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도

Search Result 14,98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Numerical Experiment For Interference Waves Reduction In Chute Spillways With Contraction (축소부를 고려한 여수로의 충격파 저감 : 수치모의)

  • Hwang, Jong-Hoon;Kim, Dae-Geun;Kim, Chang-Si;Lee,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32-1736
    • /
    • 2006
  • 여수로는 월류시 한계류 상태와 고유속의 사류상태가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복잡한 흐름형태를 가지고 있어 여수로의 단면설계시 수리적인면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안정해야 하며 경제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고유속의 흐름을 갖는 여수로에 축소부를 고려할 경우 충격파에 의한 수위상승과 하류의 흐름 교란 등 수리학적인 불안정이 발생하기 때문에 설계시 경제적인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면축소부를 고려하여 여수로를 설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면축소를 고려한 여수로 설계를 위하여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여 충격파로 인하여 발생하는 교차파 저감을 모의하기 위하여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교차파 저감을 위해 축소부내에서 교차파가 발생하도록 축소부의 각도는 유입흐름 특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설정하였다. 수치실험결과 축소부의 각도가 작을수록 첫번째 교차파의 수위는 크게 발생하지 않으나 단면축소후 교차파가 하류로 전파되어 불안정한 흐름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과대하게 설정할 경우 첫번째 발생하는 교차파에 의해 중앙부의 수위가 크게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축소부단면내 회절판(diffractor) 설치전 후의 수리학적 거동을 모의하여 회절판의 흐름개선 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

Preliminary evaluation of a tapered cylindrical shock wave source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 충격파 발생기의 특성 평가)

  • Choi M. J.;Cho S. C.;Kang K. S.;Paeng D. G.;Lee J. S.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79-384
    • /
    • 2004
  • 체외 충격파 쇄석술 (ESWL)은 체외에서 발생된 충격파를 체내의 결석이 위치한 부위에 집속하여 결석을 분쇄하는 비 침습적인 치료술이다. 최근 충격파를 이용하여 근관절 질환을 치료하는 체외 충격 파 치료술 (ESWT)이 또한 임상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아직 ESWT를 위한 최적의 충격파 노출 조건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ESWL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격파장의 초점 영역이 넓고 낮은 강도의 충격파를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ESWT에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테이퍼 원통형 충격파 발생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테이퍼 원통형 충격 파 발생 의 초점 부위의 파형을 수치 해석하여 평가하고, 기존 원통형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테이퍼 원통형 충격파 발생기의 시제품을 제작하고, 발생된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모의 결석을 제작하여 분쇄 효율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원통형 충격파 발생기와 비교하였다.

  • PDF

Effects of Evanescent Modes over Axisymmetric Seabed (축대칭 지형을 지나는 파랑의 소멸파 성분 검토)

  • Goo, Ja Young;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56-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파랑의 변형을 예측하는 방법 중 하나인 고유함수전개법을 이용하여 축대칭 형태의 지형 위를 통과하는 파랑의 소멸파 성분을 검토하였다. 기울기와 곡률이 변하는 지역에 고유함수 전개법을 적용하여 해석할 때 필요한 적절한 구간의 수와 소멸파 성분의 개수를 산정하였다. 고유함수전개법을 이용하여 파랑의 변화를 예측하는 연구는 Bremmer(1951)가 전자기파에 적용하면서 처음 제시한 후 Takano(1960)가 파랑 변형 연구에 적용하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밖에 Kirby and Dalymple(1983), Liu et al.(1992), Cho and Lee(2000), Bender and Dean(2003), 조용식과 이창훈(1998) 및 강규영 등(2007)에 의해 국내 외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의 대부분이 연직 2차원 지형에 대하여 수행되어 왔다. 3차원 지형에 대한 고유함수전개법은 Bender and Dean(2005)에 의해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에서는 수렴해를 얻기 위한 구간 및 소멸파 개수에 관한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실제 해저 지역은 다양한 지형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대칭 지형에 대하여 수렴해를 얻기 위해 구간을 나누어 해의 수렴성을 확인하여 적절한 구간의 수를 결정한 후 소멸파의 수를 변화시키면서 소멸파가 파랑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천해역 및 중간수심 영역을 구간의 수와 소멸파 성분의 수에 변화를 주면서 수렴성 검사를 한 결과, 천해 영역에서는 소멸파 성분의 영향이 적게 나타났으나 중간수심 영역에서는 적절한 개수의 소멸파를 고려해야 보다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서지역 해양기준국 반사파 변동과 AWS 관측 기상인자와의 상관성 분석

