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팔 근육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9초

국소적 전기근육자극을 결합한 기구 필라테스가 유방절제술 후 유방암 환자의 통증, 림프부종 및 팔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 무작위 교차실험 연구 (The Effects of Instrument Pilates Exercise with EMS on Pain, Lymphedema and Range of Motion of Upper Extremity in Subjects after Mastectomy : Randomized Cross-over Design)

  • 강채영;박현주;천승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3-120
    • /
    • 2022
  • Purpose : Lymphedema is a common complication in mastectomy patients and is usually characterized by pain, swelling, and limited range of motion (ROM) in the arm. Electromyostimulation (EMS) is widely used for the rehabilitation and recovery of subjects with various neuromusculoskeletal disorders after breast cancer. However, EMS has not yet been used in many Pilates exercises.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ing the effects of instrument Pilates integrated with EMS on pain, lymphedema, and ROM of the upper extremity (UE) in breast cancer subjects after mastectomy. Methods : Nine female breast cancer subjects who had undergone mastectom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jects underwent instrument Pilates with EMS (experimental group) or instrument Pilates only (control group). Pain, lymphedema, and ROM of the UE were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the circumference length of the UE, and the ROM of the UE.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ain, lymphedema, and ROM of the arm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wo group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 < .05. Results :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p<.05) and UE circumference (p<.05)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VAS (p>.05) or circumference length of the UE (p>.05). There was on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internal rotation of the ROM of the UE (p<.05).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instrument Pilates exercises combined with EMS may positively affect the internal rotation of the ROM of the UE in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mastectomy, thus contributing to existing knowledge about instrument Pilates using EM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in breast cancer subjects after mastectomy.

운동 후 발생한 횡문근 융해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Rhabdomyolysis After Exercise)

  • 안영준;이승림;유재호;주민홍;김성완;박지만;양보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0-114
    • /
    • 2007
  • 목적: 전투 경찰에게서 과도한 신체 활동 후 발생한 횡문근 융해증의 임상 양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 1 일부터 2005년 5월 23일까지 운동이나 훈련 후 발생한 근육통 및 근육종창을 주소로 본원을 방문한 전투 경찰 중에서 횡문근 융해증이 의심되어 입원한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검사(CPK, CK-MB, AST BUN/Cr, Electrolyte) 및 임상 경과를 관찰하였다. 이 들은 모두 남자였고, 평균 연령은 20세 ($19\sim21$세) 였다. 발병 원인으로는 팔굽혀펴기 후 발생한 것이 7례, 축구 경기 후 발생한 것이 5례, 시위 진압 후 발생한 것이 1례였다. 이 학적 소견상 다양한 신체 부위에 종창 및 압통을 호소하였는데 전완부에 발생한 경우가 4례, 상완부가 3례, 견갑부가 1례, 하지가 5례였다. 횡문근 융해증의 진단기준은 내원 당시 임상증상과 함께 혈중 CPK가 1,000 IU/L이상인 경우로 하였고 약물 복용력이나 내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99mTc-MDP 20mCi를 정맥주사 후 4시간에 bone scan을 시행하였다. 치료는 침상 안정가료 및 수액요법을 시행하였고 동통을 심하게 호소하는 환자에게는 부목고정을 실시 하였다. 결과: 전체 입원환자 13명의 평균 재원 기간은 20일 (14일$\sim$42일)이었고 내원 당시 급성신부전을 보인 1례를 제외하고는 수액 요법 및 휴식을 시행한지 평균 8일 (2일$\sim$11일) 후 혈액학적으로 CPK가 1000이 하로 감소되었으며 임상적으로도 뚜렷한 회복을 보였다. 급성신부전을 보인 1례에서는 혈액투석 및 수액요법을 시행 한 후 회복되었다. 결론: 심한 운동이나 훈련 후 부종 및 근육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운동 유발 횡문근 융해증을 의심하여 조기에 혈액검사 및 수액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근육 골격계의 질환 및 재활분석(수영선수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wimming Injuries and Their Rehabilitation)

