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디자이너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3초

의류브랜드 유형에 따른 패션디자이너 업무의 비교분석: 국내 여성복 브랜드 상품기획 과정을 중심으로

  • 이은아;권혜숙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3-63
    • /
    • 2004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다양한 규모와 특성을 가진 국내 의류업계에서 패션 디자이너의 업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이다.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패션디자이너들이 집중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세 가지 브랜드 유형 내셔널 브랜드ㆍ디자이너브랜드ㆍ무브랜드(동대문 의류상가)를 중심으로 상품기획 과정에서 패션디자이너들이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수행정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패션디자인 DB 개발

  • 김정회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MULTIMEDIA DATABASES on INTERNET
    • /
    • pp.358-375
    • /
    • 1997
  • 가. 패션 디자인 기초 정보 수집/분석 - 국내외에 산재하는 패션디자인 정보의 기초자료를 입수 - 디자이너별/ 컬렉션별/주제별로 분류 - 가공 나- 패션디자인정보의 멀티미디어 DATA BASE개발 - 화상(IMAGE)/해설(TEXT)/ SOUND의 복합 DATA BASE SYSTEM - PC통신망 서비스를 위한 DATA개발 다. 패션디자인 관련자료의 DB화 - 패션디자인 이론서 - 패션디자인 컨테스트 / 이벤트 정보 - 패션디자인 교육기관 정보 - 패션브랜드 정보 (내셔널 / 디자이너 / 수입) 라. DATA BASE 공급 서비스 - PC통신망을 통한 서비스(DOWN LOAD 가능) - 디자인작품 IMAGE 및 CONCEPT/ DETAILS/ CAPTION - PC통신을 이용 디자인 인력 구인/구직정보 활용 - 패션디자인 해외유학 정보 마. Inter-NET 서비스 - Inter-NET을 이용 국내디자이너작품 해외 소개(중략)

  • PDF

Fashion designers must be artistically, socially, and technically competent

  • Cho, Kyeong-Sook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17-423
    • /
    • 2006
  • 본 고는 패션디자이너들이 함양해야 할 핵심 지적자질로서, 예술적, 사회적, 기술적 자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핵심 지적자질은 "옷"이라는 디자인 오브제의 구상 및 추상적 본질을 둥의 조형적, 표현적, 그리고 상징적 특성을 문헌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검토함으로써 제시되었다. 디자인 오브제로서 옷에 대한 본질에 관한 고찰은 패션디자이너의 역할을 정의하는 개념적 틀로서 사용되었으며, 디자이너의 핵심 지적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서, 문화를 분석, 체험하고 사회에서 파생되는 제반 인문, 사회, 과학, 기술관련 이슈들을 이해하고 습득하려는 능동적 실천을 권장하고 있다.

  • PDF

패션산업의 상표권 보호 및 ICT 쟁점 - Louboutin 사건, Levi 사건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Trademark Protection In The Fashion Industry with ICT Issues)

  • 이재경
    • 법제연구
    • /
    • 제44호
    • /
    • pp.185-209
    • /
    • 2013
  • 현재 패션디자인을 보호하는 디자인보호법과 저작권법은 패션디자인 보호를 위해서 적절한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상표권 보호에 대한 접근론이 제시되고 있는바, 상표권에 관한 최근 두 개의 사건, Levi 사건 및 Louboutin 사건은 패션 업계에서 상표권의 인정 및 적용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리바이스 v. 에버크롬비 소송에서 법원은 어떤 상표 표시가 선사용 상표와 현저히 다른 경우에도 상표가치희석이 발생한다고 판단했는바. 이는 기존의 유명상표 디자이너에게는 유리하게, 반대로 신진디자이너에게는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디자이너들의 창의성, 경쟁, 소비자 보호를 해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반면, 최근 루부탱 v. 입생로랑의 상표권 침해 소송에서 패션 업계에서 상표권 인정에 관하여, 연방법상 상표등록이 다른 디자이너들의 창작활동을 부당하게 방해한다면서 그 유효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패션 산업에서 디자이너들간의 경쟁의 자유를 덜 침해하는 취지의 판결을 내렸는데 이는 패션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소비자 모두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아울러, 미국의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 DMCA)이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침해에 대한 청구와 방어에 대하여 "고지와 삭제 (notice and takedown system : NTS)"을 통하여 제공하는 균일한 비송상 해결책을 제공하지만, 상표권 침해에 대해서 온라인 매개자가 침해의 고지에 대하여 특정단계를 따르도록 하고 동시에 피난처 (safe harbor)를 제공하자는 선진적인 제안도 온라인을 통하여 더욱 패션산업을 양적으로 확대시키고자 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도 발전적으로 도입할 여지가 있을 것이다.

