Quick Response System : IQRS) 구축 및 지원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패스트 패션 산업 IQRS 구축에서 요구되는 신속대응 프로세스 수립, 지능적 판단을 지원하는 신속대응 기준 및 실행, 신속대응 물량 산정 및 시기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신속대응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검증할 수 있는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설계하여 모델의 신뢰도를 향상시켰다. 제시된 각 모델은 A사의 ERP 구현사례를 통해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패스트 패션의 재고비용 최적화를 위한 상품공급 물량 산정 모델 (A Computation Model of the Quantity Supplied to Optimize Inventory Costs for Fast Fashion Industry)

  • 박현성;박광호;김태영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6-78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computation model of the quantity supplied to optimize inventory costs for the fast fashion. The model is based on a forecasting, a store and production capacity, an assortment planning and quick response model for fast fashion retailers, respectively. It is critical to develop a standardized business process and mathematical model to respond market trends and customer requirements in the fast fashion industry. Thus, we define a product supply model that consists of forecasting, assortment plan, store capacity plan based on the visual merchandising, and production capacity plan considering quick response of the fast fashion retailers. For the forecasting, the decomposition method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 are applied. In order to optimize inventory costs. A heuristic algorithm for the quantity supplied is designed based on the assortment plan, store capacity plan and production capacity plan. It is shown that the heuristic algorithm produces a feasible solution which outperforms the average inventory cost of a global fast fashion company.

패스트 패션의 상품 공급 프로세스 설계에 관한 연구 (The Product Supply Process Design for Fast Fashion Industry with BPMN)

  • 박현성;박광호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34-146
    • /
    • 2011
  • This paper suggests the product supply process model based on the store and production capacity, assortment planning and quick response for fast fashion retailers with BPMN. In the fast fashion industry, the standardized business process model is required to respond quickly market trends and customer requirements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riteria. Thus we define the product supply processes which incorporate forecasting and assortment plan, cost and profitability of the production, store capacity based on the visual merchandising, and production capacity of the fast fashion retailers. Also we design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duct supply processes. The product supply process model for the fast fashion has great significance in embracing the fast fashio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because it presents the holistic view of the product supply process of the fast fashion and provides a performance evaluation mechanism. A case study shows that adopting the processes, a Korean fast fashion company achieves improvement in various performance indic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