  • Park, Soon;Park, Seoul-Youl;Park, Woo-Koung;Goo, Ja-Hun;Kong, Hyu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286-287
    • /
    • 2015
  • DGPS의 안정적인 운영 및 제공을 위해서는 중파대역 송출 전파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특히 대지 전도율의 변화에 따른 반사파의 변동은 안정적인 측위정보 제공 및 DGPS 기준국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은 반사파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화 요인을 분석하고자 기준국 반사파의 변동과 기상인자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도서 지역 DGPS 기준국의 반사파 변동과 기상인자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시계열분석, 산포도 분석, 상관계수 산정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반사파 변동과 풍속, 습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기압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풍속과 습도가 높을수록 반사파가 크게 발생하며, 기압이 낮을수록 반사파가 낮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송신 전파 특성상 기상의 변화가 반사파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반사파가 생성되는 환경 요인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on Multiple Shock Wave Structures in Supersonic Internal Flow (초음속 내부유동에서 다수의 충격파 구조에 대한 연구)

  • James, Jintu K;Kim, Heuy 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4 no.3
    • /
    • pp.31-40
    • /
    • 2020
  •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multiple shock waves are studied numerically using a finite volume solver for a model with nozzle exit Mach number of 1.75. At first, the shock variation based on images were analyzed using a Matlab program then later to the wall static pressure variation. The amplitude and frequency variation for multiple shock waves are analyzed. The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shock location suggests that the first and the second shocks are well correlated while the other shocks show a phase lag in the oscillation characteristics. The rms values of pressure fluctuations are maximum at the shock locations while the other parts in the flow exhibit a lower value os standard deviation.

Ground based interferometric gravitational wave detector and its technologies

  • Park, June Gyu;Kim, Chang-Hee;Lee, Sungho;Kim, Yunjong;Seong, Hyeon Cheol;Jeong, Ueejeong;Je, Soonky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60.1-60.1
    • /
    • 2021
  • 현재 중력파 관측은 레이저 간섭계 기반의 중력파 검출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검출기 성능이 개선되고 안정화 되어 초기 설계 사양 이상의 관측감도를 확보하였다. 이제 레이저 간섭계 기반의 중력파 관측 기술은 중력파 관측 가능성의 유무를 넘어 차세대 중력파 검출기의 건설을 앞당기는 수준이 되었으며 해외에서는 중력파 검출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공격적인 투자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이 발표에서는 현재 운영중인 레이저 간섭계 기반의 중력파 검출기의 중력파 검출 원리와 실제 중력파 검출기에서 사용되는 관련 핵심 기술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단순히 특정 분야의 일부 기술이 아닌 중력파 검출기 건설에 사용된 재료, 광학, 기계공학, 전자, 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소개하고 실제 중력파 검출기 관련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연구 주제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ource for Crosshole Seismic Method to Determine Body Wave Velocity with Depth at Multi-layered Sites (다층 구성 부지에서의 깊이별 실체파 속도의 결정을 위한 시추공간 탄성파 탐사 발진 장치 개발 및 적용)

  • Sun, Chang-Guk;Mok, Young-Ji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9 no.3
    • /
    • pp.193-206
    • /
    • 2006
  • Among various borehole seismic testing techniques for determining body wave velocity, crosshole seismic method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ost suitable technique for evaluating reliably geotechnical dynamic properties. In this study, to perform successfully the crosshole seismic test for rock as well as soil layers regardless of the groundwater level, multi-purposed spring-loaded source which impact horizontally a subsurface ground in vertical borehole was developed and applied at major facility sites in Korea. The geotechnical dynamic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determining efficiently the body wave velocities such as shear wave velocity and compressional wave velocity from the horizontally impacted crosshole seismic tests at study sites, and were provided as the fundamental parameters for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seismic design of the target facilities.

