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손과정

Search Result 21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ochastic Disaggregation and Aggregation of Localized Uncertainty in Pavement Deterioration Process (포장파손과정의 지역적 불확실성에 대한 확률적 분해와 조합)

  • Han, Dae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4
    • /
    • pp.1651-1664
    • /
    • 2013
  • Precise analysis on deterioration processes of road pavements is not so simple matter due to severe uncertainty originated from a lot of explanatory variables engaged in. For those reasons, most analytical models for pavement deterioration prediction have often preferred to probabilistic approaches than deterministic models. However, the general probabilistic approaches that treat overal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or entire sample would not be suitable for providing detail or localized information on their changing process. Considering the aspects, this paper aimed to suggest a stochastic disaggregation method to analyze the localized deterioration speeds and its variances changed by time and condition states. In addition, life expectancies and their uncertainty were estimated by probabilistic algorithm using the disaggregated stochastic process. For an empirical study, pavement inspection data (crack) accumulated from 2003 to 2010 from Korean national highway network was applied.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ecuring reliability of life cycle cost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primary analyses in road asset management, with much advanced deterioration forecasting functions. In addition, it would be meaningful trials as fundamental research for preventive maintenance strategy that demands essential understanding on changing process of the deterioration speed of pavement.

Failure analysis of engine components in the development of new engine (Engine 개발시 발생되는 파손사례 고찰 및 방지대책에 관하여)

  • 정승철;김영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3 no.2
    • /
    • pp.1-10
    • /
    • 1991
  • 최근 들어 고성능, 고출력의 engine을 최적 설계 개념에 의하여 이룩하ㅕ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바, 그에 따른 파손사고의 발생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실제로 engine 개발과정에서 발생되었던 파손 사례를 소개하고 고찰하여 봄으로써 파손의 해석 및 방지대책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Bayesian Estimation of the Component Availability in the Exponential Failure/Repair Time Distributions (지수분포에 있어서 파손과 보수시간에 대한 베이지안 추정)

  • 김장욱;이종후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 /
    • v.14 no.3
    • /
    • pp.35-43
    • /
    • 1990
  • 본 연구의 목적은 파손과 보수비에 대한 미정보 사전분포와 공액 사전분포의 제곱오차 손실 함수 하에서 Gaver 와 Maxumder(1967) 에 의하여 제기된 두 개의 상태과정 즉 파손과 보수과정에 있어서 보수할 수 있는 성분에 대한 유용도를 어떤 베이지안으로서 실제의 값에 가까운 점 추정치를 구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만드는데 목적을 두며 앞으로 이를 선박기기 및 항해기기등의 보수정비에 관한 운용등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윤활된 금속표면의 산화층과 그 영향

  • 강석춘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1 no.1
    • /
    • pp.20-29
    • /
    • 1985
  • 많은 윤활 부품의 성능과 수명은 초기작동기간에 금속표면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에 의하여 좌우된다. 특히 혼합마착구역(Mixed film region)에서나 윤활막의 두께가 몇십 마이크론의 정도가 되는 EHD(Elastohydrohynamic)윤활구역에서 작동하는 경우엔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경험적 현상에 의해 상대운동하는 두마찰면의 초기 작동과정을 길들이기(run-in, breaking-in)라고 부르고 "마찰 부분의 형상이나 마모 및 윤활 마찰특성이 향상되어가는 과정" 으로 정의한다. 보통 길들이기 과정이 끝나면 표면 모양은 더이상 변하지 않고 마모나 마찰 특성이 일정하게되며 이 단계를 정상 상태라고 부른다. 길들이기과정이 중요시되는 것은 이 과정에서 마모는 정상 상태보다 심하고 Scuffing 혹은 Scoring현상이라고 부르는 마찰면 손상의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현상은 보통의 마모나 부식 또는 피로파손의 형태와는 달리 갑작스런 발생으로 부품이나 기관의 부분적 혹은 완전 파손을 유발함으로써 설계나 제조 과정에 문제를 제기하는 요인으로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부터 알려져 왔다.

