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일 관리

Search Result 1,42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mplementation of a Multiprotocol Linkage and Monitoring System Using FTP Adapters (FTP 어댑터를 이용한 다중프로토콜 연동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Yang, Joon Mo;Park, Cheol Hyung;Lee, Su Jin;Baek, Se In;Song, Yang-Eui;Lee, Yong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30-33
    • /
    • 2016
  • 다중 서버 환경에서 파일전송 프로토콜들이 혼용되어 사용되면서 프로토콜 간의 연동이 원활하지 않으며, 파일 송수신 로그 관리의 부재로 생기는 버전 관리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어댑터를 이용하여 다중프로토콜 연동을 해결하고, 파일 송수신 로그를 관리하는 파일 버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각 서버에서는 어댑터를 통해 중앙서버로부터 각 서버의 가용 프로토콜 정보를 받아 프로토콜 혼용 문제를 해결하고, 파일 송수신 로그를 중앙서버로 송신하여 파일 버전 관리의 문제를 해결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프로토콜의 연동과 파일 송수신 로그를 관리함으로써 서버의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Profile Management Schemes for Virtual Home Environment Services(1) (VHE 서비스를 위한 프로파일 관리 기법(1))

  • 서민우;백성찬;노원종;김용범;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455-457
    • /
    • 2000
  • 3세대 통신망인 IMT-2000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은 단말 이동성, 개인 이동성 및 서비스 이동성으로 구분되는 강력한 이동성의 제공이다. 이 중 서비스 이동성은 IMT-2000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으로 가상 홈 환경(VHE ; Virtual Home Environment) 개념을 이용하고 있다. VHE는 개인 단말사이, 망 경계를 뛰어넘는 개인 서비스 환경 이동성의 개념으로 글로벌 로밍의 환경에서 서비스 가입자에게 Visited 망에서도 Home 망의 서비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이 VHE에서 핵심이 되는 것이 프로파일을 어떻게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 하는 것인데, 본 논문에서는 VHE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 서비스 프로파일(Service Profile), 단말 프로파일(Terminal Profile), 네트워크 프로파일(Network Profile)에 대한 관리 방법을 사용자 프로파일이 Home 망과 Visited 망에 위치하는 방법에 따라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각 프로파일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 PDF

Design of a embedded Linux file system usign MMDB (MMDB로 구현한 내장형 리눅스 파일 시스템 설계)

  • 이동근;김기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30-132
    • /
    • 2000
  • 내장형 파일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MMDB(Main Memory DB)는 주 기억 장치 상주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서 이동전화 단말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같이 하드디스크를 가지지 않는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 하드디스크를 고려하지 않은 점에서 기존의 MMDB와는 다른 메모리 관리 방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 내장형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가 가능하다. 내장형 파일 시스템은 리눅스의 가상 파일 시스템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형태의 파일 시스템을 쉽게 구축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OS가 필요에 따라 파일 시스템의 설정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OS의 메모리관리자와 파일 시스템의 중복 기능을 제거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킬수 있고, 데스크 탑 PC와의 데이터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A study on Flash Memory File Management (Flash Memory 파일관리에 관한 연구)

  • 이경남;박인규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9.11a
    • /
    • pp.993-99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MP3플레이어에서 사용하는 파일관리프로그램에서 플래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따른 파일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을 논하고자 한다. 휴대용 기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데이터의 보존을 위해 전원공급을 계속해서 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가장 중요한데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고 기존의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한다. 그러나 전원공급의 문제를 플래시로 해결했지만 플래시를 사용하는데 따른 저장공간의 제약과 데이터의 읽기 쓰기 등의 방법에서 다른 메모리와 차이가 있기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서 일반 메모리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특정 영역을 파일정보를 담는 공간으로 할당하여 데이터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데이터의 갱신과 저장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 PDF

An Efficient Buffer Management Scheme Multimedia File Systems (멀티미디어 파일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버퍼 관리 방안)