Numerical modeling of impulse wave (수면 충격파의 수치모의)

  • Paik, Jo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44
    • /
    • 2015
  • 저수지나 하천 사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와 토석류는 저수지와 하천 수체에 충격을 가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면 충격파는 전파되어 반대편 제방으로 파의 처오름 또는 댐 제체위로의 물넘이로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최근 외국에서는 2차원 충격파 생성 및 전파의 기본 과정을 구명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들 연구들은 충격파의 발생과 전파, 사면활동 물질과 수체의 상호작용 그리고 자유 수면과 유속분표의 발달에 대한 자세한 관측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충격파에 영향을 주는 지배 매개변수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험적 연구의 최근 진보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배 매개변수를 고려한 충격파 지배공식들은 대상 지역의 복잡한 바닥 지형이나, 평면적 지형 변화를 단순한 추정치로만 고려하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지형조건에서 토석류와 수체의 상호작용과 수면 충격파의 전파를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 경우 수치모델링 기법을 대안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수치모델링은 수면에서 충격파의 전파와 수중에서 토석류의 전파를 동시에 모의해야 하고, 뉴턴 유체와 비뉴턴 유체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해야하므로 수치해석 연구자들에게는 하나의 큰 도전사항이다. 이 연구는 경계면 포착기법을 이용한 계산유체동력학 기법을 이용하여 사면활동과 이로 인한 정지 수역에서의 충격파의 발생 및 전파를 재현하기 위한 수치 모델링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면활동과 수면의 경계면을 포착하고 위치를 정립하기 위해서 VOF (volume of fluid) 경계면 재구축 기법을 이용한다. 지배 방정식은 비압축성(incompressible) 질량 보존방정식과 나비어-스톡스(Navier-Stokes) 방정식이며, 서로 다른 유체의 상(phase)애 대한 체적분할이송방정식을 이용한다. 큰와 모의 계열의 난류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충격파의 전파와 붕괴에 대한 난류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토석류는 비뉴턴 흐름저항 관계식을 적용하여 그 흐름특성을 재현하였다. 이들 지배방정식은 2차 정확도의 유한체적법(finite volume method)을 이용하여 해석한다. 외국의 연구자들이 관측하여 제시한 길이 11 m 그리고 폭 0.5 m의 수로에서 발생한 충격파를 수치적으로 재현하여 개발된 모형의 실제 문제에 대한 적용성을 보여준다.

  • PDF

Variation in Characteristics of Elastic Waves in Frozen Soils According to Degree of Saturation (포화도에 따른 동결토의 탄성파 특성 변화)

  • Park, Jung-Hee;Kang, Min-Gu;Lee, Jong-Sub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1063-1075
    • /
    • 2013
  • The strength of frozen soils is one of the significant design parameters for the construction in frozen ground. The properties of frozen soils should b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strength of frozen soi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elastic waves in frozen soils, which reflect the constituent and physical structure of frozen soil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f thos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turation. Freezing cell is manufactured to freeze specimens, which are prepared with the degree of saturation of 10%, 40%, and 100%. Piezo disk elements are used as the compressional wave transducers and Bender elements are used as the shear wave transducers. While the temperature of specimens changes from $20^{\circ}C$ to $-10^{\circ}C$, the velocities, resonant frequencies and amplitudes of the compressional and shear waves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elastic wave signatures.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elastic wave velocities increase as the degree of saturation increases. The variation of resonant frequencies coincide with that of elastic wave velocities. A marked discrepancy in amplitudes of compressional and shear waves are observed at the temperature of $0^{\circ}C$. This study renders the basic information of elastic waves in frozen soils according the degree of saturation.

Spatial Variation of Diffracting Wave Amplitudes on the Front and Lee Sides of the Semi-Infinite Breakwater (반무한방파제 전면과 후면에서 회절파의 공간적인 변화)

  • Jung, Jae-Sang;Lee, Chang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2 no.4
    • /
    • pp.203-210
    • /
    • 2020
  • Spatial variation of diffracting wave amplitudes along a semi-infinite breakwater is investigated using the analytical solution of Penney and Price (1952) for wave diffrac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breakwater, the fluctuation of wave amplitudes due to diffracting waves would cause a wave force greater than that of superposed incident and reflected waves. The diffracting wave phase varies in circular shape from the breakwater tip of (x, y) = (0, 0) whereas the incident and reflected wave phases vary in planar shape. So, the total wave amplitude of the incident (or reflected) waves and the diffracting waves would fluctuate at a position away from the energy discontinuity line. The position (x, y) = (0, y) on the front and lee sides of the breakwater is at a distance y(π/2 - β) of the point on the energy discontinuity line along the diffracting wave crest line.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diffraction wave energy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from the point on the energy discontinuity line along the diffracting wave crest line. Therefore, the diffracting wave amplitudes on the front and lee sides of the breakwater would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y(π/2 - 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