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디자이너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6초

현대 패션 디자인에 표현된 유스컬처에 관한 연구 -러시아 디자이너 고샤 루브친스키와 티그란 아베티샨을 중심으로- (A Study on Youth Culture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Focused on Russian Designers Gosha Rubchinskiy and Tigran Avetisyan-)

  • 정아름;전재훈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3-266
    • /
    • 2019
  • Street fashion style expressing youth culture has become mainstream in the fashion field. Russian fashion designers who experienced the post-Soviet era in their youth have gained attention for the freshness of a youth inspiration. This study selected two representative young Russian fashion designers, Gosha Rubchinskiy and Tigran Avetisyan and analyzed their fashion works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youth culture.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s research methods. The subject of the case studies were Gosha Rubchinskiy's fashion works from 2015 S/ S to 2018 F/W and Tigran Avetisyan's fashion works from the 2012 CSM Fashion Show to 2018 F/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ir fashion works express 'resistance'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and society. Second, we can also see the 'conformity' of the use to make a strong cohesion. Third, the fashion works symbolized an 'expression of individuality' of the youth. Fourth, the fashion works express an 'importance of practicality' related to the values of the young who prefer to high cost-effectiveness goods. Last, there is a 'remixed culture' in the Russian designer's works where a previously mixed culture mixes with others in creating a completely new on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 contemporary youth culture that influenced the world fashion market and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at the young generation is active in all aspects of society.

현대패션에서 패셔너블 테크놀로지 연구 (Fashionable Technology in Contemporary Fashion)

  • 이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46-253
    • /
    • 2009
  • 테크놀로지와 패션은 얼핏 보기에는 서로 거리가 멀어 보이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초기 착용형 장치는 기능성을 갖추었으나 입기에 불편하고 보기에도 좋지 않았다. 오늘날의 착용형 장치는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편안한 의류를 만들어냄으로써 패션계의 기대를 충족하고 있다. 착용형 장치의 개인화를 통해 패션 아이템을 대중에 어필하기 위한 본질적인 요소인 새로운 자기표현이 가능해졌다. 의류에 포함된 기술과 전자 섬유에 통합된 기능은 패셔너블 착용형 장치의 ‘착용성’과 편안함, 미학적 특성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요소를 고려하는 것은 사용자 중심의 패셔너블 착용형 장치를 만드는데 중요한 디자인 프로세스이다. 디자이너는 목적과 사용자, 상호 교류, 상업적 가능성, 가격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춘 뛰어난 디자인을 통해 성공적인 패셔너블 착용형 장치를 만들 수 있다.

메타버스 아바타 및 K-패션의류 3D 제작 모델링-K 디자이너 아이템을 활용한 스타일링 작업물 개발을 중심으로- (Modeling Metaverse Avatars and K-Fashion Apparel 3D Production -Focus on Developing Styling Work with K-Designer Items-)

  • 김소진;강보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5호
    • /
    • pp.60-77
    • /
    • 2023
  • The scale of the industry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is gradually growing around the world. Fashion brands are also starting to utilize the Metaverse platform as a new market to replace the next e-commerce platform by targeting new consumers, MZ generation, and even Alpha generation. In this study, a real K-fashion designer's outfit was made into a 3D outfit using CLO 3D program to express it in a new market, the Metaverse 3D platform. It was then compared with a real outfit. An avatar prototype was completed using Max program to simulate the 3D digital fashion outfit and produce an avatar through an optimization process. The 3D outfits showed the same level of results as the actual outfits in terms of fabric surface, material texture, drapability, overall outfit, details, and trimmings. In addition, we proposed a 2D work on total styling suggestion and modeling to secure data sets for future AI-based styling service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actual outfits and 3D outfits had the same results. It is significant that it can be a sample work to build a styling data set through styling suggestion and content production as a significant amount of styling DB construction will be required before AI styling automation services.