Segment-based Optimal Valve Placement for Minimizing Water Suspens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상수관망시스템의 단수용량 최소화를 위한 단수구역 기반 최적 밸브위치 선정)

  • Lim, Gabyul;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5
    • /
    • 2019
  • 상수관망시스템은 정수장으로부터 각 수요처에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사회기반시설물이며,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주로 지하에 시설물이 매설되어 있다. 상수관망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함에 있어 노후화로 인한 유수율 저하, 갑작스런 수요량의 증가, 관로 파손 등 비정상상황에의 용수공급을 항상 대비하여야 하며, 이를 통한 지속적인 관리와 개량이 필요하다. 상수관망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비정상상황들 중 상수관망시스템 내 관로가 파손될 경우, 파손 관로의 보수 혹은 교체를 위해서는 해당 관로의 용수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파손관로와 인접한 밸브를 차폐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용수공급이 중단되는 단수구역이 발생하게 된다. 단수구역은 파손 관로를 차폐함으로써 파손 관로와 함께 용수공급이 차단되는 직접고립지역과 직접고립지역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수원으로부터 물 공급이 차단되는 간접고립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관 파손에 의한 단수용량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내 설치된 밸브의 개수와 위치에 따른 직, 간접고립지역(단수구역)을 정확하게 산정할 필요가 있다. Jun and Loganathan(2007)은 단수구역을 직접고립지역과 간접고립지역으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각각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간접고립지역 탐색 방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 및 검증하였다. 또한, 개선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수관망시스템 내 최적 밸브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단수용량과 밸브설치비용을 동시에 최소화하는 다목적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예시 관망을 이용하여 모의를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Prediction of Failure Behavior for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Bolted Joints using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점진적 파손해석을 이용한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 볼트 조인트의 파손거동 예측)

  • Yoon, Donghyun;Kim, Sangdeok;Kim, Jaehoon;Doh, Youngdae
    • Composites Research
    • /
    • v.34 no.2
    • /
    • pp.101-107
    • /
    • 2021
  • Composite structures have components and joints. Theses connections or joints can be potentially weak points in the structure. The failure mode of the composite bolted joint is designed as a bearing failure mode for structural safety.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 exhibits bearing failure mode shows a nonlinear behavior after the initial failure and progressive failure behavior. In order to accurately predict the failure behavior of composite bolted joints, this study modified the shear damage variable calculation process in the existing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model. The results of the bearing stress-bearing strain of the composite bolted joint were predicted using the modified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model, and the modified model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progressive analysis model.

Analysis of Fatigue Life and Failure of High-Speed Rotating Cylindrical Vessel with Holes (구멍이 있는 고속 회전 원통용기의 파손 및 수명 해석)

  • Lee, Ouk-Sub;Kim, Hong-Min;Choi, Hye-B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4
    • /
    • pp.439-446
    • /
    • 2010
  • Fracture mechanics is used for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failure of high-speed rotating cylindrical vessels. The general procedure for the analysis of fatigue life and failure used in this study is summarized; the initial material properties are also described. The results of the theoretical stress analysis are compared to the observed magnitude of the stress under the operational condition. The fracture-surface configurations observed under both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progress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Fatigue life estimates obtained by using the Paris model are compared to the actual service life of the high-speed rotating pressure vessel.

Failure Mode and Strength of Unidirectional Composite Single Lap Bonded Joints I. Experiments (일방향 복합재료 Single Lap접합 조인트의 파손 모드 및 강도 I. 실험)

  • Kim Kwang-Soo;Yoo Jae-Seok;An Jae-Mo;Jang Young-Soon
    • Composites Research
    • /
    • v.17 no.6
    • /
    • pp.14-21
    • /
    • 2004
  • Failure process, mode and strength of unidirectional composite single lap bonded joints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with respect to bonding methods, those are, co-curing with and without adhesive and secondary bonding. The co-cured joint specimens without adhesive had the largest failure strength. Progressive failures along the adhesive layer occurred in the secondary bonded specimens. In the co-cured specimens with adhesive film which had better material strength and adhesion performance, delamination failure occurred and the joint strengths were less than those of secondary bonded specimens. Delamination failure did not occur in the secondary bonded specimens because of earlier crack growth and progressive failure in the adhesive layer. Therefore, failure strength of composite bonded Joints were not always proportionate to material strength and adhesion performance of the adhesive due to the weakness of delamination in composite materials. The effects of surface roughness, bondline thickness and fillets were also studied on secondary bonded specimens.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Progressive Failure Behavior of CFRP using Crack Band Model Based Damage Variable (Crack Band Model 기반 손상변수를 이용한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 적층판의 점진적 파손 거동 예측 및 검증)

