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판매원의 속성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판매원의 지각된 속성이 고객만족과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내구소비재를 중심으로- (Effects of Perceived Attributes of Salesperson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Customer -Focusing on Consumer Durable Goods-)

  • 김완민;배상욱;이상흥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1권2호
    • /
    • pp.1-27
    • /
    • 2006
  • 본 연구는 내구소비재를 중심으로 판매원의 지각된 속성이 고객의 판매원에 대한 만족과 점포에 대한 만족, 교차구매의도, 점포추천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도시 소재 내구소비재를 직접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250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판매원의 지각된 전문성, 진실성, 호감성, 고객지향성은 고객의 판매원에 대한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판매원의 고객지향성은 판매원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점포에 대한 만족에도 유의한 정(+)의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판매원에 대한 만족은 판매원의 지각된 속성들과 점포에 대한 만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판매원에 대한 만족과 점포에 대한 만족은 판매원의 지각된 속성들과 교차구매의도, 점포추천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내구소비재 관련 실무자들을 위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고객 접점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과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판매원 신뢰성과 매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on Emotional Responses and Store Loyalty at Customer Contac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alesperson's Attributes -)

  • 김숙희;김용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2호
    • /
    • pp.289-314
    • /
    • 2013
  • 본 연구는 고객 접점에서 판매원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고객의 감정적 반응과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판매원이 갖추고 있는 속성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고객 접점에서 고객과 판매원 사이에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과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째,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 외에 환기에 미치는 영향 또한 고려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셋째,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과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과 함께 그 두 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판매원의 속성인 신뢰성과 매력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해 Amos4.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에 따른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첫째,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케이션이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과 함께 환기에 미치는 영향 또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유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둘째, 감정적 반응 또한 점포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커뮤니케이션이 감정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판매원의 속성에 따라 차이가 있어, 커뮤니케이션과 판매원 속성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행 연구들의 실증적 재확인을 넘어, 판매원 속성을 포함한 변수들 간의 관계 전반에 있어 이론적인 확장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소비자가 지각하는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 : 측정도구 개발 및 관련변인 (Consumers'′ Evaluation toward Retail Salespeople Attributes :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and Some Related Variables)

  • 진병호;홍병숙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4권3호
    • /
    • pp.65-86
    • /
    • 2000
  • 관계마케팅 파라다임에서 판매원은 단순히 판매뿐 아니라 고객에게 가치를 창조해 주고 장기적인 관계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판매원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매상황에서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을 파악하고, 이의 측정도구를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개발하고, 그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아울러 백화점 의류판매원 속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변인으로 소비자 지식과 제품관여 및 인구통계적 특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속성차원은 개별면접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백화점 고객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은 서비스 마인드, 판매노력, 수수한 인상, 판매유도기술 및 제품지식의 5차원으로 밝혀졌다. 백화점 고객은 의류판매원의 서비스 마인드를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판매노력, 제품지식, 수수한 인상, 판매유도기술의 순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지식, 제품관여 및 인구통계적 변인은 소비자의 의류판매원 속성 지각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학문적, 경영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고객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의류점포 판매원의 속성 (The Influences of Attributes of Salespersons Working at Apparel Store on Relationship with Consumers)

  • 김은정;이선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570-158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ttributes of salespersons working at apparel store on relationship with consumers, to gather information what kind of attributes of salespersons get preference to consumer, and to conclude a certain relationship in the result coming from both attributes of salespersons and degree of relationship qualit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571 20's & 30's men and women living around Seoul and Kyong-gi province areas during July in 200l. SAS and AMO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gather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pparel product, construction and long-term maintenance of relationship with consumers were very essential to gain profit in the future. Second, attributes of salespersons seemed to play an important role on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long-term relationship with consumers. Third, external attributes like outward appearance do not affect to degree of relationship quality with consumer. rather, internal attributes - expertise, similarity, customer orientation, ethics and likeability, influence on the degree of relationship quality.

