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일 관리

Search Result 1,424,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File Sharing Algorithm based Mutual Cooperation using Smart Device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상호 협력 기반 파일 공유 시스템)

  • Jeong, Pil-Seong;Cho, Ya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2
    • /
    • pp.53-60
    • /
    • 2018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 have been able to access and manage documents containing corporate information anytime and anywhere using smart devices. As the work environment changes to smart work, the scope of information distribution is expanded, and more efforts are needed to manage security. This paper proposes a file sharing system that enables users who have smart devices to manage and share files through mutual cooperation. Proposed file sharing system, the user can add a partner to share files with each other when uploading files kept by spliting the part of the file and the other uses an algorithm to store on the server. After converting the file to be uploaded to base64, it splits it into encrypted files among users,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server when it wants to share. It is easy to manage and control files using dedicated application to view files and has high security. Using the system developed with proposed algorithm, it is possible to build a system with high efficiency even for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at can not pay much money for security.

SANfs: A Scalable Shared File System for Linux Clusters (SANfs: 리눅스 클러스터를 위한 확장성 있는 공유파일시스템)

  • 황주영;안철우;박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91-9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Storage Area Network기반의 대규모용량의 저장장치에 적합한 확장성 있는 공유파일시스템을 제안하고, Linux상에서의 구현을 보인다. 락의 단위는 블록이 아닌 파일단위로 하므로써 락오버헤드를 줄이고, callback방식의 파일 락을 사용한다. 파일데이터일관성 및 디렉토리캐쉬 일관성유지를 위한 Linux상에서의 구현방법을 보인다. 메타서버의 free block관리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분산 free block관리법을 사용한다. 또한 Inode와 data를 분리 저장함으로써 성능을 최적화한다.

  • PDF

Dynamic Hashing Directories for Large File Srstems (대규모 파일 시스템을 위한 동적 해싱 디렉토리)

  • 김신우;이용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16-619
    • /
    • 2004
  • 최근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과 검색을 요구하는 파일시스템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별도의 서버를 두지 않고 분산된 클라이언트가 메타데이터를 직접 관리하면서 모든 저장 장치들에 접근할 수 있는 SAN 기반 리눅스 클러스터 파일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대규모 파일 시스템을 위해서는 동적 해싱을 이용한 디렉토리 관리가 요구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 중 확장 해싱 디렉토리 구조와 선형 해싱 디렉토리 구조를 설계 및 구현하고, 구현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성능평가를 통해 두 디렉토리 구조의 성능을 분석한다. 비교 분석 결과, 파일의 삽입 성능에서는 선형 해싱 기반의 디렉토리가 우수하였으나, 공간 활용면에서는 확장 해싱 기반의 디렉토리가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Inbox for managing files within an android (안드로이드 파일관리를 위한 문서 함)

  • Ock, In-Jun;Choi, Min;Shinde, Rupal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441-44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Application을 사용하면서 서버의 성능과 상호 간의 파일 전달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시스템 구현은 JAVA 언어를 사용하였고 수신자가 파일을 확인하고 내려받았을 때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하면서 서버의 과부하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Text File Region Management on Grids (그리드 시스템에서 텍스트 파일 영역 관리)

  • Kim, Seung-Min;Yoo, Suk-I.;Kim, Il-Ko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3 no.7
    • /
    • pp.499-507
    • /
    • 2007
  • In the areas of CAE, CAD and CAO integration & automation technology, the word 'File Wrapping' means a virtualization of TEXT files that supports variables-based I/Os like variable assignments in programming languages. This File Wrapping process is one of the cornerstones of CAE, CAD and GAO integration & automation, and the performance of File Wrapping process, which is depending on the sire of a TEXT file to be accessed and the number of regions and their distribution, has a critical effect on the total performance of the CAE, CAD and CAO integration & autom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define TEXT File Region Management which generalizes the main functions of the File Wrapping process, and describe a prototype of TEXT file Region Management which is implemented as a Grid service. After tha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TEXT File Region Management service are discussed with evaluation results of the prototype.

