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의류산업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33초

폐의류의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Upcycling Fashion Design through Demolition and Recombination of Waste Clothing)

  • 정희경;허정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05-611
    • /
    • 2024
  • 본 연구는 패션 산업에서 업사이클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대량 생산과 패스트 패션으로 인한 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진행되었다. 환경 윤리적 측면을 강조하며, 전통적인 업사이클링 개념을 넘어서 새로운 표현 방법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기존 의류의 위치, 기능 및 역할을 변경하여 새로운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을 제안한다. 작품제작의 타겟은 20대와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며, 여러 재료와 자주 버려지는 의류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환경적 책임을 다루면서도 창의적인 디자인을 구현하는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패션혁신성 및 패션관여도가 의류재활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남녀 비교 연구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Fashion Innovativeness and Fashion Involvement on Attitudes toward Apparel Recycling)

  • 이민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69-678
    • /
    • 2018
  • With increasing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issues that can result from apparel and textile disposal, the recycling methods for discarded fashion products have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As the influential drivers of consumer purchasing and consuming behaviors, fashion innovativeness and fashion involvement can play important roles in forming consumer attitudes toward apparel recyc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investigate consumer attitudes toward three different methods of apparel recycling including resale, reform, and donation, (2) examine the effects of fashion innovativeness and fashion involvement on consumers' apparel recycling attitudes, and (3) identify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s among fashion innovativeness, fashion involvement, and recycling attitudes. Using a web-base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81 Korean consumers who were in their 20s and 30s. Overall, both male and female consumers revealed the most favorable attitudes toward apparel recycling through donation, followed by reform, and resale. The findings suggest that consumer traits, such as fashion innovativeness and fashion involvement, are important factors predicting male consumers' apparel recycling behaviors. Those male consumers who perceive fashion as important were more interested in apparel recycling than those males who put low importance on fashion. Male fashion innovators were less likely to recycle their unused and old apparel items. Further studies identifying antecedents of female consumers' attitudes toward apparel recycling are warranted.

미국 패션전문 일간지 WWD에 드러난 한국 패션산업에 대한 인식 (How the Korean Fashion Industry is Viewed by WWD USA)

  • 이유리;;;최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915-1926
    • /
    • 2008
  • 국가와 산업의 이미지가 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그러한 영향력의 경로가 되는 매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미국의 대중매체에 드러난 한국의 패션산업 이미지가 한국의 패션제품을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본 가정하에, 한국 패션산업의 어떤 측면이 독자들에게 부각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명성 있는 패션전문 일간지인 WWD(Women's Wear Daily)를 선택하여 한국 패션산업과 관련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1998년 1월 1일부터 2008년 6월 30일까지 게재된 기사 중 "Korean" 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사를 우선적으로 검색하고 패션분야와 관련된 기사 총 329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섬유공급망 관리 상의 역할별로 분석 범주를 설정하고, 한국 패션산업이 공급망 상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 주체로 부각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의 패션산업은 섬유와 원단공급업자, 혹은 의류제조업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역사적으로 한국이 미국의 패션산업의 주요 소싱국가였던 이력을 반영하는 결과이다. 디자인, 브랜딩, 마케팅, 소매유통업을 담당하는 역할자로서 한국 패션산업을 바라보는 관점은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또한, 한국 패션산업은 패션에 관심이 많고 세계의 유명 고가 브랜드 제품을 소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높게 인식되고 있는 반면 한국 패션산업은 거시 경제의 환경 변화에 따라 경기변동을 펴는 취약점이 있음이 부각되기도 하였다.

크리티컬 패션에 표현된 패션산업 시스템과 패션소비문화에 대한 비평적 메시지 (Critical Messages on the Fashion Industry System and Fashion Consumption Culture in Critical Fashion Design)

  • 정정희;임은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17-729
    • /
    • 2019
  • This study defines critical fashion designs and investigate its critical messages on fashion itself. The critical messages on fashion are categorized into two major issues of a fashion industry system and fashion consumer cultu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and value for critical fashion messages that match critical art.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mbine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and the research scope focuses on cases that have appeared in fashion media since the 2000s when social critical messages in fashion began to emer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ritical designers such as Viktor & Rolf, Elisa van Joolen, Issey Miyake, and Mary Ping have delivered messages challenging the nature of fashion industry system that criticize the cycle and limitation of a fashion system and pursues changes in perception of sustainability. The critical message on fashion consumer culture articulated by designers such as Alexander McQueen, Vivienne Westwood, Hussein Chalayan, and Ricarda Bigolin & Nella Themelios insist 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while delivering a critical message on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problems that raise the mechanism of social awareness through fashion design.

디지털 의류 기술 개발 동향 (Trend in Digital Clothing Technology)

  • 김지은;정현태;조일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4권5호
    • /
    • pp.20-29
    • /
    • 2009
  • 디지털 의류는 디지털 기술이 의류에 자연스럽게 융합되면서 옷을 입은 사람뿐만 아니라 외부의 디지털 기기와도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의류이다. 1990년 후반부터 유럽과 미국에서는 섬유기술에 IT 기술을 융합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직물부품 및 직물회로를 구현하여 의류에 적용한 바 있다. 초기 디지털 의류는 군복과 같은 특수용도로 개발되었으나 요즘에는 MP3 플레이어 내장 의류, 색깔이 변하는 의류, 헬스케어 의류 등 일상생활용도의 의류가 개발되는 추세이다. 디지털 의류는 신소재 산업, 센서 산업 등 기술 집약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기존 전통 산업에 IT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섬유, 패션, 의류산업의 확장과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디지털 의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섬유 IT 및 의류 IT융합 핵심기술의 확보가 시급하다. 본 고에서는 섬유 IT 융합분야의 이해를 높이고자 디지털 의류 기술 개발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기술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