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력 부존량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the Wave Energy Potential of the East Coastal Seas of Korea (동해 연안 파력 부존량의 시간적 및 공간적인 변동 양상)

  • Jeong, Weon Mu;Cho, Hongyeon;Oh, Sang Ho;Kim, Sang 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5 no.5
    • /
    • pp.311-316
    • /
    • 2013
  • In this study, the wave energy potential (WEP) was evaluated using the wave data measured at nine stations along the Korean east coast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long the Korean east coast, seasonal variations in the WEP were around 6.4 kW/m in winter and 1.2 kW/m in summer, greater than spatial variations of 2.5~4.3 kW/m. In most stations, the wave power during June to July were shown to be smallest. The estimated annual average WEP was greatest in the Mukho and Jukbyeon station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Korean east coast at around 4.3 kW/m, and smallest in the Jinha station at around 2.5 kW/m. The results found using the previous hindcast data showed WEP having a tendency to decrease from south to north. However, in this study, the WEP showed a tendency of being greatest in the middle of the Korean east coast and decreasing in both north and south directions.

Research on WEC system for high efficiency energy development (고효율 파력발전을 위한 파력발전 시스템에 대한 연구)

  • Han, Sung-Hoon;Jo, Hyo-Jae;Doh, Deog-Hee;Eom, Jae-P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91-292
    • /
    • 2012
  • 해상에는 막대한 파력 부존량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파력발전은 다른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 비하여 효율이 낮고 발전단가가 높아 경제성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파력발전시스템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파력발전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파력발전시스템은 기존의 파력발전기로는 발전할 수 없었던 작은 파도로도 발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높은 효율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험을 통하여 미세한 파도에서도 충분한 발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나아가서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본 모델 보다 5배 크기로 추정하였을 때 여기서 제시하는 파력발전시스템이 실제 해상에서 상용화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실험은 2차원 조파수조에서 수행 되었으며 발전시스템의 출력 값은 토크센서와 RPM 측정기를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Electrical Converter for Tidal-Current Power Plant with 1.2MW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 (조류발전용 1.2MW 권선형유도발전기 제어를 위한 전력변환장치 개발)

  • Park Jungwoo;Lee Kiwook;Kim Dongwook;Yum Kidai;Lee Kwangsoo;Park Jinso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520-523
    • /
    • 2005
  • 국내에서 대체에너지 공급 비율을 보면 청정에너지로 분류할 수 있는 태양열에너지, 태양 광 에너지, 풍력에너지를 모두 합하여 대체에너지의 $10\%$이하이며, 대체에너지 비율의 $90\%$ 이상을 폐기물로부터 얻은 에너지가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재생에너지원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해양에너지원에 대해 대상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부존량을 살펴보면 진도 주변의 해역에서 조류발전 부존량이 약 362만 kW가 되며, 시화호와 새만금 등지에서의 조력발전 부존량이 650만 kW, 동해안 후포 연안을 비롯한 파력발전 부존량이 20만kW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해양에너지를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권선형유도발전기를 갖는 조류발전 시스템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로 권선형유도발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 개발과 관련한 내용이다. 신재생에너지원이 발전 단가 측면에서 경제성을 갖기 위해서 발전기 용량은 5MW 급까지 대용량화되어 있는 단계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MW급 이상이 되는 권선형 유도발전기와 권선형 유도발전기를 제어하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연구 실적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MW급의 권선형유도발전기에 대한 개발 사례를 소개하면서 유효전력제어, 역률제어, 계통연계방법, 그리고 운전 속도에 따라 변동되는 회전자측에서의 피상전력 특성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ontrol of a 1MW-class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 for Distributed Resources (분산전원용 1MW급 권선형유도발전기 제어)

  • Park, Jung-Woo;Lee, Ki-Wook;Kim, Dong-Wook;Yum, Ki-Dai;Lee, Kwang-Soo;Park, Jin-S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5.07a
    • /
    • pp.483-486
    • /
    • 2005
  • 국내에서 대체에너지 공급 비율을 보면 청정에너지로 분류할 수 있는 태양열에너지, 태양광 에너지, 풍력에너지를 모두 합하여 대체에너지의 10% 이하이며, 대체에너지 비율의 90% 이상을 폐기물로부터 얻은 에너지가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재생에너지원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해양에너지원에 대해 대상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부존량을 살펴보면 진도 주변의 해역에서 조류발전 부존량이 약 362만 kW가 되며, 시화호와 새만금 등지에서의 조력발전 부존량이 650만 kW, 동해안 후포 연안을 비롯한 파력발전 부존량이 20만 kW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해양에너지를 실용화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권선형유도발전기를 갖는 조류발전 시스템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로 권선형유도발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 개발과 관련한 내용이다. 신재생에너지원이 발전 단가 측면에서 경제성을 갖기 위해서 발전기 용량은 5MW 급까지 대용량화 되어 있는 단계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MW급 이상이 되는 권선형유도발전기와 권선형유도발전기를 제어하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연구 실적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MW급의 권선형유도발전기에 대한 개발 사례를 소개하면서 유효전력제어, 역률제어 특성과 운전 속도에 따라 변동되는 회전자 측에서의 피상전력 제어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Wave Power Resource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estimated by Using Hindcasted Wave Data (파랑 역추산 자료로부터 추정된 우리나라 남부해역의 파력 부존량 연구)

