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션제품속성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Effects of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On Fashion Innovative Behavior (인지된 혁신속성이 패션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박경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3
    • /
    • pp.393-400
    • /
    • 2000
  • 기술적 혁신과는 달리 상징적 혁신(symbolic innovation)은 기존 제품에 부가된 사회적 의미가 변화함으로서 창조된다. 따라서, 상징적 혁신에서 새로운 사회적 의미와 관련된 속성은 기능적 속성만큼이나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상징적 혁신의 대표적인 의류제품을 이용, 패션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된 혁신속성(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을 구별하고, 패션혁신행동의 두 유형(구매와 사용)에 미치는 이러한 속성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대학생 집단을 표본으로 이용,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515부의 응답지가 분석되었다. 인지된 혁신 속성은 유사성(compatibility), 기능적 상대적 잇점, 사회적 상대적 잇점, 인지된 위험으로 구분되었다. 의복흥미가 구매와 사용 두 측면의 패션혁신행동에 영향을 주었으나 인지된 혁신속성은 사용측면에만 영향을 주었다. 유사성과 기능적 상대적 잇점이 사용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인지된 위험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혁신속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의류소비정도가 구매혁신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는 구매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보다 혁신속성의 평가에 더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Impacts of Fashion Products Attributes and 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on Impulse Buy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모바일 패션 쇼핑몰에서 패션제품 속성과 모바일 쇼핑몰 속성이 충동구매 행동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Park, Eunjoo;Kang, Eunmi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18 no.2
    • /
    • pp.158-16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fashion product attributes and 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on impulse buying behavior and mobile shopping satisfaction. The findings provide new information to marketers on marketing strategy for mobile shopping malls. We obtained 283 usable questionnaires from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using SPSS for Window 21.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y AMOS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utility of fashion products attribut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impulse buying behavior when buying fashion products in a mobile mall. Uti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and exhibitionistic had a positive effect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Next, continuous management of 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influenced impulse buying behavior. In addition, impulse buying behavior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Fashion product attributes had a greater impact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than mobile mall properties when buying fashion products in the mobile mall; in addition, impulse buying facilitated customer satisfact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between Online and Offline Channels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비교연구 -제품유형과 구매속성 중요도를 중심으로-)

  • Park,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b
    • /
    • pp.145-163
    • /
    • 2001
  • 최근 인터넷 상거래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기업의 경쟁이 실물세계와 가상세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이 전개되고 있다. 즉, 유통경로의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물리적 세계에 존재하는 전통적인(오프라인) 유통경로와 사이버공간에 존재하는 가상(온라인) 유통경로가 서로 경쟁하는 형국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유통경로간 경쟁의 중심부에는 고객이 자리잡고 있다. 어떤 경로든 소비자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들에게 최상의 유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로는 생존·번영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논의들과 현상들을 볼 때, 어느 한 유통경로가 다른 유통경로를 완전히 대체하는 제로섬 게임의 양상은 나타나고 있지 않다. 즉, 상당기간 두 유통경로는 상호 병존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 두 경로가 자신들만의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가지고 생존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 두 경로상에서 소비자의 구매(쇼핑)행동은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유통경로와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제품유형별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구매속성중요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확인. 검증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캐주얼의류, 여행상품, 음악CD를 가지고 인터넷 사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구매속성 중요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매장이 어떻게 차별화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계육내 CLAisomer는 1, 2, 3% 급여구에서 각각 12.23, 18.74, 25.67 mg/g으로 처리구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CLA의 급여는 SBO와 CT에 비하여 증체량을 개선하고 혈중HDL을 높여주는 경향을 보였지만 ND항체가는 개선되지 못하였다.으며, 그 효과는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고콜레스테롤 투여군(HC)의 분변 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 농도는 정상대조군(C)에 비해 다소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뽕잎첨가군(HC5M과 HC10M)의 총 지질,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는 콜레스테롤 투여군(HC)에 비해 분변으로 배설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뽕잎 분말은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하는 경우 혈청과 간장의 지질수준은 떨어뜨리고, 분변중 지질배설량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보인다.둘째. 1990년대 한국과 미국 패션시장의 가격과 품질간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제품군별. 산업범주별 로 상이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패션제품군별로 보 면, 한국의 경우는 가장 높은 '여행용가방(r = 0.707)' 에서 가장 낮은 '자외선 차단화장품(r = -0.58)'까지, 그리고 미국 패션제품군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팬티 스타킹'의 0.820에서 '남성용 런닝슈즈'의 -0.472까지의 분포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가 알 경우 얻을 수 있는 소비자의 구매이득 을 추산한 결과 패션제품시장에서 완전한 품질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 '현명한 사람'은, 최고가격의 제품만을