SDGs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과목 운영 사례연구 - 패션디자인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Sustainable Design Curriculum for the implement SDGs focus on fashion design major)

  • 신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25-335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패션디자인학과에서 다양한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융합 교육에 따른 SDGs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과목 운영 사례를 연구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교과목 운영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수업설계, 실행, 운영 결과로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과목은 2~4학년 학생의 통합 구성으로 패션디자인 및 다양한 디자인 전공 학생이 수강하여 SDGs 과제에 따른 전공 심화와 주제 중심 통합교육에 따른 융합 역량을 강화하였다. 수업에서의 교육내용은 문제 발견과 해결을 통한 디자이너의 지속가능한 가치 추구를 위해 지역업체에서 개발된 폐페트병 섬유의 업싸이클 디자인을 통한 지속가능 발전 목표를 실현하고 다양한 업싸이클 상품 디자인을 개발하고 평가 지표 및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SDGs의 실현 가치를 이해하고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적 접근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기여와 다양한 디자인 전공과의 융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방인 뉴요커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패션디자이너와 광고디자이너를 중심으로-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ssential Meaning of Gentile New Yorkers -Focusing on Fashion Designers and Advertising Designers-)

  • 오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10-923
    • /
    • 2015
  • This phenomenological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 New Yorker. Participants were 11 Korean single women around 30 years old who work as fashion designers or advertising designers living and working in New York.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13 to February, 2014, and one-to-one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for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used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proposed by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useful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for select cases and is used as an epoch and free variation method. The study results were identified from 70 common meanings to 14 exposed themes and 4 essentially themes from a gentile New Yorker's experience. The 4 essential themes were as follows. 1) Self-realization at the highest stage, 2) Indulge in the advanced culture of affluence and freedom, 3) Collapsing every day in depressed foreign workers, and 4) Becoming a rootless gentile New Yorker.

서울 패션 위크에 나타난 여성 셀러브리티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ashion Style of Female Celebrities in Seoul Fashion Week)

  • 이지연;김장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84-295
    • /
    • 2019
  • 셀러브리티들은 한 시대의 지배적인 문화를 형성하기도 하며, 새로운 유행을 선도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대상이다. 서울 패션 위크에 참석하는 국내 여성 셀러브리티들은 자신만의 패션 미학을 대중들에게 노출함으로써 패션 리더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기도 하며, 컬렉션을 개최하는 패션디자이너들의 브랜드 홍보 및 판매를 촉진시키는 결과를 창출한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서울 컬렉션에 나타난 여성 셀러브리티들의 패션 스타일의 분석을 토대로 여성 셀러브리티들의 패션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선형의 스트레이트 실루엣, 무채색의 활용, 문양이나 장식이 없는 경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셀러브리티들은 모던하면서도 미니멀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슬림 실루엣과 프린세스 실루엣, 원피스 드레스나 스커트의 착용, 부드러운 소재나 러플의 장식을 통하여 전통적인 여성미를 드러내는 페미닌 스타일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원피스 드레스에 재킷을 매치한 형태 또한 다수 나타남에 따라 남성미가 절충된 시크 페미닌 스타일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박시 실루엣, 화려한 컬러들이 믹스된 멀티 컬러, 반짝이는 소재와 그래픽이나 레터링의 문양, 다수의 디테일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유행의 선도자로서의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맥시멀 스타일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패션쇼핑몰의 성공적 창업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소호쇼핑몰의 기업가적 과정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a Successful Online Start-up Fashion Shopping Store: Focusing o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f a Soho Shopping Mall)

  • 손미영
    • 감성과학
    • /
    • 제25권3호
    • /
    • pp.91-10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패션시장에서 소호 패션쇼핑몰의 성공적 창업의 성장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현재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4개 소호 패션쇼핑몰을 대상으로 기업가 과정을 창업기회포착, 사업모델, 위기관리 및 사업성과 등 3개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S사는 짧은 경력의 창업자가 패션감각과 기업가정신으로 전자상거래를 창업한, 가격경쟁력과 디자인력, 다양한 상품구색을 갖춘 캐주얼 쇼핑몰로 데이터 관리/분석, 유통채널 다각화를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B사는 짧은 경력의 창업자가 SNS 네트워크 역량과 기업가정신으로 제조업/전자상거래를 창업한, 아이템 경쟁력과 스타트업 특성을 갖춘 컨템포러리 쇼핑몰로 브랜드 정체성 확립, 시장 확장을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M사와 C사는 보다 긴 경력의 창업자가 브랜드 인지도가 있는 소호 패션쇼핑몰 사례이다. M사는 풍부한 경력과 디자인 정신의 창업자가 감성적/감각적 패션디자이너 브랜드를 창업하여 기업 지평을 넓히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성장하였고, C사는 디자인 역량과 기업가정신의 창업자가 감성 표현에 집중한 럭셔리 패션브랜드를 창업하여 적극적인 고객관리를 통한 브랜드인지도 및 매출 확보 등을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본 연구 결과는 소호쇼핑몰 예비창업자나 창업과정의 교육 및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해체주의 패션에 보여진 외형적 양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rnal Form Characteristic Depicted on the Deconstructional Fashion)

