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무관심형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2초

Analysi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othing Lifestyle of the New Forty Generation

  • Bok, Mi-Jung;Hong, Eun-Si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51-158
    • /
    • 2020
  • 본 연구는 30대에서 50대 남성 직장인 394명을 대상으로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 한 후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k-평균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은 '패션 리더형(22.3%)', '가격 민감형(12.2%)', '패션 무관심형(27.9%)', '놈코어 패션형(37.6%)' 등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의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연령, 결혼여부, 직업, 월평균 가계소득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의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의복 구매 행동에서는 월평균 외모 관리 비용, 정장 소유 여부, 월평균 의복 구입 비용, 평균 정장 구입 비용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패션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라이프스타일 집단 간 비교 (Impact of Fashion On-line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Brand Loyalty: Comparisons among Lifestyle Groups)

  • 고은주;김경훈;권준희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87-106
    • /
    • 2006
  •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기업의 마케팅 도구로서 온라인 커뮤니티가 등장하였으며 최근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패션 기업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고객과 관계를 형성하며 궁극적으로는 고객 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측면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패션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성을 분석하고 2)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세분화된 집단 유형별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커뮤니티 특성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른 효율적인 온라인 커뮤니티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패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제공되는 특성은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흥미제공성' 3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집단을 세분화한 결과 '무관심형', '감각추구형', '합리추구형'의 3집 단으로 구분되었으며, 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라 온라인 커뮤니티특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관심형 집단은 커뮤니티의 상호작용성이, 감각추구형 집단은 정보제공성이, 합리추구형 집단은 흥미제공성과 정보제공성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패션 온라인 커뮤니티 회원들의 커뮤니티 이용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궁극적으로 패션 기업의 온라인 커뮤니티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시하였다.

  • PDF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넥타이 문양디자인 선호 (Preference of Neck-tie Pattern Designs according to Male Consumers' Fashion Life Style)

  • 송하영;고영림;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489-500
    • /
    • 2008
  • 본 연구는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넥타이 문양디자인 선호도와 구매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유행 지향', '보수 전통지향', '과시적 브랜드 지향', '개성 지향', '실용 지향', '패션 무관심' 형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패션 라이프스타일 요인들을 군집 분석하여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집단을 '개성 추구', '실용 & 브랜드 추구', '보수 전통 & 개성 추구', '유행 추구', '패션 무관심'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넥타이 문양 선호와 구매 의사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 지향'형은 '무지단색', '원', '페이즐리'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꽃' 문양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전통지향', '과시적 브랜드지향', '실용 지향'형은 '줄', '체크'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유행 지향', '과시적 브랜드지향', '개성 지향'형은 '무지단색', '꽃', '동물'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 지향'형은 '무지단색', '꽃', '동물'의 넥타이 문양에 대한 구매 의사가 있는 반면, '실용 지향'형은 '원' 문양에 대한 구매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지향'형은 '원' 문양에 대한 선호 및 구매 의사가 동시에 있었고, '유행 지향'형 역시 '무지단색', '꽃', '동물' 문양에 대한 선호 및 구매 의사가 동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수 전통지향' 및 '과시적 브랜드 지향'형이 '줄', '체크' 문양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나, 구매 의사는 '페이즐리' 문양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선호하는 넥타이 문양과 구매하고자 하는 문양 간에 차이를 보였다.

  • PDF

20-40대(代) 여성(女性)의 외모관심도(外貌觀心度)에 따른 외모관리행동(外貌管理行動) (A Research of Apperance-mnagement Bhavior in 20-40's women according to Degree of Apperance Concern)

  • 김성남;이경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4호
    • /
    • pp.29-41
    • /
    • 2007
  •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women aging from 20 through 40 Apperance -Mnagement Bhavior and care of their outer looks from a beauty treatment perspective. This research should help satisfy the wants of women who are the main clients of the beauty products and help the beauty industry to produce new products and also to help out on their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searc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ur target women,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sub-factor of interest in beaut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divide the group according to Degree of Apperance Concern 'sub-factor, cluste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Scheffe'-test, $X^2-test$ was used,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n how they care of beaut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and further more to summarize the result of analysis of variance Scheffe'-test was used. As a result, in all different ways of beauty caring, weight resisting, skin care and plastic surgery summed up similarly among the self-care group, hair care ended up with similar results among all three groups: self-caring group, no interest in beauty at all group, and the too conscious of other eyes group, and results on the interest rate of clothing ended up similarly among the other-eye conscious group, beauty care interest group, and the self-care group.

강남 개발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의 공간선택성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Gangnam and the Formation of Gangnam-style Urbanism : On the Spatial Selectivity of the Anti-Communist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 지주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07-330
    • /
    • 2016
  • 이 논문은 한국의 압축도시화의 한 사례이자 표준으로서 서울의 강남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남 및 강남 스타일의 도시화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한국의 도시화 양상 및 서구의 도시와 구별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현대 한국의 삶에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매우 크다. 하지만 그럼에도 강남의 독특한 도시성(urbanism)이 어떠한 사회적 조건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선망이 되는 물질적 풍경이자 생활양식으로서의 강남적 도시성의 특징을 서술한다. 강남적 도시성은 물질적 공간의 측면에서 중상층이 주거와 자산증식을 위해 소유하는 고급 고층 아파트 단지를 특징으로 하고, 사회문화적 생활양식의 측면에서 정치적 보수성, 사적몰입과 공적 무관심, 학력, 외모, 패션 등에서의 경쟁, 유흥문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강남적 도시성의 원형은 한국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 전략의 공간선택성 속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압축적으로 형성되었다. 즉 그것은 북한과 대치상황 및 서울로의 인구집중 속에서 강북개발과 영등포개발을 억제하고 강남개발과 아파트를 통해 인구를 급히 분산하고 수용해야 했던 반공주의 국가의 필요성, 서민과 도시빈민을 도시개발에서 공간적으로 배제하는 권위주의 국가의 특성, 그리고 예외공간과 가격왜곡을 통해 건설자본과 중산층에 특혜를 부여하고 강남의 아파트 건설과 불균등 발전을 촉진한 발전국가의 선별적 주택산업정책이 결합되어 만들어낸 공간 선택성에 의해 상당 부분 설명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