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디자인 특성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28초

중국 티베트 복식문화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Study on the Fashion Design by Utilizing the China's Tibetan Dress Culture)

  • 진추기;서승희
    • 복식
    • /
    • 제64권4호
    • /
    • pp.131-149
    • /
    • 2014
  • Tibetans are one of the ethnic Chinese minorities, and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ir traditional costumes by investigating their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background. This research also examined the cultural element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Tibet's nature, religion, arts culture such as the Jang-po, Chin-sam, Kam-kjun and belts, which are used to fix the costumes. Based on such studies the traditional Tibetan costumes were set as a motif and were expressed appropriately into a contemporary style. By studying the composition of its costumes and its costume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betan costume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features. First, the 'variability of form' expresses a new type depending on how it is worn. Second, the 'color contrast' shows a strong visual contrast. Third, the 'difference of materials' combines different materials into one. Fourth, the 'symbolic meaning' grants meaning to the wearer. As a result of this study,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betan nature culture, religion culture and art culture as a basis, two suits of clothes for each characteristics and six suits of clothes were produced as a fashion design product.

소비자 혁신성과 노스탤지어 성향에 따른 패션상품 구매기준, 패션정보원 활용, 패스트 패션상품과 친환경 패션상품에 대한 태도 특성 (Fashion product purchase criteria,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and fast fashion products based on consumer innovativeness and nostalgia)

  • 서민정;전대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3
    • /
    • 201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classify fashion consumers based on innovativeness and nostalgia and (2)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product purchase criteria,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and fast fashion products among the identified groups of consumers. A total of 327 respondents were clustered into four distinct groups: (1) high innovativeness and low nostalgia, (2) high innovativeness and high nostalgia, (3) low innovativeness and high nostalgia, and (4) low innovativeness and low nostalgia. The four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chase criteria of quality, design, and brands and no difference in the criteria of functionality and washing methods. The four groups preferred different sources of fashion information: fashion magazines, people in the street, and salespeople, but did not differ in term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nd in-store displays. While the four group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they did not show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fast fashion products, excluding usefulness. These meaningful results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merchandising strategies for both eco-friendly and fast fashion products.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 마케팅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Message Framing Types of Sustainable Marketing Campaigns of Luxury Impacting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Brand Trust)

  • 김민정;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245-252
    • /
    • 2024
  • 본 연구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지속가능 마케팅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이라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이 갖는 상호작용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로 하여금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을 높였으며, 수용자의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은 각각 해당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임이 직접적으로도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는데 있어 긍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물에 나타난 스트라이프의 조형적 특성을 이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Fashion Design Utiliz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nimal Stripes)

  • 염미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8-19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nimal stripes based on the colors, shapes and texture through classification standards under functional meanings, and it also aims to produce various stripe patterns based on its outcome to develop modern fashion design. For the study method, specialty publications, preceding researches and internet websites were utilized for the purpose of theoretical discussion on animal stripes. And it is also to examine functional meanings formed by animal stripe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ripes; subsequentl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is function, it is to identify the distinction of its color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colors. By using the following analyzed color palette of stripes, various stripe patterns were developed and designed with the sense of modern fashion while repeatedly using the shape with systematic colors and rhythms displayed on the animal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nimal stripes possess a regularity that is systematic and can be digitized. After identifying, analyzing and systemiz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nimal stripes, a concept of division and competition was applied; subsequently, whole new stripe patterns were developed and designed in order to further promote fashion design.

1990년대 패션트렌드 분석연구 -여성패션의 테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shion Trends in 1990s -Focus on the Themes of Womens'Fashion-)

