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판독

검색결과 1,137건 처리시간 0.042초

충주고구려비(忠州高句麗碑) 디지털 판독의 성과와 고찰 (A Study on the Digital Decipherment of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 조영훈;권다경;안재홍;고광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2호
    • /
    • pp.240-253
    • /
    • 2021
  • 충주고구려비(忠州高句麗碑)는 발견 이후 탁본(拓本)과 적외선 촬영 등을 통해 판독(判讀)을 시도하였으나 여전히 판독되지 않거나 서로 이견이 있는 글자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반사율변환이미징(RTI)과 3차원 스캐닝 기반의 디지털 가시화 결과를 이용하여 학제 간 디지털 판독을 수행하였다. 이를 근거로 동북아역사재단과 한국고대사학회가 주관하여 작성된 2019년 공동 판독안을 1979년과 2000년의 선행 결과와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글자 변화에 따라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판독 성과를 고찰하였다. 공동 판독회의 중요한 성과는 기존에 판독되지 않았던 4개의 글자가 새롭게 확정되고, 28개의 글자가 처음으로 제시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선행 판독안에서 이견이 있었던 전면 68자와 좌측면 20자가 합의 과정을 통해 각각 한 글자로 확정되었다. 선행 판독문과 비교하여 '확정'으로 합의된 글자는 총 89자(22.6%)가 증가하였으며, '이견' 글자는 126자(32.0%)가 감소하였다. 이처럼 충주고구려비의 디지털 판독은 RTI와 3차원 스캐닝을 통해 선행 판독문을 재검토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확정되지 못한 채 판독이 유보된 상태로 남아 있는 글자들이 123자(31.3%)나 존재하므로 판독률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꾸준히 필요하다. 향후 충주고구려비를 비롯한 금석문 판독의 고도화는 인문학과 이공학의 융합 연구가 기반이 되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영상 분석 기술의 적용뿐만 아니라 글자 신호를 좀 더 가시화할 수 있는 판독 맞춤형 기술 개발에도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공사진 영상과 위성 영상간의 지형지물 비교.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Features between Aerial Photo Image and Satellite Image)

  • 김감래;김재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
    • /
    • 2003
  • 최근 항공사진 정사영상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또한 공간해상도가 6.6m급인 아리랑 1호 위성영상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시행중인 이즈음, 항공사진과 위성영상간의 판독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항공사진을 스캔한 영상, 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아리랑 1호와 동일한 해상도로 재배열한 영상, 그리고 아리랑 1호 위성영상을 실험 영상으로 이용하여 각각 정사영상을 제작하고, 판독하려는 지형지물을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정사영상에서 그 분류항목에 대한 판독이 어느 수준까지 가능한지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판독 분석결과, 판독을 위해 분류한 지형지물 중 항공사진을 이용한 정사영상에서 판독할 수 있는 지형지물의 양에 비해 항공사진 영상을 재배열한 영상의 정사영상에서는 대략 61%, 아리랑 1호 위성영상의 정사영상에서는 대략 41%를 판독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실험연구를 통해 아리랑 1호 위성 영상은 지도갱신, 비접근지역에 대한 지형정보 획득, 환경감시 등의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Raster Beam에 의한 우편용 4-state 바코드 판독기 구현 및 판독오차 범위의 최소화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nimization Method of Reading Error Range and Implementation of Postal 4-state Bar Code Reader with Raster Beam)

  • 박문성;송재관;남윤석;김혜규;정희경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2149-2160
    • /
    • 2000
  • 4-state 바코드는 우편물 자동구분처리 및 우편물류의 정보표현, 전달, 처리가 효과적으로 지원되도록 개발하고 있다. 4-state 바코드에 표현 정보는 우편번호, 배달순서코드, 고객정보 등이 포함되며, 판독의 향상을 위한 오류정정 코드워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우편용 4-state 바코드를 raster beam에 의하여 판독하는 시스템의 개발과 판독오차 범위의 축소 방법을 다룬 것이다. Raster beam 주사에 의한 판독 오차는 단위 구간별 spot 분포의 동일하지 않은 분포로 인하여 발생된다. 이에 따라, 판독오차를 축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구간 단위로 바의 두께 값을 측정하여 인접돈 바의 평균값 조정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시험결과 거의 99.8%까지 평균 판독오차가 축소됨을 보였다.

