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디자인 구성요소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4초

2000년대 웨딩드레스 스타일의 패션이미지와 구성요소 표현특성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Design Elements and Fashion Images Shown in Wedding Dress Styles in the 2000s)

  • 전원희;유영선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64-76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design elements and fashion images shown in wedding dress styles in the 2000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wedding dress style the fashion images analysis showed that classic images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and fantastic, modern, kitsch, sexy, futuristic and ethnic images appeared the most, respectively. Second, design elements analysis of fashion images concluded that as for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 silhouette, A line was the highest in classic, fantastic and kitsch images and H line was the highest in ethnic, modern, futuristic and sexy image. As for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 necklines, bared top neckline was the highest in all of the fashion images. As for waistlines, natural waistlines except modern image of obscure waistlines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in all of the images. As for sleeve, sleeveless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in all of the images. As for material, see-through was the highest in ethnic, classic, sexy, fantastic and kitsch images. Luster material was the highest in modern and futuristic image. As for colors, white and achromatic, traditional wedding dress color, appeared the same in all of the seven fashion images, but chromatic colors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in ethnic images. Third, the distinguishing expression features of fashion images shown in the wedding dress style of the times is as follows: 'Total fashion in wedding dress style', 'Emphasizes sexy image expression in wedding dress style', 'Various co-existence of wedding dress style', and 'Avant-garde expression in wedding dress style'.

중국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 구성요소 특성 분석 (Analysis of VMD Elements Characteristics of Chinese Lifestyle Shops)

  • 김현주;이민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267-278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내 1인가구의 증가 및 소비패턴 등의 변화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샵이 급부상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중국의 라이프스타일 샵을 선정하여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화를 두었고 또한 VMD 구성요소 특성 분석을 통해 중국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라이프스타일 샵-GAROSU, CH'IN, NOME의 VMD의 진열적요소에서 집기와 소도구는 상품컨셉과 디자인에 따라 차별화된 형태 및 재질을 이용하고 있었고, 비주얼이미지의 정보내용, POP의 내용에 있어서 라이프스타일샵의 컨셉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연출적 요소에 있어서도 VP, PP, IP에 있어서 매장 상품군 및 상품의 진열량에 따라 VP의 형태와 PP, IP의 연출방법 등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후속연구에서 국내 라이프스타일 샵에 관한 연구 및 중국과 국내 라이프스타일샵의 VMD 비교분석 연구를 진행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스커트 디자인의 구성적 요소에 따른 이미지 평가 - 광주광역시 Z세대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 (An Imag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Skirt Designs in Modern Men's Fashion - Focusing on Gwangju City's Generation Z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 양효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9-173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of the skirt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imag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elements (type, length, and wearing method) of men's skirt designs in modern fashion. The study included 10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Generation Z residing or whose life center wa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o evaluate 12 images depicting types of men's skirts. First, the constituent image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design elements of men's skirts were analyzed. Second, the differences in each constituent image evaluation factor based on the constituent design elements of men's skirt designs were analyzed. Third, the gender-based differences in image evaluation by men and women concerning the constituent design elements of men's skirt desig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included relatively more women than men. The results of the image recognition dimension included the following categories: "attractive image," "evaluable image," "gender image," and "personality image." In modern fashion, skirts are used to express the diverse personalities of men's fashion. Thus, they are used beyond the stereotype of women's clothing, toward expanding and diversifying the image of men's clothing through mixing and creating a dichotomous image of men and women. It can be used as a design that suggests a gender-fluid image.

패션 트렌드 정보지에 나타난 니트소재 분석 - 2002년~2011년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Knitted Fabrics in Fashion Trend Books - Focused on 2002~2011 -)

  • 김미진;정승령;박명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7-145
    • /
    • 2012
  •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overall trends of knit fabrics in fashion trends books, this study analyzed the components(fabric, yarn, gauge, thickness, knitting structure, pattern, dyeing and finishing) of knit fabrics in fashion trends books by the years and seasons from the S/S season of 2002 to the F/W season of 2011. Analyzed in the study were total 883 knit fabrics including the knit samples in Nelly Rodi Knitwear and Promostyl Fabrics. Collected data were put to frequency analysis with SPSS 12.0. Group mea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for thicknes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As for knit fabrics in fashion trend books by the years and seasons, knit fabrics were most used in 2004 with similar frequency of knit fabrics among the seasons. As for fabric composition of knit fabrics, the uses of blend fabrics were considerably prominent both in S/S and F/W seasons and recorded the highest level in the S/S season of 2003 and the F/W season of 2002. As for gauge composition of knit fabrics, S/S seasons saw the most uses of fine G of 20G or higher, while F/W seasons saw the many uses of 12G-18G, whic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2002. As for knitting structure of knit fabrics, the plain stitch was used most both in S/S and F/W seasons and recorded the highest level in the S/S season of 2011 and the F/W season of 2007. As for pattern of knit fabrics, stripes and solid patterns were used most regardless of seasons. As for dyeing and finishing of knit fabrics, non-processed fabrics were used most, recording high frequency in the early 2000s.