  • 김귀백;지진구;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5-330
    • /
    • 2022
  • 수영은 육상과 더불어 대표적인 기초 종목으로 손, 발을 사용하여 물속에서 헤엄치는 종목이기 때문에 기술적 훈련과 더불어 물의 압력에 따른 신체적 적응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된다. 수영은 지상의 운동과는 다르게 물속에서 손과 발을 이용해 나아가고, 물의 저항으로 인해 근육을 움직이는 전신운동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비만의 예방과 혈관질환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운동 중 하나이다. 비교적 안전한 종목에 속하지만 다른 스포츠 종목들과 비슷하게 크고 적은 스포츠 상해가 발생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영 종목에서 유발되는 상해와 재활에 관한 연구 자료는 부족한 상황이다. 수영 선수의 상해는 일반적으로 고강도의 훈련, 많은 훈련 량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수영 선수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상해와 질환으로는 극상근건염(supraspinatus tendinitis), 이두근건염(biceps tendinitis), 슬관절의 내측 활액막염(synovitis), 발등의 신근 건염(extensor tendinitis), 요통(low back pain)을 동반하는 척추분리증(spondylolysis), 척주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수영 경영 선수의 스포츠상해 부위 및 빈도조사 연구분석에 의하면 상해부위는 어깨관절(50%), 허리(23%), 하지(22%)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해종류로는 근육 손상과 인대손상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결과 수영 종목의 상해 부위는 상지(목, 어깨, 팔, 손목), 하지상해(무릎, 발목), 및 허리상해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법별 상해분석으로 자유형, 배영, 접영 영법에서는 어깨 부위 상해가 많이 발생하였고 회전근개손상, 충돌증후군, SLAP (superior labral tear from anterior to posterior) 병변 순으로 나타났다. 평영 영법은 하지손상인 무릎손상, 평영과 접영은 척수상해, 접영은 허리상해 순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도자는 선수들이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충분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실시하도록 하고, 응급처치를 숙지하여 부상 발생 시 빠른 응급처치로 2차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코치 및 지도자는 선수들에게 알맞는 재활 방법들을 처치하고, 선수들의 상해 예방과 처치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추후 수영 영법 별 상해 예방과 상해 처치 그리고 재활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기전적 연구들이 수행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부 점화원에 의한 여성 신체의 연소 (Combustion of a Female Body Due to an External Ignition Source)

  • 조영진;지홍근;김선재;임규영;이동규;최경원;박종택;문병선;고재모;박남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94-96
    • /
    • 2020
  • 2013년 11월 한국의 농촌 주택에서 발생한 여성 신체의 지속적인 연소 사례가 제시된다. 여성의 신체 중 무릎에서 목 부분까지는 거의 완전하게 소각되었고 머리, 팔, 무릎 아래의 다리 및 발은 거의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었다. 외부 점화원으로는 성냥에 의한 불씨가 가장 유력했다. 거실 바닥에서 발견된 할머니만 주로 연소되었으며, 주택 안에 있는 다른 사물들은 검갈색의 기름이 묻은 것처럼 또는 기름으로 코팅된 것처럼 보였으며 사실상 거의 연소되지 않았다. 변사자의 타지 않은 의류 및 양말에서 인화성 물질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근육 조직에서 약독물 성분 또한 확인되지 않았다. 말초 혈액의 혈중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 농도는 11%, 안방수의 에틸알콜농도는 0.010% 미만이었다. 부검 결과 탄화가 고도로 진행되어 사망원인을 단정하기 어려웠다.

불활화 분할 인플루엔자 백신의 국내 시판 후 조사 연구 (Post-marketing Surveillance Study of an Inactivated Split-Virion Influenza Vaccine in Korea)