  • PDF

각자된 글자의 형태적 시각화를 이용한 금석문 판독방법 (The Epigraph Reading Method using a Visualization Techniqu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 최원호;고선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40-749
    • /
    • 2017
  • 금석문(金石文)이란 금속이나 석재에다 새긴 글씨 또는 그림을 말한다. 금석문(金石文) 판독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탁본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해상도나 노이즈 관점에서 볼 때 탁본은 금석문 판독에 최적의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각자된 글자의 입체적 특징을 반영하여 판독 가능성을 높여주는 새로운 조사기법을 제시하였다. 금석문에 각자된 글자의 정밀한 입체 데이터를 얻기 위해 3차원 스캐닝 기술을 적용하고 획득된 3차원 깊이 데이터에 따라 음영을 표현하는 Ambient Occlusion 시각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훼손 및 마모가 포함된 바탕영역정보와 글자영역정보를 분리하여 판독 가능성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방법은 국보318호인 포항중성리신라비의 판독에 적용하여 그동안 판독에 논란이 있어왔던 특정 문자의 판독 뿐 아니라 추독 범위를 좁히는데 기여하였다.

입체시를 활용한 변화지역 자동 추적 알고리즘 개발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maritime boundaries)

  • 김감래;이호남;정해진;조원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5-119
    • /
    • 2007
  • 종중복도 60%이상, 횡중복도 30%이상 촬영되어지는 항공영상과 스테레오 촬영이 가능한 위성영상은 도화에 사용되는 입체시를 이용하여 영상(Stereo Aerial Image) 자체를 화면상에 입체적으로 구현하여 건물의 높이 정보 판독 및 해당 지역상에서 년도별 변화지역을 판독하는 일련의 업무 수행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지만 장기간의 작업시간, 작업에 대한 정확성에 취약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행정업무의 효율성 저하요인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공사진 및 위성영성의 촬영상의 특성을 활용하여 영상 매칭 DEM을 활용한 높이정보의 변화와 영상 정합을 통한 변화지역 판독을 자동화 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 개발 언어로 Visual C++을 사용하였으며, 개발된 알고리즘에 대한 평가 수행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입체 판독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편광 모니터를 사용하여 판독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 PDF

웹기반 영상지도서비스 환경에서 하천시설물 판독 정확도 분석연구 (A Study on Analyzing the Accuracy of River Facility Interpretation in Web based Image Map Service)

  • 박현철;조윤원;조명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717-1722
    • /
    • 2009
  • 국토공간정보 녹색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국토정보화 사업은 국토의 현실 세계와 동일한 환경 구현을 목적으로 위성영상, 항공사진, 3차원 모델링, 라이다, 유비쿼터스 등 다양한 공간정보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해상 위성영상 중 현재 가장 많이 상용화가 된 위성영상과 항공사진 영상지도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천 시설물 현황 파악을 실시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영상지도서비스 현황분석과 하천 시설물 중 가장 많이 실무에 활용되고 있는 하천 시설물 현황을 파악하여 영상별 시설물 판독을 비교하였다. 하천 시설물 판독에 가장 적합한 영상지도서비스는 시설물 판독뿐만 아니라 시스템화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시설물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을 통해 활용성 극대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임상 판독을 위한 IKONOS 다중분광 영상의 적요성 분석 (Applicability of Multispectral IKONOS imagery for the Interpretation of Forest Stand Characteristics)

  • 김선화;이규성;이지민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9-144
    • /
    • 2003
  • 수종, 영급, 밀도 등과 같은 산림의 특성을 나타내는 임상구분은 주로 항공사진 육안판독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최근 항공사진과 유사한 공간해상도를 갖춘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제공되면서 이를 이용한 임상구분의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 인근 산림지역의 1m 공간해상도의 IKONOS 입체쌍 영상을 이용하여 임상 판독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IKONOS영상은 기존의 수치임상도와의 중첩을 위하여 수치고도자료(DEM)를 이용한 정사보정을 수행하였으며, 분광밴드의 조합을 통한 칼라영상을 이용하여 육안판독을 시도하였다. 육안판독결과 IKONOS 칼라합성영상에서 천연 소나무림과 활엽수림의 육안구분이 흑백항공사진에 비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임분의 밀도가 영상에서 나타나는 질감과 패턴의 차이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기존의 임상도를 중첩하여 최근 산지개발, 산불 등으로 훼손된 지점에 대한 구분이 용이하기 때문에 기존의 수치임상도를 화연상에서 직접 갱신함으로써 최근의 산림현황정보의 유지를 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편물 자동처리 촉진을 위한 3 of 5 고객 바코드 검증 시스템 (The Verification System of the 3 of 5 Customer Barcode for the advanced automatic processing of the Mail Items)

