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판독

Search Result 1,15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Digital Decipherment of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충주고구려비(忠州高句麗碑) 디지털 판독의 성과와 고찰)

  • JO, Younghoon;KWON, Dakyung;AHN, Jaehong;KO, Kwangeui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4 no.2
    • /
    • pp.240-253
    • /
    • 2021
  • Various decipherment technologies, including manual rubbing, have been continuously applied to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However, an official document for advanced decipherment is required as there remain characters to be deciphered. This study focuses on interdisciplinary digital decipherment using digital visualization results based on reflectance transformation imaging and three-dimensional scanning. On that basis, the joint decipherment document in 2019 is classified into eight types according to character changes from 1979 to 2000, and decipherment achievements are discussed. Important outcomes of the joint decipherment document include a new interpretation of four existing characters and the identification of 28 new characters. Additionally, 68 characters on the front face and 20 on the left face, which are listed differently in previous decipherment documents, are determined to be a single character through a consensus process. Compared to the previous decipherment document, the "decision" character is increased by a total of 89 characters (22.6%), and the "different opinion" character is decreased by 126 characters (32.0%). Thus, this digital decipherment greatly contributes to the reexamination of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and complements the previous decipherment document through reflectance transformation imaging and three-dimensional scanning. However, continuous research is necessary to enhance decipherment rates, since 123 characters (31.3%) are yet to receive decipherment. In the future, decipherment advancement regarding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should be based on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the humanities and science. Furthermore, it seems that researchers must make constant efforts to apply new imaging analysis technology and to develop customized technology for decipherment.

Comparison and Analysis of Features between Aerial Photo Image and Satellite Image (항공사진 영상과 위성 영상간의 지형지물 비교.분석)

  • 김감래;김재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1
    • /
    • pp.1-7
    • /
    • 2003
  • Practical use is increasing on the aerial ortho image recently, and much researches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uild that us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cause this are progressing. Also many researches that use KOMPSAT-1 satellite image of resolution 6.6m are performing in these days, estimation for between aerial photo and satellite image is needed. In this treatise scanned image of aerial photo, using aerial photo resampling image of resolution equal with KOMPSAT-1 image using aerial photo, and KOMPSAT-1 satellite image use for experimental image making each orthoimage, classified feature for estimate. We evaluated to what level that an separation item could be able to estimate in each orthoimage. As result of estimation analysis, In the classified feature in aerial photo orthoimage with aerial photo resampling image orthoimage is about 61%, KOMPSAT-1 satellite image orthoimage is almost 41% could estimated. Through this investigation estimate, KOMPSAT-1 satellite sue to map updating, geographic information og non-approach area and environment inspect.

A Study on Minimization Method of Reading Error Range and Implementation of Postal 4-state Bar Code Reader with Raster Beam (Raster Beam에 의한 우편용 4-state 바코드 판독기 구현 및 판독오차 범위의 최소화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Moon-Sung;Song, Jae-Gwan;Nam, Yun-Seok;Kim, Hye-Kyu;Jung, Hoe-Kyu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7
    • /
    • pp.2149-2160
    • /
    • 2000
  • Recently many efforts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processing system for delivery sequence sorting have been performed in ETRI, which requires the use of postal4-state bar code system to encode delivery points. The 4-state bar code called postal 4-state barcode for high speed processing that has been specifically designed for information processing of logistics and automatic processing of he mail items. The Information of 4-state bar code indicates mail data such as post code, delivery sequence number, error correction code worked, customer information, and a unique ID. This appear addresses the issue on he reduction of reading error in postal 4-state raster beam based bar code reader. The raster beam scanning features are the unequally distributed number of spots per each unit, which cause reading errors. We propose a method for reducing the bar code reading error by adjusting measured values of bar code width to its average value over each interval.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above method reduces the average reading error rate approximately by 99.88%.

