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시즘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밀리터리 룩에 표현된 파시즘(Fascism)

  • 임상임;추미경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3-64
    • /
    • 2003
  • 세계화의 물결은 자본운동의 자유를 극대화시키려는 ‘신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아 탈규제화, 유연화, 개방화, 자유화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신자유주의는 현 시기의 세계자본주의 체제의 가장 중요한 이데올로기적, 정치적 조류를 가리키는 개념으로써 시장적(市場的) 가치만을 절대시 한다. 이는 곧 ‘시민사회 가 활성화되는 속에서 시민사회가 실질적으로 소멸하는 현상’이 생겨남으로써 시민 사회적 전체주의에 이르게 만드는 신자유주의적 파시즘 체제를 일컫는다. (중략)

  • PDF

대중운동의 파시즘적인 폭력의 가능성과 그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 (Adorno's critique of the possibility of fascist violence in popular movements)

  • 김진애
    • 철학연구
    • /
    • 제144권
    • /
    • pp.141-166
    • /
    • 2017
  • 아도르노가 대중운동에서 가장 중요하게 비판하고 있는 지점은 혁명 지도자와 추종자의 동일성이다. 그 동일화 작업은 세 가지의 특징을 가진다. 첫 번째 특징은 실제의 적대자보다 더 한 이미지를 만들어 적과 동지의 구분을 확실하게 해 집단 내에 연대감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연대감에 의해 조성된 대중 안에서 저항하는 개별적 주체들은 사라지고 집단과 동일화된 주체만이 존재하게 된다. 두 번째 특징은 낙관주의적인 유토피아를 제시해 대중이 초월적 가치로부터 구원이 도래한다고 믿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중운동은 본인이 속한 연대에 어긋난다고 여겨지는 다른 집단이나 사람들에 대해 논의 과정 없이 비난하는 데에 그친다. 세 번째 특징은 나르시시즘을 기반으로 한 대중 최면상태를 통해 개별적 주체가 사라진 대중이 지휘자들과 동일화 되어 다른 주체들에게 자신이 걸린 최면상태를 강요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도르노가 대중운동의 파시즘적인 폭력에 대해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대중운동의 과제에 대해 어떤 것을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자유주의의 역사와 원리-그 비판적 연구" 펴낸 노명식교수

  • 김지원
    • 출판저널
    • /
    • 통권90호
    • /
    • pp.4-5
    • /
    • 1991
  • 전체주의가 반세기의 일본군사적 파시즘밖에 경험한 것이 없는 우리가 권위주의적 독재를 자유민주주의로 오인하게 됐다면 이상할 것도 없지요. 자유와 자유민주주의란 말은 독재와 부패, 무능에 일치하여 혐오와 경멸의 대상이 된 겁니다. 자유는 우리에게 더욱 절실한 가치이니만큼 그것이 왜 얼마나 중요하면 평등 정의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진지한 논의가 제기돼야 합니다.

  • PDF

20세기 현대미술에서 표현주의와 신표현주의 연관성 (A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ism and Neo Expressionism in 20th Century Modern Painting)

  • 전민경;정경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59-267
    • /
    • 2011
  • 독일은 19세기 후반기에 통일을 이루었지만 급격한 도시화와 물질주의 속에서 많은 혼란을 겪으며, 정신적인 혁명을 통해 독일적인 문화를 찾고자 하는 움직임이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현실 속에서 발생하는 분노, 슬픔, 억압 등의 심리적 상태를 본능적인 감성에 충실하며, 그대로 표현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형태가 왜곡되거나 과장되며, 강렬하고 어둡고 내성적인 분위기의 낭만주의적 전통을 잇게 되었다. 파시즘의 나치에 의해 '퇴폐미술'로 낙인찍히며 막을 내렸던 표현주의 미술이 20세기 말에 다시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났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비록 신표현주의자들이 다양한 오브제와 매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는 하지만, 그들은 인간 내면세계를 표출하고자 과거 표현주의자들이 즐겨 썼던 인물, 신화, 상징을 거친 붓 터치와 풍부한 색채 등으로 다시 화면에 등장시키며 독일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희망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신표현주의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표현주의에 대해 살펴보며 이들이 독일 전통 낭만주의와 어떠한 맥락에서 일치하며 현대 미디어콘텐츠로 계승 발전 되었는지를 논하고자 하였다.

