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션문화

Search Result 1,11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버버리 패션상품에 대한 소비자특성과 구매행동 연구

  • 전수영;이선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44-44
    • /
    • 2004
  • 본 연구는 세계적 패션명품인 버버리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과 소비행동의 특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연구의 초점은 구매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문화가치 및 이 문화가치에 영향을 받은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이 버버리 패션명품구입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중략)

  • PDF

패션에 표현된 Goth 스타일 연구

  • 박은경;정현숙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28-28
    • /
    • 2003
  • 새 천년의 디지털 문화에서 가상의 시나리오와 판타지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패션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그 주된 흐름이 하위문화의 하나인 Goth 스타일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Goth 스타일의 실체와 기원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패션에 표현된 Goth적 요소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shion Trends in 1990s -Focus on the Themes of Womens'Fashion- (1990년대 패션트렌드 분석연구 -여성패션의 테마를 중심으로-)

  • Nahm, Jae-Kyung;Geum, Key-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45-1654
    • /
    • 2001
  • 패션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이는 새로운 패션 트렌드의 출현을 의미한다. 특히 지난 1990년대 패션은 사회, 과학, 경제, 문화 등 사회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새롭고 다양한 가치의 추구로 패션분야에서도 새로운 것에 대한 욕구가 급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0년대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여 패션의 특성을 파악하여 미래의 패션을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패션트렌드는 향후 예측되는 유행테마, 스타일, 색채 , 소재 , 디테일 등을 제시하고 있는데 , 본 연구에서는 시대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패션테마만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패션테마로 제시되는 개념 이 나 용어들은 동시대의 사회현상과 패션 분야에서 요구될 것으로 예상되는 내용이 비교적 자유분방하게 제 시 하고 있으므로, 패션 테마의 분석과 고찰은 패션의 실체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테마로 제시된 용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 패션경향는 물론 패션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90년대 10년간의 패션트렌드로 설정했으며, 분석자료는 구체적으로 국내패션정보사인 K·F·S와 S· F·I에서 제시한 트렌드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990년대 패션은 종래의 상식적인 디자인 개념을 넘어서서 여러 가지 다채로운 스타일들이 역사적 시간과 여러 문화의 공간을 오가며 교류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인 특성을 강하게 나타냈으며 , 이러한 경향은 매우 깊고 광범위하게 1990년대 의 패션트렌드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최근의 첨단 과학 기술의 발달과 이에 반하는 자연으로의 회귀욕구와 인간의 본질을 추구하는 인식의 전환 또한 패션 트랜드에 영향을 주었다. 이들을 포용하는 패션 주제는 크게 자연주의, 세계주의, 미래주의, 복고주의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 와 같은 패션 테마들은 각각 독립 적 이 기보다는 서로 상호 보완하고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1990년대 패션으로 형상화되었다. 이러한 1990년대 패션 경향의 분석 결과는 동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동시에 패션의 특징인 주기성과 반복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패션의 특징을 파악하고, 21세기 패션 경향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고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f Korean-American Consumers' Fashion and Shopping Behavior Based on a Bidimensional Model of Acculturation (이차원적 문화적응이론을 토대로 한 한국계 미국인 소비자들의 패션 및 쇼핑 행동에 관한 연구)

  • Lee Yoon-Jung;Lee Jae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12 s.138
    • /
    • pp.1545-1553
    • /
    • 2004
  • This study assumes a bidimensional model of acculturation theo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culturation patterns of Korean-Americans and their fashion and shopping behavior. Bidimensional models of acculturation suggest that acculturating individuals may possess the components of both the heritage culture and the new, host culture. A combination of email and paper and pencil surveys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Korean-Americans who are living in Seattle and vicinity area (n=108).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related to the respondents' and their parents' demographic information, the respondents perceive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self-reported ethnic identification, ethnicity-related behaviors/attitudes, clothing involvement, shopping motivations, and fashion reference groups. The results support the bidimensional models of acculturation process as opposed to the linear model. Three different groups among Korean-Americans based on their ethnic identification pattern were found: a group with dominant Korean identity(Segregation group), a group with dominant American identity(Assimilation group), and a group with dual identity(Integration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ANOVA and subsequent Duncan and Scheffe tests, the Integration group showed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Segregation group or Assimilation group, in terms of their ethnicity-related behaviors/attitudes, clothing involvement, shopping motivations, and fashion reference group influence.

A Study on Tecktonik Culture and Fashion (테크토닉 문화와 패션에 대한 연구)

  • Kwon, Sang-Hee;Ha, Ji-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6
    • /
    • pp.869-87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ecktonik culture and fashion, and to compare its features in Korea and France. Unlike prior studies which mainly dealt with subcultures in the U. S. and the U. K.,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condition of Korea. Tecktonik is a dance and music craze that originated in France in 2000, and spread worldwide via the Internet. The main features of Tecktonik fashion are slim fit, vivid colors, and high-top sneakers, which represent current fashion and culture trends, and express the feeling of Tecktonik music and dance. Compared to France, Korean Tecktonik fashion emphasizes sexual attraction of women with short skirt, while men are conservative about mohican hairstyle and dark make-up. In France, Tecktonik has become a sound social amusement, while in Korea it has been used for advertisements or entertainer's fashion style.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Tecktonik were identified as playfulness, the active use of digital media, and high commercial value. In France where Tecktonik is for participating in a joyful dance, playfulness is prominent, and in Korea where Tecktonik acts as a visual entertainment, commercial value is outstanding. It has made differences in Tecktonik fashion of the two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