  • Nahm, Jae-Kyung;Geum, Key-Sook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45-1654
    • /
    • 2001
  • 패션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이는 새로운 패션 트렌드의 출현을 의미한다. 특히 지난 1990년대 패션은 사회, 과학, 경제, 문화 등 사회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새롭고 다양한 가치의 추구로 패션분야에서도 새로운 것에 대한 욕구가 급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0년대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여 패션의 특성을 파악하여 미래의 패션을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패션트렌드는 향후 예측되는 유행테마, 스타일, 색채 , 소재 , 디테일 등을 제시하고 있는데 , 본 연구에서는 시대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패션테마만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패션테마로 제시되는 개념 이 나 용어들은 동시대의 사회현상과 패션 분야에서 요구될 것으로 예상되는 내용이 비교적 자유분방하게 제 시 하고 있으므로, 패션 테마의 분석과 고찰은 패션의 실체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테마로 제시된 용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 패션경향는 물론 패션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90년대 10년간의 패션트렌드로 설정했으며, 분석자료는 구체적으로 국내패션정보사인 K·F·S와 S· F·I에서 제시한 트렌드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990년대 패션은 종래의 상식적인 디자인 개념을 넘어서서 여러 가지 다채로운 스타일들이 역사적 시간과 여러 문화의 공간을 오가며 교류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인 특성을 강하게 나타냈으며 , 이러한 경향은 매우 깊고 광범위하게 1990년대 의 패션트렌드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최근의 첨단 과학 기술의 발달과 이에 반하는 자연으로의 회귀욕구와 인간의 본질을 추구하는 인식의 전환 또한 패션 트랜드에 영향을 주었다. 이들을 포용하는 패션 주제는 크게 자연주의, 세계주의, 미래주의, 복고주의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 와 같은 패션 테마들은 각각 독립 적 이 기보다는 서로 상호 보완하고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1990년대 패션으로 형상화되었다. 이러한 1990년대 패션 경향의 분석 결과는 동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동시에 패션의 특징인 주기성과 반복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패션의 특징을 파악하고, 21세기 패션 경향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고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 김신우;금기숙
    • 복식
    • /
    • 제52권1호
    • /
    • pp.53-67
    • /
    • 2002
  • 자연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기하학적 패턴은 이미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고 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기본형이기 때문에 간결하며 시각적으로 명쾌감을 준다. 이러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 디자인에 있어서 20 세기 이후 여러 디자이너의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어 현대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형성화하여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식의 문양, 실루엣, 디테일에 사용되고 있는 기하학적 패턴을 연구함으로써 기하학적 패턴의 새로운 조형가치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하학의 용어 정의를 하였고 기하학적 패턴의 유형과 표현 기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의 조형미와 그것을 바탕으로 패션 이미지를 추론해 보았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 패턴을 분석해 보면 유형으로는 첫째, 기하하적 문양으로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주로 평면적인 형태로 많이 나타나지만, 크기가 다르고 동일한 기하학적 패턴을 조합시킴으로서 평면적인 형태에 공간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같은 기하학적 패턴의 표면이라도 배치구조에 의해 직선 혹은 사선으로 지각되므로 전혀 다른 이미지를 주었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이 종류는 세로 스트라이프, 가로 스트라이프, 격자 문양, 원, 사선 스트라이프,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등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색채는 단색의 복식에 강한 대비가 이루어지는 색상으로 표현되어 역동감과 유연한 운동감을 나타났다. 셋째, 기하학적 실루엣으로 단순한 라인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입체적이고 부조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실루엣으로 사용되어 강한 조형감각을 보여주는데 원형을 이용한 실루엣이 가장 많았으며 사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삼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기하학적인 디테일로 복식의 어느 한 부분에 장식적으로 사용되거나 입체적 형태로 부출 되어 부조적인 느낌을 주는데 소매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앞여밈, 칼라, 밑단, 주머니 순서로 장식되었다. 다섯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의 표현기법으로는 프린팅, 퀼팅, piece기법, 패치워크, 엮기, 꼴라쥬, 아플리케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기하학 패턴을 활용한 디자인에 내재된 조형의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기하학적 패턴이 지닌 단순성과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패브릭을 조합시켜 입체적인 표면효과로 시각적인 착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표현기법은 입체파적 표현주의의 특성의 하나로 복시에 사용되는 소재의 왜곡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롭고 실험적인 소재의 도입으로 인해 의외성과 부조화를 유발시키는 통시에 유희직인 일면도 지니는 일종의 그로테스크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정립된 조형의지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란 기하학 패턴은 절제된 단순함과 명확성으로 단순미가 유추되었고 강한 색상대비로 인한 시각적 집중효과로 주목성을 가지며 재현이 가능하므로 반복성이 유추되었다. 그리고 표준영역이 없는 창의적 표현으로 풍부한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재된 패션 이미지를 분석해 보면 정확함과 차가움의 의미를 지닌 이지적 이미지와 우주의 질서를 반영하는 상징적 이미지, 복잡한 자연으로부터 간결한 형태로의 경향성이 이루어낸 인공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었으며, 미래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상반된 개념의 이미지를 같이 내포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을 조형예술 분야로 확실히 인식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창조적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영감을 주는데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패션 뷰티 콘텐츠의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에 대한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Platforms Usage of Beauty Content with YouTube at the Center)