  • 박문성;송재관;우동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1)
    • /
    • pp.496-498
    • /
    • 1998
  • 현재 우편 처리용 바코드는 광학문자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우편번호를 3 of 5 형광 바코드로 인쇄하고, 판독하여 우편물을 자동구분 처리하는 LSM(Letter Sorting Machine)을 사용하고 있다. 광학문자판독에 의한 인쇄체 문자 인식율은 94~96%정도로 처리되므로 오류 우편물의 최소화를 위하여 LSM에 형광 바코드와 동일한 체계로 구성된 흑색 바코드를 적용하고, 광학문자판독을 하지 않고도 우편물을 자동처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우편고객이 흑색 바코드를 우편물에 사전에 인쇄하여 접수하도록 하여 공학문자판독에 의한 처리 과정 축소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우편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편 고객이 인쇄한 3 of 5 고객 바코드를 사전에 검사하여 우편물 자동처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고하는 고객 바코드 검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것이다.

KOMPSAT EOC 영상을 이용한 북한 토지피복 판독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Interpretation Key for Land-Cover Mapping of North Korea using KOMPSAT EOC Imagery)

  • 김정현;김두라;이규성;민숙주;김계현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통권 4호 Proceedings of the 2001 KSRS Spring Meeting
    • /
    • pp.133-138
    • /
    • 2001
  • 최근 문화 및 통일협력 교류등으로 인하여 북한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 는데 반하여 북한의 폐쇄성으로 인한 북한에 대한 정보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 점에서 북산지역에 관한 토지이용도나 토지피복도는 북한의 실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 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본적인 기반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토지 이용구분은 토지의 물리적 특성보다는 인간의 이용목적에 기반을 둔 분류체계로서 확실한 특정 토지 이용 정보 를 획득하기 위해서 현지조사나 항공사진판독 등에 주로 의존한다. 하지만 현재 북한의 경 우는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토지 이용도의 제작이 불가능한 실정이며, 따라서 토지이용도 보 다는 토지피복도의 제작이 보다 현실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OMPSAT EOC 영상에 나타난 북한의 토지피복 특성을 파악하고 EOC 영상으로 판독 가능한 북한 토 지피복의 판독 특성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Landsat TM 영상과 SPOT 영 상, 북한의 1:50000 지형도를 참고자료로 하여 EOC 영상을 육안 판독한 결과 다락밭, 비탈 밭 등과 같은 남한에서는 볼 수 없는 다른 피복들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피복을 포함한 북한의 자연환경과 지형구조 등을 고려한 북한의 각 토지 피복의 판독특성을 정의하고 북한 에 적합한 토지피복 분류체계를 수립하였다.

  • PDF

아시아국가에서 IAEA-WHO 간모형 영상처리에 관한 통계학적 고찰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AEA-WHO Liver Phantom Images for the Asian Countries)

  • 홍성운;강태웅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17
    • /
    • 1986
  • 핵의학기기중 scintillation gamma camera의 임상적 유용도는 이미 잘 알려져 왔으며 80년대에 들어와서는 Computer의 도입으로 그이용도가 더욱 확대되어 보유댓수가 급격한 증가를 이루게 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정도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정도관리의 목적은 장비기능의 정상여부를 조기에 발견하여 항상 균등한 질의 영상을 재현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하는데 있다. 따라서 r-camera의 사용자는 기계의 기능과 성능을 항상 정화하게 파악하여 빠르고 적절한 대책을 세워 양질의 영상을 얻도록 해야한다. 또한 스캔의 결과도 판독자 환자대상군, 검사방법에 따라 천의 예민도 및 특이도가 달라지며 정확도 또한 공간점유병소의 위치, 원인, 병소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였다. 저자는 이점을 감안하여 대상군, 검사방법 병소위치에 의한 변화를 배제하고 판독자의 검출정확도를 알아보고자 IAEA-RCA 협조를 얻어 IAEA-WHO 제공 간모형 (SALP: simulatied anatomic liver phantom)을 사용하여 국내 16개 병원 핵의학과 staff 20명에게 의뢰하여 얻은 결과와 아시아 8개국의 276명의 결과를 함께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개인의 간모형영상의 판독 정확도는 $60%\sim100%$ 사이었고 대부분 90% 내외였다. 2)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정확도는 유럽 및 라틴아메리카의 결과와 비슷하였다. 3) 각 나라별의 정확도 결과는 91.1%에서 76.4%를 나타내었다. 4) 스캔너를 사용한 영상의 판독결과와 감마 카메라의 영상판독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5) 정도관리빈도와 정도관리검사방법은 영상판독 정확도의 결과와는 무관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