2005 S/S 컬렉션에 나타난 아프리카 이미지 연구 (A Study on the African Image Expressed in 2005 S/S Collections)

  • 이금희;김완주;김소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11-92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패션에 나타난 아프리카 이미지에 대한 정확한 시각과 현대 패션의 이해를 목적으로 서양사에서 바라보는 아프리카 이미지와 예술, 아프리카복식의 일반적 특징, 아프리카 이미지의 패션 등장배경 및 시대적 흐름을 토대로 하여 2005 S/S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이너와 디자인작품을 요소별로 분석하여 아프리카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2005년 S/S세계 4대 컬렉션에서 선정된 10개의 디자이너와 브랜드 작품에 나타난 아프리카 이미지는 'Wild Erotic', 'Abstract Primitive', 'Natural Elegant', 'Sporty Romantic'의 4가지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디자인, 디자이너, 패션트렌드 측면에서 아프리카 이미지에 대한 현대 패션의 시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패션에서 아프리카 패션은 주술적, 종교적 의미보다는 장식적인 디테일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즉, 토속적인 감각과 도시적 인 감각을 조화시켜 주술적 의미에서 장식적 의미로 이들을 차용하였다. 둘째, 패션디자이너는 아프리카의 원시성, 순수성의 힘을 현대인의 회귀심리 및 자연의 순수성에 대한 동경과 결합시켜 아프리카 이미지를 패션문화의 한 코드로 인식시키고 현대 여성의 도시적 야성미를 독특한 스타일로 연출하였다. 셋째, 아프리카 이미지는 원시생활속의 미의식에서 찾을 수 있는 창작 디자인으로서의 영감은 물론 이국취향의 창의적인 이미지로 연출되어 패션트렌드의 강한 키워드로 자리매김하며 21세기 초두의 트렌드를 주도하였다.

Chanel이 패션산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How Chanel Influenced in Fashion Industry)

  • Kim, Hyun-Soon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5-11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대표적인 디자이너인 샤넬의 작품활동을 통해 패션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여러 문헌과 패션잡지를 통한 자료분석으로 문헌적 연구를 했다.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샤넬은 소재의 혁신을 가져왔다. 둘째, 영 스포츠캐주얼 웨어를 디자인하여 제시함으로서 여성에게 젊음과 여유로운 생활을 유도한다. 셋째, 패션의 현대화로 디자인뿐만 아니라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심플한 실루엣을 제시하여 하나의 모드를 생성시킨다. 넷째, 패션의 댄디즘으로 여성 해방운동가의 입장에서 패션을 해석하려했다. 다섯째, 클래식한 슈트의 다양한 악세사리를 코디네이션하여 디자인의 변화를 가져왔다. 여섯째, 일부 계층만의 패션이 아니라 20세기 패션의 대중화에 앞장을 선 디자이너 중의 한 사람이었다.

  • PDF

20세기초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징

  • 이경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4년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 /
    • pp.49-52
    • /
    • 2004
  • 20세기초의 패션지에는 폴 푸아레(Paul Poiret, 1880-1944)가 머릿속의 디자인을 조르주 르파프(Georges Lepape)나 폴 이리브(Paul Iribe; 1883-1935)와 같은 실력있는 아티스트들에게 그리게 한 패션 플레이트가 첨부되었다. 그것은 디자이너의 환상이 아티스트의 환상으로 연동해간 결과, 이중의 꿈을 꾼 패션화로서 나타나게 되었다. 이 시대의 패션은 꿈을 실현하는 아트였다.(중략)

  • PDF

국내외 사회트렌드와 패션트랜드의 관련성 연구

  • 고희숙;유태순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3-43
    • /
    • 2004
  • 국내 패션산업계와 디자이너들에게 외국 패션트렌드를 선택, 적용할 때에 지침이 되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해외에서 발생, 제시되는 패션트렌드와 국내에서 실제로 수용되고, 유행하는 패션디자인과의 관계를 사회트렌드와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비교ㆍ분석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