플라워 상품의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소비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peat Purchase Intentions of Flower Products)

  • 추영희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125-136
    • /
    • 2019
  • 최근 플라워 시장의 성장 둔화와 함께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 증대로 플라워샵 관리자는 고객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여, 장기적인 관계를 맺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기존 연구 결과 플라워 상품의 경우,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점포속성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점포속성 분야에서 연구가 많이 미흡했던 플라워샵을 대상으로, 쾌락적 제품의 대표로 손꼽히는 플라워 상품을 자신만을 위해 쾌락적 동기로 재구매하고자 결정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먼저 파악하고, 영향요인의 영향력 순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자신을 위해, 즉 본인을 위한 쾌락적 동기로 플라워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격, 판매원의 전문성, 점포 접근성이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세 개 변수의 영향력 순위는 가격, 판매원의 전문성, 점포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신만을 위해, 쾌락적 동기로 플라워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플라워샵의 점포속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실증함으로써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소비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제품평가단서 지각과 정보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s of Consumer's Individualism/Collectivism Disposition on the Perception of Marketing Signal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 황윤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3권4호
    • /
    • pp.59-89
    • /
    • 2001
  • 본 연구는 글로벌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주요 제품평가단서로서 이용되고 있는 브랜드, 가격, 물리적 특징, 판매점과 관련된 정보내용(합의정보와 속성정보)에 대하여 소비자의 문화적 지향성이 정보탐색원천과 정보탐색 유형별로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탐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내용은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타인의 태도가 반영되지 않고 소비자들에게 스스로 판단하도록 하는 속성정보를 더 선호하였으며, 반면에 집단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타인의 태도가 반영된 합의정보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비인적 정보원천에서 속성정보를, 반면 집단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인적정보원천에서 합의정보를 주로 더 이용하였고, 정보탐색 유형에서는 지속적 탐색보다 구매전 탐색에서 합의정보와 속성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 국가의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차별적 결과도 제시되었는데,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한국 소비자들은 속성정보와 더불어 합의성 정보도 병행하여 이용하였으나 중국 소비자들은 주로 비인적 정보원천을 활용한 속성정보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주의 성향을 가진 한국 소비자들은 주로 판매원을 통한 합의정보를 선호하였으나 중국 소비자들은 판매원과 더불어 친구나 동료의 구전정보도 평상시에 많이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려는 국제 마케터들은 공통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표준화된 마케팅단서의 활용과 더불어 양 국가간의 문화적 차이에 기초한 차별적인 마케팅 믹스도 동시에 수행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 PDF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쇼핑가치에 따른 의류점포속성 중요도 비교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of Apparel Store Attributes for Shopping Valu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 박나리;장영실;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862-18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복쇼핑가치 유형을 밝히고 쇼핑가치 유형에 따라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의 의류점포속성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 세분집단에서 한국과 중국에 대학생들에 따라 의류점포속성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한국의 경우 고 관여 쇼핑 집단의 응답자들은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 편의성, 판매원의 행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쾌락적 쇼핑 집단인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를 더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고 관여 쇼핑 집단이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 점포 서비스, 제품의 구색과 편의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쾌락적 쇼핑 집단에서 한국 응답자들은 중국 응답자들 보다 서비스를 더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중국의 응답자들은 점포의 편의성 더 한국의 응답자들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저 관여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은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분위기와 서비스, 다양한 상품의 구색을 갖추고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고 관여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은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판매원의 행동 부분들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중국의 응답자들은 한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거리와 같은 편리성 부분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실용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이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서비스, 상품구색, 판매원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판매원 속성이 남녀 대학생과 판매원간 관계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alespersons Attributes on Relationship Commitment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Salespersons and Their Performance)

  • 홍경희;이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3-44
    • /
    • 2009
  • This study is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been exposed to a variety of clothing consumption environments such as online transactions through the Internet,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salespersons attributes on college students' relationship commitment and perception of salespersons performance.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464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used SPSS 12.0 for statistical data analyse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alespersons attributes such as appearance, expertise,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 management fumed out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under relationship commitment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Likeability,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 management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reliability of salespersons. Second,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commitment on customer performa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cluded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Customer orientation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by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mong the salespersons attributes, followed in order by expertise, customer management, appearance, ethic and similarity. Likeability was found to be the least important attribute.

로드샵 화장품 선택속성의 IPA 연구 (A Study on the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Road Shop Cosmetics)

  • 김보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39-54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로드샵 화장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화장품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보완, 개선점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로드샵 화장품 선택속성에 대한 세부항목별 중요도 중 피부와의 적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도 또한 피부와의 적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로드샵 화장품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15개의 선택요인 중 6개의 요인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판매원의 서비스를 제외한 제품기능, 피부와의 적합성 등 5개의 속성은 모두 만족도보다 중요도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IPA 결과를 바탕으로, 어떠한 요인을 유지 보완하고 개선해야 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의 효과적인 자원배분 전략과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