  • PDF

덤벨 이코노미 현상을 반영한 스마트 애슬레저 패션 개발 -상·하체의 각도별 근력운동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mart Athleisure Fashion for Dumbbell Economy -Focused on the Analysis of Upper and Lower body muscle strength by angle-)

  • 김가연;김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65-176
    • /
    • 2021
  • 최근 홈트레이닝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헬스케어 분야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덤벨이 코노미 현상을 반영한 고부가가치의 패션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상·하체 근력운동을 원하는 운동 초보자를 위한 스마트폰 앱의 UI/UX 개발 및 덤벨 이코노미 현상에 활용 가능한 스마트 애슬레저 패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상·하체의 각도별 근력운동 자세 고찰을 통해 운동 초보자를 위한 운동방법, 호흡법, 운동범위에 대한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력운동 전문가를 대상으로 사용자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의 필요성 검증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카운팅, 운동 자세, 운동 캘린더 기능의 3가지 콘텐츠로 구성된 스마트폰 앱 UI/UX 개발과 사용자 중심의 기술적·디자인적 측면에서 필요한 콘셉트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탈·부착 커스터마이징 형태의 스마트 애슬레저 패션을 개발하였다.

지체 장애인을 위한 개호복 디자인 (Adaptive Clothing Designs for the Individuals with Special Needs)

  • 나현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33-941
    • /
    • 2007
  • 재해로 인한 후천적인 장애인과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들이 가지는 신체적인 제약을 보완할 수 있는 개호복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체 장애인의 의상 디자인을 위한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제공하여 패션과 기능이 접목된 의상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장애로 인한 신체적인 특성 및 의상착용에서의 문제점 등을 조사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호복 디자인에서 고려해야 할 필수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장애인이나 노인을 위한 의상을 취급하는 21개의 웹사이트를 선정하여 조사하고, 실용적이고 기능적이며 미적인 의상들을 품목별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의복에서는 오프닝의 구성 및 위치, 단추 지퍼 벨크로 등과 같은 여밈의 종류와 수, 움직임의 편안함과 연결된 디자인 개발이 주의깊게 고려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신체적 인 제약을 보완할 수 디자인의 연구와 개발은, 장애인 개개인이 자신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고 의기소침함에서 벗어난 긍정적인 사고를 갖게 하고 숨어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사회적 재활의 한 측면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꾸준히 지속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국내 캐릭터 선호도 조사를 통한 이용충족 분석연구 -스토리텔링과 디자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use and satisfaction factors through Domestic Character Preference Survey - Focused on Storytelling and Design -)

  • 이종윤;윤주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7호
    • /
    • pp.381-412
    • /
    • 2017
  • 캐릭터(Character)는 풍부한 스토리텔링과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국내캐릭터는 오프라인과 SNS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변화 발전하고 있으며 콘텐츠 산업적인 측면에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캐릭터 이용자들이 어떠한 스토리텔링 요인과 색채 요인으로 국내 캐릭터들을 이용하고 만족하는지에 대해서 요인을 발견하고 논의하는데 있다.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모험, 판타지, 황당하고 익살스러운 스토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채 측면에서는 단순하고 심플한 주요색과 난색으로 구성되어 따뜻하고 귀여운 느낌의 색채 구성을 지닌 캐릭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단순한 소재의 유아 교육, 패션이나 완구가 주목적으로 되어 있는 단순한 스토리를 지닌 캐릭터는 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채 측면에서는 주요색이 없이 4개 이상의 색들로 조합이 되어서 복잡한 느낌을 주는 캐릭터를 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모험, 판타지 구조를 지닌 스토리 전개를 통해 OSMU의 콘텐츠로 변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색채 측면에서는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단순하고 심플한 난색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조립 로봇완구 캐릭터도 단순한 색상 구성을 통해 캐릭터의 이용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 스토리텔링과 색채 측면에서 이용자들이 만족하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이 이론적 측면, 스토리텔링 측면, 캐릭터 디자인, 산업적인 측면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논문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캐릭터 대상의 스토리텔링의 분석틀과 색채분석틀을 통한 연구, 색채분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분석 제시, 캐릭터 하나에 대한 단순 비교 분석을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니고 있다.