  • Yoon, Donghyun;Kim, Sangdeok;Kim, Jaehoon;Doh, Youngdae
    • Composites Research
    • /
    • v.32 no.5
    • /
    • pp.258-264
    • /
    • 2019
  • In this paper, a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method was developed using the Hashin failure criterion and crack band model. Using the failure criterion, the failure initiation was evaluated. If the failure initiation is occurred, the damage variables at each failure modes (fiber tension & compression, matrix tension & compression) was calculated according to linear softening degradation behavior and the variables are used to derive the damaged stiffness matrix. The damaged stiffness matrix is reflected to damaged material and the progressive failure analysis is continued until the damage variables to be 1 that complete failure of material. A series of processes were performed using FE commercial code ABAQUS with user defined material subroutine (UMAT). To evaluate the proposed progressive failure model, the experimental results of open hole composite laminate tests was compared with numerical result.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system, the strain behavior also was compared. The proposed numerical results were coincided well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alysis of Relative Breakage Hazard Rate of Water Mains Using the Proportional Hazards Model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상대적 파손위험율 분석)

  • Park, Su-Wan;Kim, Jung-Wook;Im, Gwang-Chae;Lee, Hy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90-4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배수관로의 내 외부적 특성에 따라 개별관로를 정의하는 방법을 연구대상 지역의 배수관로 파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비례위험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연구대상지역의 배수관로의 제원 및 파손시기를 포함하는 관로 파손데이터베이스, 관로매설지역의 급수인구 및 수압범위에 관한 자료를 포함하는 GRID 데이터베이스와 관로매설지역의 토지개발 정도에 관한 자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관로를 순차적 파손경험에 따라 7개의 생존시간군(STG I $\sim$ VII)으로 구분하고 각 생존시간군에 대한 비례위험모형(Model I $\sim$ VII)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모형을 이용하여 관로의 파손횟수가 증가하는 동안 파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변화와 그 효과를 파악하였으며, 또한 추정된 공변수의 위험비율을 분석함으로써 관로의 제원 혹은 매설환경, 급수인구 등에 따른 위험률의 상대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비례 위험모형의 구축과정에서 관로의 파손에 영향을 미치는 공변수의 비례성 가정을 검토하여 시간종속형 공변수를 모형화하였으며, 모형의 이탈잔차(deviance residual)를 분석하여 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비례위험모형에 대해 Shoenfeld 잔차를 이용한 스코어 잔차의 변화(score process)를 검토한 결과, Model I 과 Model II 에 대해서는 공변수의 시간종속 효과가 발견되었다. Model I에 대해서는 관로재질과 급수인구의 영향이 시간에 따라 변하며 Model II에서는 급수인구의 영향만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odel III $\sim$ Model VII 들에 대해서는 공변수의 영향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생존시간군에 대해 관로재질, 토지개발정도, 관로길이 및 급수인구의 변화가 관로의 상대적 누수위험률에 미치는 영향을 상대위험률의 95% 신뢰구간을 고려하여 정량적으로 산정하였고, 시간 종속형 공변수로 모형화된 공변수는 시간에 따른 공변수 영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순차적 파손사건에 대한 비례위험모형의 구축 결과 생존시간군(STG) I의 기저위험률은 매설 후 대략 450개월까지는 파손 위험률이 '0'에 가까우나 그 이후로 급격히 증가하다가 매설 후 약 700개월에 이르러서는 약간 감소하고 약 850개월 이후에는 다시 급격히 증가한다. STG II의 기저위험률은 첫 번째 파손 후 약 300개월이 되면 위험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G III $\sim$ STG VII의 기저위험률은 이차함수의 형태를 띄며, 특히 STG V, STG VI 및 STG VII의 기저위험률은 욕조형 곡선(bathtub curve)의 형태를 가진다. 각 생존시간군의 기저생존함수의 생존확률 '0.5'에 해당하는 기저중간생존시간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파손횟수가 많아질수록 순차적 파손사건 사이의 경과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저생존시간에 대한 경향은 관로의 파손횟수가 많아질수록 관로의 일반적은 내구성은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