  • Heo, Seong-Gwan;Nang, Jong-Ho;Felix M. Villarreal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6 no.3
    • /
    • pp.271-28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파일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버퍼관리기법을 제안한고 이를 실제 구현을 통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제안한 관리 기법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참조 특성을 반영하여 참조되는 파일에 일정량의 버퍼를 할당해주고, 새로운 데이터에대한 대치는 그 파일에게 할당된 버퍼에서만 수행되도록 하였다. 또한 이런 버퍼 할당을 데이터 소비율에 맞게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방법과 새로운 파일 참조를 제어하는 채택 제어 방법도 설계/구현하였다. FreeBSD를 수정하여 구현한 시스템에서의 실험에 의하면 제안한 버퍼 관리 기법이 FrddBSD의 경우보다 다양한 데이터 소비율을 필요로 하는 참조인 경우에 적은 수의 버퍼를 이용하여 더 높은 적중률(hit ratio)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향상된 적중률은 멀티미디어 상영시 니터(jitter)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FMAX File System A File system model for effective metadata management (FMAX(Flexible MetadatA eXtention) File System: 효과적인 메타데이터 관리를 위한 파일 시스템 모델)

  • Park, Chi-Hyun;Roh, Hong-Chan;You, Jin-Hee;Lim, Ji-Young;Kim, Woo-Cheol;Park,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6-11
    • /
    • 2007
  •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요구가 증가하면서 그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해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메타데이터(metadata)를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은 이러한 일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적인 메타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임베디드(embedded) 환경으로도 확장이 가능한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 리눅스(Linux) 파일 시스템을 바탕으로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시한다. 이렇게 설계된 파일 시스템은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에게 데이터의 다양한 뷰(view)를 제공할 수 있고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Ambari Service for Lustre Parallel File System Auto Provisioning (Lustre 병렬파일시스템 오토 프로비저닝을 위한 Ambari 서비스 설계에 관한 연구)

  • Kwak, Jae-Hyuck;Kim, Sangwan;Byun, Eunkyu;Nam, Du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5-47
    • /
    • 2017
  • 하둡은 대표적인 빅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하둡 어플리케이션은 고성능컴퓨팅 환경에서 하둡 분산파일시스템이 아닌 러스터 병렬 파일시스템 위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 추가적으로 러스터 병렬파일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인 업무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러스터 병렬파일시스템의 오토 프로비저닝을 위한 암바리 서비스의 설계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암바리는 하둡 클러스터의 프로비저닝, 관리, 모니터링을 위한 운영 관리 프레임워크이며 운영자의 필요에 따라서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암바리를 통해서 러스터 병렬파일시스템을 오토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하기 위한 확장 서비스를 설계하였으며 서비스를 위한 컴포넌트와 각 컴포넌트별 중요한 기능 사항에 대해서 논하였다.

Implementation of a DB-based Virtual Filesystem for IoT Service Platform using Linux FUSE (DB 및 리눅스 FUSE 기반 IoT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가상 파일시스템 구현)

  • Lee, Hyu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103-104
    • /
    • 2015
  • IoT의 주요 구성요소는 기존의 데스크 탑 외에 디바이스 즉, 단말 기기들이 주류를 이룬다. 이러한 IoT 디바이스들은 데이터의 유형이나 접근 방법이 다양하고, 실시간적 데이터 생산과 제어를 위한 양방향 데이터 접근 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IoT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클라우드 형 서비스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속성 관리가 용이한 도메인 관리 방법과 디바이스에 대한 일관된 접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리눅스 파일시스템 후면 즉, 사용자 영역에 리눅스 파일 시스템 스타일의 DB 기반 가상 파일시스템을 구축하여 IoT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관리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구현 가상 파일시스템은 계층적 디렉터리 체계를 DB에 유지하면서 단말 노드에는 지리적으로 산재한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속성 정보를 관리한다. 디렉터리 및 IoT 디바이스의 추가 삭제 검색 등 도메인 관리는 mkdir. mknod, ls, find 등 리눅스 고유 명령어로 이루어지고, 모든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은 open(), read(), write(), close() 등 POSIX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능하다.

Design of a DB-based Virtual File System for Lightweight Clouding (경량 클라우딩을 위한 DB 기반 가상 파일 시스템 설계)

  • Lee, Hyu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81-82
    • /
    • 2014
  • 윈도우나 리눅스 등의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를 로컬 저장 장치에 직접 저장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대용량 저장 공간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반면에, 클라우딩을 위한 가상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를 로컬 저장 장치에 직접 저장하는 경우보다는 지역적으로 분산된 데이터에 대한 지시자만을 관리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 연구에서는 소규모 클라우딩 환경에서 파일 시스템의 디렉터리 체계를 DB로 유지하면서 모든 데이터 파일들은 지시자로만 관리하는 유닉스 파일 시스템 스타일의 가상 파일 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안한다. 시험 결과, 트리 구조의 디렉터리 체계가 의도대로 이루어짐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