  • 위서현;정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27-137
    • /
    • 2021
  •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활용한 유튜브 뷰티 콘텐츠 채널이 양적, 질적 확장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tatista를 통해 국내 및 해외 주요 뷰티 브랜드 및 패션지와 뷰티 인플루언서들을 대표하는 상위 5위의 채널을 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 뷰티 콘텐츠 생산자에 따른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과 콘텐츠 성격 비교 및 매력적인 콘텐츠가 어떤 유형과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증가하는 뷰티 관련 콘텐츠를 위한 전략으로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상 중심의 유튜브 플랫폼의 성장은 제품 정보의 원천을 다양화시킴으로서 기존 광고의 수동적 소비자들을 생산자 혹은 새로운 전달자의 역할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산자에 따라 다른 성격의 콘텐츠가 소비됨에 따라 객관적인 저널리즘적인 시선보다는 생산자 중심의 콘텐츠가 제작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차별화되는 뷰티 콘텐츠를 위해서는 밀레니얼 세대에 효과적인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요소와 더불어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 및 연결을 강화시킬 수 있는 '브랜드 가치'의 전달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주얼리의 선호도 (Preferences for Fashion Jewelry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 김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7-576
    • /
    • 2012
  • 본 연구는 패션주얼리의 디자인, 색상, 재료에 대하여 소비가치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여성소비자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비가치 조사도구는 VALS (Values and Life Style) 기법에 의하여 원리원칙 지향적 가치, 지위 지향적 가치, 행동 지향적 가치 등 세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소비가치에 따라 패션주얼리 디자인 특성에 따른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에 따라 패션주얼리 보석 세팅 개수에 따라서는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석재료에 따라서는 선호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션주얼리 색상특성에 있어서는 소비가치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주얼리 선호도에 차이가 전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사용가치 보다는 소비자의 소비가치에 의해 제품의 선호도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비가치에 따른 타겟화 과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전략 도출이 필요하다.

중국 경극(京劇) 배역의 의상 디자인 특성을 응용한 패션 디자인 (Fashion design applying the features of the Peking Opera's costume)

  • 왕매홍;천탠이;이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7
    • /
    • 2020
  • The Peking Opera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ultural aspects of China. It includes China's traditional specialties, such as stage performance, stage background, and costu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s and the costume characteristics of the Peking Opera to present fashion desig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for spreading the Peking Opera to the world by applying China's traditional costumes to fashion design. Based on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Peking Opera and the analysis of the opera costume, four sets of women's clothes were made by using the traditional Chinese elemen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raditional features such as patterns, colors, and styles from Peking Opera costumes were used in fashion design. The colors and patterns use Chinese traditional aesthetics to carry out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nd apply creative materials. Second, the neoprene used to create the items is a material suitable for the modern design of the traditional Peking Opera costumes. Neoprene has good elasticity and can be cut and sewn in a variety of ways. It can also satisfy the three-dimensional atmosphere and rich morphological changes found in Peking Opera costumes. In addition, a combination of thin chiffon and mesh materials is also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designs. Finally, in order to show the effects of traditional works, the patterns were finished by hand-painting. The hand-painted works were then scanned and printed on the material by the digital printing techniques. At the conclusion, the traditional features and feelings of the contemporary designs were presented.

패션제조업의 분포 특성과 직능 간 연계성 분석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dustries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Functional Sectors of Fashion Produc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유지연;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6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패션산업의 집중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패션산업의 공간분포를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한다. 특히, 우리나라 패션산업을 기존의 노동집약적인 저수익의 봉제의류산업에서 디자인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지식기반산업으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패션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서울의 패션제조업 분포에 지식기반산업들이 보이는 특성이 나타나는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이용하여 직능별 패션산업의 공간적 군집여부를 탐색하고, 그 분포양상을 바탕으로 수도권 패션산업의 클러스터를 구분 짓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직능 간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직능별 패션산업의 공간적 군집 형성에 영향을 주는 타 직능 변수와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