  • Kim, Gunwoo;Jeong, Weonmu;Park, Jinsoon;Lee, Gwangs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35.2-235.2
    • /
    • 2010
  • In this study, the wave power resources at the southern sea of Korea were estimated by using the hindcasted wave data of previous researches. The used data were wave heights, periods and directions which were hindcasted around the Korea peninsular from 1979 to 2003.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hindcasted data is $1/6^{\circ}$(about 18 km). In winter, the northwest monsoon increase the wave power, while the wave power around Korea peninsular is very small in spring. The maximum value of the annual mean wave power is about 13 kW/m at Gageo-do, Heuksan-do and western region of Jeju-do, while those at the southern sea of Korea is only 4 kW/m, which is relatively small. The wave power at Korean east sea is lower than that of Korean southern sea. We obtained the wave resources information, in a fine grid, at Gageo-do, Heuksan-do, and western sea of Jeju-do, by solving SWAN model with the boundary conditions of hindcasted wave data.

  • PDF

Comparison of Wave Power Resources in the Coastal Zone of the Korea East Sea Estimated by Using Field Measurement Wave Data (실측 파랑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우리나라 동해 연안역의 파력 부존량 비교)

  • Jeong, Weon-Mu;Oh, Sang-Ho;Lee, Dal-Soo;Lee, Dong-Young
    • New & Renewable Energy
    • /
    • v.3 no.3
    • /
    • pp.28-35
    • /
    • 2007
  • In this study, the wave power resources at the three locations [Sokcho, Hupo, and Onsan] on the east coast of Korea were estimated by using the field measurement data and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It was found that seasonal variation of the wave power is very significant o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wave power was the smallest in the summer season at all the locations. At Hupo and Onsan, the highest value of the monthly-averaged wave power was observed in September, probably because the pathways of typhoon in September were close to both locations. At the northest location, Sockcho, in contrast, the monthly highest value of the wave power appeared in January, probably owing to the influence of storm waves driven by Donghae twister. The estimated annual average wave power was 4.5 kW/m at Sokcho, which was about two times larger than those at other two locations. It is noteworthy that this resul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past researches based on wave hindcasting data. In addition, the estimates of wave power by the past researches seemed to be smaller than those of the present study, especially at the northern region of the east coast.

  • PDF

Investigation on the Wave Power Resources on the East Coast of Korea Based on Field Measurement Data (실측자료에 근거한 동해안 파력 부존량 검토)

  • Jeong, Weon-Mu;Oh, Sang-Ho;Lee, Dal-Soo;Lee, Dong-Yo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630-634
    • /
    • 2007
  • In the past, the use of wave energy has mainly been focused on conversion of large wave energy resources in the far offshore areas. However, with the technological improvement of converting wave energy into electricity, the energy resources at much shallow waters are now considered as a site for possible installation of the devices that obtain energy from the waves. In this respect, the wave energy resources on the east coast of Korea, where the sea is milder than the open ocean, were investigated using the field measurement data obtained at three different locations along the coast. For all the locations, the wave power was greater in winter season, compared to summer season. The estimated wave power varied from 2 to 4.5 kW/m on average,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locations.

  • PDF

조력발전, 대규모 건설공사 파급효과 커

  • Lee, Jong-Su
    • 월간 기계설비
    • /
    • s.227
    • /
    • pp.40-49
    • /
    • 2009
  • 해양에너지는 해양의 조수 파도 해류 온도차 등을 변환시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기술로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은 조력 파력 조류 온도차 발전 등이 있다. 해양에너지는 타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부존량이 풍부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대규모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조력과 조류발전은 발전량의 정확한 장기예측이 가능해 전력계통망 운영에 유리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해양에너지의 보급은 미미한 실정이다. 화석에너지에 비해 경제성이 낮기 때문이다. 특히 조력발전은 막대한 초기건설비가 소요되고 입지가 제한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에너지자원 빈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해양에너지 산업화가 시기적인 문제만 있을 뿐 향후 이에 따른 건설 및 서비스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조력 조류발전의 경우 대규모 건설공사가 수반되며 이로 인한 산업적 파급효과는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로림 조력발전소, 울돌목 조류발전소의 경우 각각 약 3,600억원, 약 1조원, 약 2,500억원 총 건설비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중 토목건설 부분이 약 50%, 기계 전기 부분이 약 50%를 차지한다. 이는 향후 5년간 약 1조 6,000억원 정도의 토목건설과 기계 전기 설비시장이 새롭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호에는 해양에너지 중 가장 집중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조력 조류발전에 대해 알아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