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4초

파노라마 방사선사진과 구내 방사선사진에서 골조직 정량평가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n the panoramic and intraoral radiographs)

  • 김재덕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1권3호
    • /
    • pp.129-133
    • /
    • 2001
  • Purpose: To compare the copper equivalent values measured at premolar and molar areas in the copper equivalent images of panoramic and intraoral radiographs an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copper equivalent images of panorama for the assessment the bone density. Materials and Methods : Intraoral radiograms at mandibular premolar and molar area and panoramas of 6 human dry skulls were taken with copper-step wedge by Heliodent MD (Siemens Co., Germany) and by Planmeca (PM 2002 CC, Planmeca, Helsinki, Finland) were used for experiment. The copper equivalent values measured at premolar and molar areas in the copper equivalent im ages of panorama and intraoral film were compared. Results: The copper equivalent values were ranged 0.20 mmCu-0.44 mmCu at the molar areas, 0.05 mmCu-0.31 mmCu at the premolar areas on panoramic imag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5) between the copper equivalent values on intraoral images and those on panoramic images measured at premolar areas and molar areas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opper equivalent values on intraoral images and those on panoramic images was respectively 0.8495 at molar areas and 0.6184 at premolar areas. Conclusions : The copper equivalent images of panorama for the assessment the bone density appeared to be significant at molar area compared with the one of intraoral radiograph.

  • PDF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하악관과 이공의 관찰되는 정도 (Visibility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mental foramen in panoramic radiography)

  • 정선진;최의환;김재덕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1권3호
    • /
    • pp.153-158
    • /
    • 2001
  • Purpose : To determine the head position that the superior border of the mandibular canal as well as mental foramen can be more clearly visualized in panoramic rad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 Ten dry mandibles were radiographed bilaterally using PM 2002 CC panoramic machine. A 20 mm thick aluminium filter was added to the slit collimator to obtain radiographs with acceptable density. The specimens were tilted by 2, 4, 6, 8, and 10 degrees downward with and without radiopaque markers. Radiopaque markers were inserted into the mandibular canals and the mental canals of each side of the specimens to serve as reference image when assessing the radiographs. The visibility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mental foramen was estimated by 4 observers on all radiographs. The obtained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Mandibular canals were significantly more clearly visible in the radiographs with 4 and 6 degree downward position on both sides (P<0.05). Mental foramens were significantly more clearly visible in the radiographs with 4, 6, and 8 degree downward on right side and 6 degree downward on left side (P<0.05).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sides. Conclusion: Panoramic radiographs with 4 to 6 degree downward tilting could be valuable in locating the mandibular canal as well as the mental foramen.

  • PDF

정상 및 골다공증 여성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계측치 비교 (Comparison of panorama radiomorphometric indices of the mandible in normal and osteoporotic women)

  • 김주연;나경수;정연화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4권2호
    • /
    • pp.69-74
    • /
    • 2004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adiomorphometric indices of the mandible on panoramic radiographs among three groups of normal, osteopenia and osteoporosis and to determine whether panoramic indices have validity in predicting osteoporotic risk. Materials and Methods: Ninty-four postmenupausal women aged 42-72 years (mean 62±7.5) were examine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DEXA) of the lumbar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WHO classification. Panoramic mandibular index (PMI), mandibular cortical thickness (Mental index (MI), Antegonial index (AI), Gonial index (G!)) and the mandibular cortical index (MCI) were measured bilaterally on panoramic radiographs and analyzed. Results: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s among normal, osteopenic and osteoporoti groups in PMI (I), PMI (S), MI, AI, GI and MCI. The sensitivities of the MCI (93%) and the combination index of MCI and MI (90%) in diagnosing osteopenic/osteoporotic cases were high. Conclusion: The widths and shapes of the mandibular cortical bone on panoramic radiography may highly reflect the systemic osteopenic/osteoporotic conditions of the patients.

  • PDF

치근단 및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프랙탈 분석을 이용한 골다공증 예측 (Prediction of osteoporosis using fractal analysis on periapical and panoramic radiographs)

  • 김주연;정연화;나경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8권3호
    • /
    • pp.147-151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fractal analysis of periapical and panoramic radiographs was useful in predicting osteoporosis risk. Materials and Methods : 37 postmenoposal women between the age of 42 and 79 were classified as normal and osteoporosis group according to the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vertebrae and periapical and panoramic radio-graphs were taken. Fractal dimensions at periapical areas of mandibular first molars were calculated to differentiate the two groups. Results : The mean fractal dimensions of normal group on periapical and panoramic radiographs were $1.413{\pm}0.079$, $1.517{\pm}0.071$ each. The mean fractal dimensions of osteoporotic group on periapical and panoramic radiographs were $1.498{\pm}0.086$, $1.388{\pm}0.083$ each. The mean fractal dimension from peripaical radiographs of osteoporotic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The mean fractal dimension from panoramic radiographs of osteoporotic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group. Conclusion : Fractal analysis using periapical and panoramic radiographs was useful in predicting osteoporosis.