밀리터리 룩에 표현된 파시즘 - 1990년대 이후부터 - (Fascism Expressed in Military Looks: Since the 1990s)

  • 임상임;추미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5호
    • /
    • pp.845-85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military looks with fascist aesthetics and to infer various aesthetic values of fascism expressed in military looks. The research method is documentary studies through the literature and academic papers, and examined masters' and doctors' theses, domestic and overseas books and fashion magazines, photographs and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Internet. The facism expressed in military looks is as follows: First, nationalism, reflecting the current ideology of rebellion, appeals to the original national sentiment of the masses. Second, temptation implies that fascism tempts the mass using the nature of charisma rather than by force and, by doing so, accumulates mighty power without military force. Third, mythology is utilizing images and symbols of great appeal to people for absolute power beyond the concept of time. In order to express power for the effusion of emotional energy through the vision for realities and the magical power of images. Fourth, barbarism is always harbored in the conflict and confrontation of interests among ideas, economies, religions and classes on the other side of contemporary civilized society.

  • PDF

냉전과 일본의 자유주의- 마루야마 마사오의 냉전자유주의와 리얼리즘 (Cold War Liberalism in Postwar Japan: An Interpretation of Maruyama Masao's Realistic Liberalism)

  • 장인성
    • 동북아역사논총
    • /
    • 제59호
    • /
    • pp.150-186
    • /
    • 2018
  • 이 글은 '진보주의자'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의 '냉전자유주의'를 해명함으로써 패전과 냉전 초기의 일본에서 영위된 진보적 자유주의의 실체를 해명한다. '민주'와 '평화'가 모색된 패전과 냉전 초기의 공간에서 일본의 자유주의가 냉전적 현실에 투사되는 양상을 마루야마의 리얼리즘과 내셔널리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마루야마의 냉전자유주의는 자유주의의 냉전적 존재양태와 냉전의 자유주의적 해석의 두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자유주의의 냉전적 존재양태가 근대일본의 자유주의의 시간적 계승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라면, 냉전의 자유주의적 해석은 냉전 상황에서의 자유주의의 공간적 표출을 포착하는 것이다. 마루야마의 냉전자유주의는 내셔널리즘과 리얼리즘을 매개로 표현된다. 마루야마는 냉전적 현실에 대응하여 '민주'와 '평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냉전 구조에서 생겨난 반공 논리에 근거한 새로운 형태의 파시즘을 비판하였고, 리얼리즘의 입장에서 평화를 모색하였다. 마루야마에게 냉전체제의 '두 개의 세계'를벗어나는 길이 '중립'과 '평화'였다면, 파시즘을 벗어나는 길은 '공평한 판단'과184 | 동북아역사논총 59호'자주적 결사'였다. 마루야마의 냉전자유주의에서 주체는 '시민'보다는 '국민'을지향하는 것이었고, 국민 형성을 지향하는 내셔널리즘은 '민주'와 '평화'를 위한조건이었다. 마루야마의 비판적 자유주의는 내셔널리즘과 리얼리즘을 매개로작동하였다.

로마 신도시(E42) 국제회의장에 관한 연구 - 아달베르토 리베라의 당선작(1937-1943)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gress Palace in new city(E42) of Rome - Focused on the Adalberto Libera's project(1937-1943) -)

  • 이대진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4호
    • /
    • pp.81-99
    • /
    • 2009
  • The study is on the analysis of Adalberto Libera's works, which are those of the competition works for international congress hall in 'E42'. I exerted a conclusion from analysis and studies of congress palace as well as informed data about architect Libera and uninformed original sketch of it. 1. Through analysis of original sketch data in possession of archives of paris Centre Pompidue and relevant sketch from the works, Libera adopts the modern architecture of Italy to the formalization process of concept as one of architectural methods. 2.In contrast to the way of elucidation of historicity of classicism architect, Libera's initial sketch is one of the traits from modernist's architectural concept process. Libera completes his architectural style to have developed new architecture vocabulary from 'Floating transparent box' which was result from intuition and imagination. 3 By comparing all the first plan, the second plan and constructed project, we can infer that Libera's plan was influenced by E42's classicism urban environment and masterplanner Piacentini. In addition, through historicity explanation method of modernist, it is adjudicated that the front side of facade with classism and the back side of facade with modern are partially accepted. 4. By analysing architectural concept's formalization process from original sketch of Congress palace, outstanding architect of Italian Fascism architecture, it provided new methods of architectural programming with the concrete examp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