  • 허재원;마상혁;김현균;바바슈리 구나팔라이아;한스복;플루아릭스 054 연구 그룹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68-79
    • /
    • 2011
  • 목 적:본 시판 후 조사(NCT00750360)는 2002년부터 국내에서 사용 허가된 정제불활화 3가 분할 인플루엔자 백신의 안전성 및 반응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생후 6개월 이상의 소아 및 성인 피험자 총 883명을 대상으로 평가대상 인플루엔자 백신을 1회 접종하였다. 이전에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지 않았거나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만 9세 미만의 소아의 경우에는 1회의 추가접종을 실시 하였다. 411명의 피험자가 일일 기록카드를 사용하여 안정성 정보를 기록하였으며 본 보고서에는 이들 피험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전신 및 투여부위에서의 명시된 이상반응 및 명시되지 않은 이상반응의 발생률을 기록하였다(백신접종 후 각각 4일 및 21일 동안 추적 관찰하였음). 또한 연구진행기간 전체에 걸쳐서 중대한 유해사례를 추적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결 과 : 가장 흔하게 관찰된 전신 및 투여부위에서의 명시된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만 6세 미만의 소아: 12.6%, 만 6세 이상의 소아: 34.7%), 발열(만 6세 미만: 1.3%) 그리고 근육통(만 6세 이상: 13.9%) 이었다. 등급 3의 명시된 이상반응은 전체 피험자의 4.0% 이하에서 보고되었다. 한국식품의약품 안전청의 기준에 따라 백신과 인과관계가 없는 중대한 유해사례도 기록하였다. 결 론 : 평가대상 백신의 전 연령대에서의 확립된 면역원성 및 우수한 안정성, 반응원성 프로파일과 국내에서의 높은 접종률을 고려할 때, 본 백신을 국가예방접종사업에 포함시켜 모든 연령대에서 계절성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증진시키기 위한 후보백신으로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일개 농촌지역 주민의 체구성, 운동 및 체력상태와 골밀도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Exercise Status, Fitness Statu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Some Rural Residents)

  • 양란;김건엽;이무식;김대경;노영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405-3411
    • /
    • 2009
  • 본 논문은 일개 농촌주민들을 대상으로 신체구성, 운동(과거 운동여부), 체력상태, 골밀도를 조사하고, 골밀도와의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농촌 주민들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14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결과로서 조사대상자들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골밀도가 낮았으며(p<0.05),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는 없는 경우보다 골밀도가 낮았다(p<0.05). 그리고, 체중 BMI 체지방량 제지방량이 많이 나가는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과거 운동을 했던 경우와 기초 대사량이 높은 경우, 근육량이 많은 경우 골밀도가 높았다(p<0.01). 또한, 악력 윗몸일으키기 팔굽혀펴기 등 체력이 좋은 경우 골밀도가 높았으며(p<0.01), 골밀도 수치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 회귀분석결과 연령, 만성질환 유무, 과거 운동유무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안정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팔굽혀펴기 운동시 견갑골 주위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A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in Periscapular Muscles during Push-up plus Exercise on Stable Support and Unstable Support)

  • 박수경;이현옥;김종순;김선엽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1-82
    • /
    • 2005
  • The couple force of the scapular stabilizers for upward rotation that include the upper and low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muscles is essential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shoulder joint. But if there is an imbalance of these muscles, it would occur many problems of shoulder joint. A push-up plus exercise with an unstable support is used in order to increase the muscle activity and stimulate the proprioception of shoulder j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uscle activity of upper and low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muscles and to determine which exercise is more effective when subjects perform push-up plus exercise in the stable support and unstable support. 15 healthy subjects and 15 painful subjects with injury of shoulder joi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data were collected during plus phase of push-up plus exercise. The types of push-up plus exercise were composed of three conditions. Stable type is subjects performed the push-up plus exercise on the fixed support and unstable type 1 is on the sling without shaking and unstable type 2 is on the sling with shaking by tester's manual. The upper and lower trapezius activities of injured group were higher than uninjured group at three measure conditions, but serratus anterior activities were not. The UT/SA ratio of injured group was higher than uninjured group at three measure conditions. The serratus anterior activities were most high at unstable 2 measure in both groups. The UT/SA ratio was most low at unstable 2 measure condition in injured group only. The present result revealed that push-up plus exercise in the unstable support with shaking which took most high serratus anterior activities and most low of UT/SA ratio is optimal cure method that can improve the imbalance of the scapular stabilizer.