  • PDF

The Epigraph Reading Method using a Visualization Techniqu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각자된 글자의 형태적 시각화를 이용한 금석문 판독방법)

  • Choi, Won-Ho;Ko, Sun-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
    • /
    • pp.740-749
    • /
    • 2017
  • The epigraphy is a text or a picture engraved on metal or stone. One of advantages of rubbing of ancient inscription has been used in epigraphic field is simple. But the rubbing is not an optimal method in viewpoints of resolution and noise to decode the inscribed character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research method tha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a reading by reflecting the 3D characteristics of the engraved letters. The proposed techniques apply 3D scanning technology to obtain three-dimensional and high quality data of each of the letters in the epigraphy and use Ambient Occlusion visualization techniques to express the shade according to the 3D form of the letters. Research result enhances the readability of the letters that removed the damaged and worn information from the letters information of surfac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narrow the scope of a particular letter and read to the controversial letters on the Pohang Jungsoengri Silla Stone Monument(Korea's national treasure number 31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maritime boundaries (입체시를 활용한 변화지역 자동 추적 알고리즘 개발)

  • Kim, Kam-Lae;Lee, Ho-Nam;Cheong, Hae-Jin;Cho, W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7.04a
    • /
    • pp.115-119
    • /
    • 2007
  • 종중복도 60%이상, 횡중복도 30%이상 촬영되어지는 항공영상과 스테레오 촬영이 가능한 위성영상은 도화에 사용되는 입체시를 이용하여 영상(Stereo Aerial Image) 자체를 화면상에 입체적으로 구현하여 건물의 높이 정보 판독 및 해당 지역상에서 년도별 변화지역을 판독하는 일련의 업무 수행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지만 장기간의 작업시간, 작업에 대한 정확성에 취약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행정업무의 효율성 저하요인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공사진 및 위성영성의 촬영상의 특성을 활용하여 영상 매칭 DEM을 활용한 높이정보의 변화와 영상 정합을 통한 변화지역 판독을 자동화 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 개발 언어로 Visual C++을 사용하였으며, 개발된 알고리즘에 대한 평가 수행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입체 판독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편광 모니터를 사용하여 판독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Analyzing the Accuracy of River Facility Interpretation in Web based Image Map Service (웹기반 영상지도서비스 환경에서 하천시설물 판독 정확도 분석연구)

  • Park, Hyeon-Cheol;Jo, Yun-Won;Jo, M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17-1722
    • /
    • 2009
  • 국토공간정보 녹색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국토정보화 사업은 국토의 현실 세계와 동일한 환경 구현을 목적으로 위성영상, 항공사진, 3차원 모델링, 라이다, 유비쿼터스 등 다양한 공간정보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해상 위성영상 중 현재 가장 많이 상용화가 된 위성영상과 항공사진 영상지도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천 시설물 현황 파악을 실시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영상지도서비스 현황분석과 하천 시설물 중 가장 많이 실무에 활용되고 있는 하천 시설물 현황을 파악하여 영상별 시설물 판독을 비교하였다. 하천 시설물 판독에 가장 적합한 영상지도서비스는 시설물 판독뿐만 아니라 시스템화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시설물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을 통해 활용성 극대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pplicability of Multispectral IKONOS imagery for the Interpretation of Forest Stand Characteristics (임상 판독을 위한 IKONOS 다중분광 영상의 적요성 분석)

  • 김선화;이규성;이지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9-144
    • /
    • 2003
  • 수종, 영급, 밀도 등과 같은 산림의 특성을 나타내는 임상구분은 주로 항공사진 육안판독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최근 항공사진과 유사한 공간해상도를 갖춘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제공되면서 이를 이용한 임상구분의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 인근 산림지역의 1m 공간해상도의 IKONOS 입체쌍 영상을 이용하여 임상 판독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IKONOS영상은 기존의 수치임상도와의 중첩을 위하여 수치고도자료(DEM)를 이용한 정사보정을 수행하였으며, 분광밴드의 조합을 통한 칼라영상을 이용하여 육안판독을 시도하였다. 육안판독결과 IKONOS 칼라합성영상에서 천연 소나무림과 활엽수림의 육안구분이 흑백항공사진에 비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임분의 밀도가 영상에서 나타나는 질감과 패턴의 차이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기존의 임상도를 중첩하여 최근 산지개발, 산불 등으로 훼손된 지점에 대한 구분이 용이하기 때문에 기존의 수치임상도를 화연상에서 직접 갱신함으로써 최근의 산림현황정보의 유지를 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Verification System of the 3 of 5 Customer Barcode for the advanced automatic processing of the Mail Items (우편물 자동처리 촉진을 위한 3 of 5 고객 바코드 검증 시스템)