샤넬 재킷 디자인의 구성학적 요소 분석 (Analysis of the Constructional Components of Chanel Jacket Design)

  • 최세린;도월희;이미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6-278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nsformation of the Chanel jacket by looking at clothing design and constructional components. This study explored Chanel jacket's designs from 2001 S/S to 2016-17 F/W, and collected designs from Samsung Design Net and Vogue. The study used 690 designs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silhouette of the Chanel jacket, straight silhouette and hourglass silhouette had the most; in addition, in the length, hip line and under hip line were in order. Second, in case of collar and neckline, the form of a non-collar was the most and revealed the persistence of round neckline which is the basic style of a Chanel jacket. Third, in the shape of sleeves, the loose-fit straight sleeves, wide sleeves, and cocoon sleeves appeared most often. In method of closure, button, zipper were in order, and snaps or without closure appeared. Fourth, in the form of braids, various forms such as twisted yarns, leashes, or lace were used, and patch pockets were mainly used in pockets. Chanel maintains its original design by using various methods. Chanel tried to improve activity and functionality through silhouettes, lengths, necklines, and sleeves. The unchanging expression of the world of Chanel will continue to display and inherit future value. This study can provide Chanel's unique characteristics and new ideas that can transform their origins for jacket design.

FACADE특성에 따른 매장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The Visual Expression in a Store by the Characteristics of Facade)

  • 송인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20
    • /
    • 1998
  • 상업공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현대의 고도 산업사회에서는 대량생산, 대량유통체계의 판매촉진수단으로서 극히 중요한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생활의 질적 향상으로 인해 다양화, 개성 화되고 있는 고객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그 역학이 한층 중요시되고 있다. 더욱이 상업건축물의 입면은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있어서 매장의 레이아웃을 비롯한 전시공간 설정 및 표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장의 입면 유형은 정보를 제공하는 선전 소구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외부공간구성의 중요한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입면을 이루고 있는 도입부공간은 매장의 일부이며 가로(街路)공간과도 관련되어 있어 그 기능적인 문제와 표현상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매장과 가로의 양측 면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내부와 외부의 절충공간으로서의 도입공간을 중심으로 매장에 있어 서 입면이 갖는 제반 특성을 파악하고 각 특성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였으며, 매장의 입면유형이 매장환경에 미치는 제반요소인 구획, 유도계획, 배치계획 등과의 관계를 제 조명하려 하였다. 따라서 서울 명동소재의 패션전문매장이 현황조사를 통해 입면 유형과 비주얼 프리젠테이션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개념에 입각한 공간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고부가가치 패션제품개발을 위한 오뜨꾸뛰르 디자이너 복고적 재킷디자인 분석 (An Analysis on Retro Jacket Designs of Haute Couture Designers for the Development of High-Value Added Fashion Products)

  • 김언정;유영선
    • 복식
    • /
    • 제64권3호
    • /
    • pp.77-9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xpression methods of Haute Couture designers' high value-added jacket design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positions and sizes of the design component items of tailored jackets designed by Haute Couture designers from the 1940s to the 1970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ilhouette changed while leading the contemporaneous fashions, and such changes could be confirmed by the width and length of the jacket's shoulder, chest, waist, and hem that determine the silhouette. Particularly, the length of the chest changed which signifies that the depth of the armhole w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high value-added jackets in relation to the sleeves and the fit of jackets. Second, the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dart are the components that can express the fit of a jacket and the designer's creativity, The starting point position of the dart and the position passing by waist, and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dart were placed in the position beyond B.P. depending on the designer's creativity and techniques, deriving the changes of the silhouette and creating high value-added jackets. Third, the tailored collar, which was a three-dimensional component made up of the upper collar, gorge line, lapel, and break line, was an important component that could express high value-added jackets. Changes in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break line position of the sides of the neck were represented as changes in the neck size of the collar, and changes in the vertex locations of the upper collar corner-point, the gorge line (the corner-point of the lapel and V zone) were also represented as diverse tailored collar designs. And the differences in the width and the length of each component of the collar were related to each other and represented as changes in the slope and angle of the collar outline. Fourth, the changes in sleeve designs of the jacket were in such items as the width of the sleeve opening, the width of the sleeve hem, and the length of the sleeve, and were represented as diverse sleeve designs such as widened sleeve opening types, and straight line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