  • 김혜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71-280
    • /
    • 2000
  • 복식은 조형적 구성의 측면에서 그시대의 예술양식을 수용, 표출한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복식과 예술분야가 통합적 조형양식으로 존재하면서 동시대적 사상이나 이슈를 반영할 뿐 아니라 여타 문화현상들과 상호의존적 또는 상호수정보완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일련의 전위적인 디자이너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는 아방가르드적 현상으로서 해체주의적 현상을 밝힘은 그동안 논의되왔던 조형양식적 측면과 미학적 측면에서의 복식을 재조명하는 그 의의가 있다. 해체주의 패션은 모더니즘적 양식을 반박하여 형식이나 구성에 있어 전위가 몰형식과 비구조화의 형태를 띄고 있으며 그것은 외형적 구조로서만이 아니라 인식론이나 내재론적 측면에서도 이성적 주체관, 현전의 형이상학, 이분법적 사고의 붕괴 둥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대패션이라는 커다란 흐름을 고유함으로써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양식의 이종교배, 과거양식의 인식, 복합성과 모호성, 다양한 매체의 이용 등과 같은 패션 트랜드 속에서 재해석되고 변경, 수용되어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한국 현대패션에 나타난 미국화에 관한 연구 -1950년대~1980년대 노라 노 패션을 중심으로- (Americanization Expressed in Korean Fashion -Focused on 1950s~1980s Nora Noh Fashion-)

  • 한수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5-204
    • /
    • 2012
  • Since WWII and the Korean War, Korean modern fashion has been americanized by claiming, displacing with, and fusing with the traits of American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analyze the traits of Americanization in Korean fashion, focusing on the designs of Nora Noh fashion from the 1950s to the 1980s. Nora Noh (1928- ), one of the first Korean fashion designers, who launched the first fashion show in 1956, introduced ready-made dresses to Korean fashion industry in 1963 for the first time, and later in the 1970s and the 1980s, exported Korean-made fashions to the U.S. market. For such purpose, this study first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Americanization in Korean fashion history and then conducts a case study by analyzing photographic materials. In case of Nora Noh fashion, the traits of Americanization can be defined as functionality, popularity, and hybrid. (1)Functionality in Americanized Korean fashion was expressed through simplicity, practicality, and usefulness. Noh's "homewear" style and exported silk dresses are the examples of the functionality. (2)Popularity was shown in kitsch images of materialistic and consumer culture. It was expressed in ready-made dresses and trendy styles of mini skrits and bell-bottom pants. (3)Hybrids of various multi-culture exist in American culture and fashion. In Noh's designs, traditional materials and the print patterns inspired from traditional motifs were used to add Korean nuances in Americanized fashion.

  • PDF

국내·외 패션협회의 역할 비교를 통한 제언 (Suggestions based a Comparison of the Roles for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Associations)

  • 전재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53-169
    • /
    • 2017
  • The rapid growth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fashion associations that have appeared since the 1960s. Seoul Fashion Week celebrated its 20th anniversary; there is now a crucial opportunity for the role of Korean fashion associations to the world's top five fashion collections.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he various roles of Korean fashion associations and the fashion associations of France, Italy, USA, and UK.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suggestions for the roles of Korean fashion associations are as follows. The following three roles are important in both Korean and foreign associations: stable operation of collections, the creation of various funds to support fashion designers, and foster new designers through linkage with the education programs for textiles and design. Mutual cooperation among various associations is essential to achieve future goals. The specific activities of foreign associations are highly suggestive for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pursuit of members' rights, it is also desirable to conduct various social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reate various events that ordinary citizens and students can enjoy in addition to achieving the goal of promoting and selling products at the Seoul Fashion Week. In order to overcome various difficult situations facing Korea and to prepare for a great leap forward for the fashion industry, Korean fashion associations should spare no effort to overcome mutually conflicting interests and understand other perspectives from a macro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