  • 박문성;송재관;우동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496-498
    • /
    • 1998
  • 현재 우편 처리용 바코드는 광학문자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우편번호를 3 of 5 형광 바코드로 인쇄하고, 판독하여 우편물을 자동구분 처리하는 LSM(Letter Sorting Machine)을 사용하고 있다. 광학문자판독에 의한 인쇄체 문자 인식율은 94~96%정도로 처리되므로 오류 우편물의 최소화를 위하여 LSM에 형광 바코드와 동일한 체계로 구성된 흑색 바코드를 적용하고, 광학문자판독을 하지 않고도 우편물을 자동처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우편고객이 흑색 바코드를 우편물에 사전에 인쇄하여 접수하도록 하여 공학문자판독에 의한 처리 과정 축소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우편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편 고객이 인쇄한 3 of 5 고객 바코드를 사전에 검사하여 우편물 자동처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고하는 고객 바코드 검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것이다.

Development of the Interpretation Key for Land-Cover Mapping of North Korea using KOMPSAT EOC Imagery (KOMPSAT EOC 영상을 이용한 북한 토지피복 판독 기법 개발)

  • 김정현;김두라;이규성;민숙주;김계현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133-138
    • /
    • 2001
  • 최근 문화 및 통일협력 교류등으로 인하여 북한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 는데 반하여 북한의 폐쇄성으로 인한 북한에 대한 정보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 점에서 북산지역에 관한 토지이용도나 토지피복도는 북한의 실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 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본적인 기반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토지 이용구분은 토지의 물리적 특성보다는 인간의 이용목적에 기반을 둔 분류체계로서 확실한 특정 토지 이용 정보 를 획득하기 위해서 현지조사나 항공사진판독 등에 주로 의존한다. 하지만 현재 북한의 경 우는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토지 이용도의 제작이 불가능한 실정이며, 따라서 토지이용도 보 다는 토지피복도의 제작이 보다 현실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OMPSAT EOC 영상에 나타난 북한의 토지피복 특성을 파악하고 EOC 영상으로 판독 가능한 북한 토 지피복의 판독 특성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Landsat TM 영상과 SPOT 영 상, 북한의 1:50000 지형도를 참고자료로 하여 EOC 영상을 육안 판독한 결과 다락밭, 비탈 밭 등과 같은 남한에서는 볼 수 없는 다른 피복들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피복을 포함한 북한의 자연환경과 지형구조 등을 고려한 북한의 각 토지 피복의 판독특성을 정의하고 북한 에 적합한 토지피복 분류체계를 수립하였다.

  • PD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AEA-WHO Liver Phantom Images for the Asian Countries (아시아국가에서 IAEA-WHO 간모형 영상처리에 관한 통계학적 고찰)

  • Hong, Seong-Woon;Kang, Tae-Woong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0 no.2
    • /
    • pp.11-17
    • /
    • 1986
  • 핵의학기기중 scintillation gamma camera의 임상적 유용도는 이미 잘 알려져 왔으며 80년대에 들어와서는 Computer의 도입으로 그이용도가 더욱 확대되어 보유댓수가 급격한 증가를 이루게 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정도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정도관리의 목적은 장비기능의 정상여부를 조기에 발견하여 항상 균등한 질의 영상을 재현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하는데 있다. 따라서 r-camera의 사용자는 기계의 기능과 성능을 항상 정화하게 파악하여 빠르고 적절한 대책을 세워 양질의 영상을 얻도록 해야한다. 또한 스캔의 결과도 판독자 환자대상군, 검사방법에 따라 천의 예민도 및 특이도가 달라지며 정확도 또한 공간점유병소의 위치, 원인, 병소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였다. 저자는 이점을 감안하여 대상군, 검사방법 병소위치에 의한 변화를 배제하고 판독자의 검출정확도를 알아보고자 IAEA-RCA 협조를 얻어 IAEA-WHO 제공 간모형 (SALP: simulatied anatomic liver phantom)을 사용하여 국내 16개 병원 핵의학과 staff 20명에게 의뢰하여 얻은 결과와 아시아 8개국의 276명의 결과를 함께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개인의 간모형영상의 판독 정확도는 $60%\sim100%$ 사이었고 대부분 90% 내외였다. 2)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정확도는 유럽 및 라틴아메리카의 결과와 비슷하였다. 3) 각 나라별의 정확도 결과는 91.1%에서 76.4%를 나타내었다. 4) 스캔너를 사용한 영상의 판독결과와 감마 카메라의 영상판독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5) 정도관리빈도와 정도관리검사방법은 영상판독 정확도의 결과와는 무관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