  • PDF

교각운동시 팔의 보상작용에 따른 몸통 및 하지근육 활성도 분석 (Analysis of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of arm during bridge exercise)

  • 오규빈;김세희;김예은;안준성;유시연;정상진;조예빈;주진한;조기훈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20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of arm during bridge movement of healthy subject.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wenty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performed bridge exercise with 3 different arm positions(arm abduction 45°, 90° and cross-arms) and measur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and lower extrimity. During bridge exercise with 3 different arm positions, trunk (rectus abdominis, erector spinae) and lower extrimity muscle activity (gluteus mediu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were measured using wireless surface EMG. Results: Rectus abdominis and gluteus medius muscle were most activated during bridge exercise with arm abduction 90° and erector spinae and biceps femoris muscle were most activated during bridge exercise with arm abduction 45°. In addition, tibialis anterior muscle was most activated during bridge exercise with arm cross. However, these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arm posi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think that the change in arm position does not induce sufficient instability to increase the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s. Therefore, various approaches for inducing instability of the support surface for increasing muscle activity when applying bridge movement in clinical practice should be explored.

무릎 팔굽혀펴기와 표준 팔굽혀펴기 시 손 모양에 따른 어깨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Muscle Activities in Upper Extremity Muscles During the Knee-flexed and Standard Push-ups With Different Hand Shape)

  • 정상진;김지혜;공해진;조민지;백현지;김수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7-123
    • /
    • 2022
  • Background: Push-up are effective exercises for shoulder stability. Previous studies have documented the effects of support plane and hand position and width on muscle activities during a push-up.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ies in the upper extremity when performing the standard and the knee-flexed push-up with different hand shapes. Methods: A total of twenty-six healthy 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hand shapes (finger abduction, finger adduction, and fists) and two types of push-up posture (standard and knee-flexed push-up)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Electrograms were used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UT), triceps brachii (TB), pectoralis major (PM), and serratus anterior (SA). Each participant performed the randomly assigned push-up to the sound of the metronome. The mixed-effect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detect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ies after changing the hand shape and push-up postur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α = 0.05. Results: The UT muscle activ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when performing push-up with fists than finger abduction (p = 0.035) or finger adduction (p = 0.044). During the standard push-up, the muscle activity in all muscles was that the push-up with fists showed the highest muscle activity compared to the finger abduction (p < 0.01) and finger adduction (p < 0.01).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hand, UT had the lowest muscle activity compared to other muscles (p < 0.001). In contrast, the SA muscle had the highest muscle activity among four muscles during the standard push-up.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hand shape is related to the difficulty level of push-up either in the standard or the knee-flexed push-up, especially in the push-up with fists. In addition, knee push-up can be recommended as shoulder muscle-strengthening exercises for individuals with low shoulder muscle strength.

경남 일부 지역 여자 대학생의 상하체 균형 계측치와 운동 습관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the Upper and Lower Body Balance and Exercise Habit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Some Parts of the Gyeongnam)

  • 김영식;윤임실;이원준;남정수;윤중수;윤려민;정한나;고재식;최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5-542
    • /
    • 2010
  • 경남지역 모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인체 계측과 건강에 관련된 습관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7 세, 신장은 161.8 cm, 체중은 53.5 kg이었으며, 비만도는 98.4%이었으며 체질량 지수는 $20.6\;kg/m^2$이었고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은 0.80이었다. 이와 같은 신체 계측치는 한국인의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것이지만, 조사 대상자의 63.7%가 상체가 하체에 비하여서 불균형적으로 약한 체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상자를 불균형적으로 상체가 약한 군(UU, n=135)으로 하고 대조군으로써 상 하체가 균형인 군(BU, n=77)의 두 군으로 나누어서 측정 결과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체중, 비만도,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 둘레비가 BU군에 비하여서 UU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체단백질, 체지방, 체무기질량도 역시 UU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상완근육 둘레를 측정한 결과, UU군이 BU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운동의 규칙적 수행 여부를 알아본 결과 UU군의 1.5%, BU군에서 7.8%가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한편 '운동을 전혀 하고 있지 않다'라고 답한 비율이 UU군과 BU군에서 각각 55.5%, 31.2%로써,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UU군에서 1.8배 정도 많았다. 운동을 할 경우에 얼마나 오래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UU군의 38.4%와 BU군의 35.8%가 30분 이하로 운동을 한다고 답하여서, 여자 대학생이 운동을 한다 하더라도 운동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조사 결과, 상체가 하체에 비하여서 불균형적으로 약한 여자 대학생이 총 조사 대상자의 63.7%이나 되었으며, 이들의 운동 습관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운동을 습관화하여 꾸준히 하고 특히 상체와 팔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아울러 여자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여 체형의 올바른 인식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며, 신체 부위의 균형을 고려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