A Study on Verification of Patch File Integrity (패치 파일 무결성 검증에 관한 연구)

  • An, Jeongmin;Won, Yoo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232-233
    • /
    • 2016
  • 패치 관리 시스템은 패치 서버에 속한 에이전트들의 보안 패치를 배포 및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에이전트에서의 보안사고로 인한 큰 피해를 막기 위해, 패치 관리 시스템은 패치 파일의 무결성 및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소프트웨어 벤더는 모든 패치 에이전트 환경에 대해 패치 호환성을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충돌로 인한 패치 적용 실패 시 충돌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기존의 패치 관리 시스템은 테스트 환경에서 수동으로 패치 파일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일 변화 모니터링을 통해 패치 테스트 및 적용 과정을 자동화하고, 변경 파일 정보를 통해 호환성 충돌 문제에 대한 분석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User Profile System Using Gene Group Manage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정보검색에서 다유전자군 관리에 의한 사용자 프로파일 시스템)

  • Kim, Nam-Il;Park, Young-Chan;Nam, Ki-Ch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44-51
    • /
    • 1997
  •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은 사용자 개개인의 관심 분야를 기술한 것이다. 정보 시스템이 사용자 개개인의 관심 분야를 알고 있다면,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속하는 문서만을 사용자에게 제시해 줌으로써 정보검색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은 시간이 지날수록 개인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더욱 잘 나타내어야 하고(Specialization), 사용자의 관심 분야가 변화해도 그에 대응해야 하며(Adaptation), 사용자가 흥미있어할 만한 관련 분야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Exploration). 본 논문은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정보여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들의 단점을 보완하고 정보검색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범용성을 지닌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심분야의 변화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여러 유전자군(群)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관심분야를 기술한다.

  • PDF

Configuration Management based Configuration File Version Integrity Auditing Framework (형상관리 기반 설정파일 버전 무결성 감사 프레임워크)

  • Kim, Seonjoo;Lee, Sukho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511-1514
    • /
    • 2012
  • 최근 기업에서 구축하는 IT 아키텍쳐가 점점 복잡해져 가는 환경변화에 따라 각 시스템 구성요소의 조건이나 특성을 저장하는 설정파일(Configuration file)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형상관리시스템이 응응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설정파일의 특징을 반영한 활동에 한계를 갖고 있다. 또한 품질보증 목적으로 수행하는 형상감사 활동도 응용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품질중심 감사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등록된 개별 소프트웨어 별로 변경통제와 버전관리가 이루어져 설정 파일이 포함되는 경우 버전 무결성 차원의 문제를 적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추가적으로 필요한 감사활동 요구기능을 정의하고, 동일한 원본에서 배포된 설정파일들이 서로 버전이 다르게 관리 될 수 있는 문제를 감사(Audit)를 통해 탐지할 수 있는 버전 무결성 감사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는 기존 형상관리 개념과 액티비티,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감사기능을 보완한다. 이를 통해 기존 감사활동에 버전 무결성 검증을 수행하는 형상감사 기능이 포함되며, 이는 설정파일의 버전 차이에 의해 사전/사후 발생될 장애, 오동작 등의 문제 해결에 활용된다. 이 논문에서 제안 프레임워크의 검증을 위하여 웹 시스템 기반 자바환경으로 구현하였고, 현장 적용한 부분을 평가 함으로써 검증하였다.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aw Image File Formats for the Management of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디지털 사진기록물 관리를 위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도입에 관한 연구)

  • Park, Junyoung;Lee, Myoung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9 no.3
    • /
    • pp.155-178
    • /
    • 2019
  •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aw image file formats, evaluate its suitability for the management of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and suggest the introduction method to utilize such format in public institutions. Raw image file formats feature reversibility and flexibility. However, most of them are proprietary file formats that depend on the digital camera manufacturer. The DNG format, which was developed to standardize raw image file formats, has received positive reviews from overseas public agencies. However, the DNG format is not fully recognized as a standard; hence, it is appropriate to use it tentatively until the standard raw format appears. On the other hand, the converted digital photo file format is not recognized as an original with legal authenticity. Therefore, in the short term, DNG files created by format conversion and original raw files should be encapsulated and preserv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baseline of the hash value and file size to recognize the legal authenticity only with DNG files in the long term.

Agent for File Format based Classification of the Attached File in E-Mail System (E-Mail 시스템의 첨부파일 형식별 자동분류 에이전트 설계)

  • Hyun, Young-Soon;Jeong, Ok-Ran;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645-2647
    • /
    • 2003
  • E-Mail은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로서 최근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와 함께 그 사용자 또한 늘어나고 있다. 기존의 메일 기반 에이전트는 서버에 무분별하게 메일을 저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첨부파일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수신된 메일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다. 대량의 메일을 수신하는 기업에서는 메일 뿐만 아니라 첨부되어오는 파일들에 대한 처리부담이 더욱 크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착한 메일의 내용을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폴더를 생성하여 카테고리별로 첨부된 파일을 분류해주는 자동분류 에이전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파일은 다시 형식별로 분류되도록 설계하였다. 이는 관리자의 업무부담을 줄이고, 첨부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