  • PDF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Product Attributes, Product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r Schoolbags - Focusing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Ju - (통학가방구매 시 패션제품속성요인과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와의 관계 - 대구, 경주 지역의 중고생올 중심으로 -)

  • Park, Goo-Ja;Yoo, Tai-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9 no.6
    • /
    • pp.16-28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 among fashion product attributes of schoolbag, product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otal 31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female/mal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Ju.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13.0K statistics program as data analysi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also conduct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sex, domicile,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The findings hum the analysis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First, female students is higher subjective fashion product attributes(fashion, individuality, refined) and objective fashion product attributes(design, color) importance than male students in purchasing schoolbag. High school students is higher subjective fashion product attributes(fashion, individuality) and objective fashion product attributes(brand, color) importanc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purchasing schoolbag. Second, product satisfaction are positive influenced by practicality and individuality of subjective fashion product attributes. Product satisfaction are not influenced by fashion and refined of subjective fashion product attributes. Third, product satisfaction are positive influenced by brand and design of objective fashion product attributes. Product satisfaction are not influenced by price and color of objective fashion product attributes. Forth, repurchase intention in schoolbag are strong positive influenced by product satisfaction.

Fashion analysi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패션 분석 기술)

  • Song, Hyok;Ko, Min-Soo;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673-674
    • /
    • 2020
  • 의식주 중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외부와의 교류를 할 수 있는 분야는 패션분야로서 인간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람들의 개인화된 성향 변화 및 인터넷 환경의 개선으로 트렌드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단순히 객체의 검출 및 분류에서 벗어나 패션 아이템의 분석 및 세부적인 속성을 분석할 수 있는 수준에 다다랐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패션 트렌드의 빠른 변화 및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이를 활용한 플랫폼에 기반을 두어 디자이너에게는 디자인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개인화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술 기반 패션 분석 기술 개발을 위하여 패션 검출 모듈, 패션 검색 모듈, 패션 검색을 위한 벡터 검색 모듈, 상하의 분리를 위한 세그먼테이션 모듈, 패션 복종 분류 모듈을 개발하여 통합하였으며 패션 검색 정확도는 Top-5 기준 75.28%, 벡터 검색 속도는 벡터당 0.002m sec 이하, 세그먼테이션 추출 정확도 87.6%이상, 패션 검출 결과 IoU 0.5 환경에서 96.2%, 복종분석 90.54%의 성능을 보였다.

  • PDF

쇼핑가치유형에 따른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 진희숙;박재옥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22-24
    • /
    • 2004
  • 유통시장의 개방과 경제 성장 등으로 우리나라의 유통업계는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소매점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한 전략은 소비자의 관점에 근거를 둔 서비스 품질의 향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소매업과는 달리 의류점포는 상품과 서비스의 판매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곳이며, 의류제품과 같은 패션 상품은 개인의 주관성이 많이 개입되는 제품군으로 다른 제품과는 달리 기능적 속성들의 비교평가에서 얻어지는 이점만으로는 제품의 만족이 충족되지 않는다. (중략)

  • PDF

Impa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Comparison among Formal, Casual, Sports Brands - (패션브랜드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

  • Ko, Eun-Ju;Yun, Sun-You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14
    • /
    • pp.59-80
    • /
    • 2004
  • As industrial development standardizes the quality of products, people are increasingly attracted by a certain brand with intangible value. Consumers, surrounded by a variety of brand in a market, want to have relationships with specific brands reflected by their personality. Especially in fashion, brand personality is more important since products are highly involved in terms of personal emo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dimension of overall fashion brand personality, to specify the 'Dimension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according to fashion product categories (i.e., formal wear, casual wear, sports wear),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ch dimension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based on Aaker(1997)'s 'Big five factors' and selection fashion brand personality factors from our pretest, the fashion brand personality factors were verified as 'Fashionable/ Innovative', 'Sincere', 'Universal! Stable', 'Professional'. Secondly, according to fashion product categories, brand personality was defined as below. Brand personality for formal wear included 'Innovative/ Active', 'Stable', 'Professional', and 'Universal'. Brand personality for casual wear included 'Fashionable/ Innovative', 'Active', 'Sincere', and 'Stable'. Brand personality for sports wear included 'Innovative', 'Social', 'and 'Sincere'. Finally, overall fashion brand personality factors (' Sincere', 'Universal! Stable', 'Professional') influenced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formal wear, 'Professional' influenced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casual wear, 'Active' influenced on brand preference, but 'Fashionable' and 'Sincere' influenced on purchase intention. In sports wear, 'Sincere' influenced on brand preference and 'Innovative' influenced on purchase intention.

  • PDF

A Study on Consumer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Fashion Trading Area (패션상권에 따른 소비자의 의복구매행동 연구)

  • 정형도;유태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0 no.8
    • /
    • pp.165-175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fashion trading area's conditions of Busan area to establish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conditions of location in choosing the new retailers and to propose the most efficient, optimum fashion trading area(FTA) under the management mind of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21C management paradigm.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for this study were 1083 women visited FTA in Busan.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MANOVA, ANOVA, frequency and trend analysis, and the Cronabach $\alpha$ and Turkey HSD were also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spatial behavior according to fashion trading area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rling position, movement means, movement time, visit purpose and visit frequency. 2 The buying behavior of fashion items according to fashion trading area shows difference in fashion trading area shows difference in fashion trading area, store and buying behavior.

  • PDF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Values on the Evaluations of Fashion Product Attributes and Brand Re-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Price Level -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패션제품 속성평가 및 브랜드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격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Park, Hyun-Hee;Ku, Yang-Suk;Koo, Dong-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1 no.2 s.161
    • /
    • pp.236-246
    • /
    • 2007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reasons of fashion brand repurchase intention formation based on means-end chain theory and to identify whether the price level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ribute evalu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Questionnaire data from 291 consumers who had purchase experience of casual wear during the last 6 month period through off-line retail shop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hedonic shopping value had a positive impact on aesthetic attribute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physical attribute of fashion product. While aesthetic attribu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repurchase intention, physical attribute had no effect on brand re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price level between the links from shopping value to fashion product attribute evaluation. When casual wear companies have to devise price related strategies, they need to pay attention to diverse promotion factors except for product attributes to realize price-based differentiation.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Store Attribute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Internet Fashion Product Shopping (온라인상의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점포 속성에 관한 연구)

  • 구양숙;이승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6
    • /
    • pp.1100-111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ashion On-line store attributes for fashion On-line shopping mall and to identify significant On-line store attributes, influencing consumers'purchase intention of interned fashion product shopping.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56 adults who had purchasing experience at fashion On-line shopping mall. SPSS 9.0 package was used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X^2-test$, t-test, frequency, percentage,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n-line store attribute dimensions of fashion On-line shopping mall were tangibility, variety, marketing promotion, responsiveness, reputation, price and convenience. 2. The purchase experienced consumers showed higher purchase intention of Internet fashion product shopping and highly perceived about all sub-factors, except reputation. in On-line store attributes that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fashion On-line shopping attitudes. The purchase experienced consumers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Fashion On-line shopping than non purchase experienced consumers. Attitudes toward Fashion On-line shopping have directly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of Internet fashion product shopp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