  • PDF

상악동으로 이소맹출한 견치 (ECTOPIC CANINES INTO THE MAXILLARY SINUS)

  • 김현옥;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35-539
    • /
    • 2000
  • 구강 내에서 치아가 이소맹출되는 것은 흔히 있는 반면에 구강외 다른 부위로의 이소맹출은 드물다. 예를 들어 비강, 턱, 하악과두, 관상돌기, 안와 또는 상악동으로 이소맹출할 수 있으며 그 원인은 불명확한데 구개열과 같은 발육장애, 외상이나 낭종에 의한 치아변위, 상악감염, 유전, 총생 또는 치밀골 등의 원인 요소가 논의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증례에서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는 않았다. 치아가 상악동으로 이소맹출한 경우 무증상일 수 있지만 심각한 병적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증례는 6세 1개월 남환아로 어금니가 아프다는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의과병력과 치과병력조사에서 특이한 사항은 없었고 통상적인 보존치료후 주기적인 임상 및 방사선 사진 검사에서 상악 좌, 우 견치의 맹출경로의 이상소견을 보였다. 13세 7개월에 촬영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 좌, 우측 견치가 상악동으로 이소맹출되었으며 Caldwell Luc 수술법으로 제거하였다. 환자는 동통이나 불편감 등을 호소하지 않았으며 종창이나 지각과민 등의 구강내 이상소견은 없었다. 이소맹출되는 치아는 영구치, 유치 및 과잉치일 수 있으며 대부분의 과잉치는 무증상으로 주로 주기적인 방사선 검사시 발견될 수 있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주기적 인 구강 및 방사선 사진 검사가 필요하다.

  • PDF

하악 좌측 제3대구치 발육과 연령 사이의 연관성 (Correlation of Left Mandibular Third Molar Development and Chronological Age)

  • 송민선;강정민;송제선;최형준;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5-4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하악 좌측 제3대구치의 치아 성숙도에 대한 한국인의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하악 좌측 제3대구치의 석회화 단계와 연대기적 연령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 및 치아 발육 단계를 이용하여 연령을 예측할 수 있을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한 만 7 - 23세 사이의 건강한 환자 1653명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보완된 Demirjian의 방법으로 하악 좌측 제3대구치의 발육 단계를 평가했다. 제3대구치의 석회화는 평균 9세에 시작하였으며 치관과 치근의 형성은 각각 평균 14세, 21세에 완성되었다. 치관의 형성과 치근 길이가 완성되는 발육 단계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빨랐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다. 그 외의 발육 단계에서는 남성과 여성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하악 좌측 제3대구치과 연령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제3대구치의 발육 단계를 이용하여 연령을 예측할 수 있었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하악 좌측 제3대구치의 치아 성숙도 평가 방법을 통하여 제3대구치의 발육 시기를 분석할 수 있었고, 하악 좌측 제3대구치가 연령을 예측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어린이의 골격적 부정교합에 따른 골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 비교 (Comparison of Dental Age and Skeletal Maturity in Korean Children with Skeletal Malocclusion)

  • 김지연;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32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골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를 골격적 부정교합에 따라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6세에서 14세에 이르는 총 192명의 환자(89명의 남자, 103명의 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수완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였고 심한 질환을 가진 경우는 제외하였다. 통계는 이분법, chi-squa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석회화는 골 성숙도와 연관성(p < 0.05)을 보였고 또한 골 성숙도가 높은 경우, 여자어린이 일 경우가 11.43배 높았다(p < 0.001). class II 부정교합일 경우, 견치, 제1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치아 석회화 정도가 class III 부정교합자에 비해 높았다(p < 0.05). 치아의 석회화와 골 성숙도의 연관성은 높았으며 class II와 class III 부정교합환자의 치아의 성숙도는 치아에 따라 다른 성숙도를 보였다.

성장기 아동의 수직적 안모 형태와 성별에 따른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 성숙도 평가 (Evaluation of Skeletal and Dental Maturity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Types and the Sex of Growing Children)

  • 조선경;김병화;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14-424
    • /
    • 2021
  • 이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장기 아동의 수직적인 안모 형태와 성별에 따라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총 184명의 8 - 14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하악평면각을 기준으로 3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성별 간 비교를 위해 3개의 군을 각각 남아와 여아의 하위 군으로 나누었다.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 성숙도는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 수완부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으로 평가하였다. 수직적 성장군은 수평적 성장군보다 경추골 및 수완부 골의 높은 성숙도를 보였다. 치아 성숙도는 수직적 성장군에서 가장 높았다. 남아보다 여아에서 골격적 성숙도가 더 높았으며 치아 성숙도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의 수직적 안모 형태 분석은 교정치료 시작 시기 결정에 도움이 되는 보조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직적 안모 형태를 보이는 환자의 경우 교정치료를 조기에 시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소아·청소년에서 맹출 전 치관 내 방사선 투과상의 유병률과 특징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Pre-eruptive Intracoronal Radiolucenc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안영현;양연미;황재준;정태성;신종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60-16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소아 청소년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맹출 전 치관 내 방사선 투과상(pre-eruptive intracoronal radiolucencies; PEIR)의 유병률과 병소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전국 10개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한 만 5세에서 14세 환자 3,000명의 파노라마가 사용되었다. 환자의 나이와 성별, PEIR이 발견된 치아의 종류 및 치아 개수, 병소의 치관 내 위치 및 크기를 조사하였다. PEIR의 환자당 유병률은 2.5%였으며 성별에 따른 PEIR의 유병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EIR이 가장 많이 발견된 치아는 하악 제1대구치로 전체의 29.6%를 차지하였다. 병소의 56.8%가 치관의 중간 1/3에서 나타났으며, 87.5%가 치관부 상아질 두께의 1/3이하의 크기를 보였다.

하악 유구치부에서 발생한 선양 치성 종양의 증례 보고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in the Posterior Mandible of a Young Child : A Case Report)

  • 심도희;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7-92
    • /
    • 2020
  • 선양 치성 종양(adenomatoid odontogenic tumor)은 소아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악골의 치성 기원의 종양이다. 보통 10대에서 상악 견치부분에 발생한다. 이 증례는 3세 여환으로 하악 제2유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개인병원에서 의뢰되었다. 부종과 통증의 병력은 없었다. 파노라마 사진에서 매복된 하악 제2유구치의 주변으로 방사선투과상 병소가 관찰되었고,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에서는 골팽창과 함께 방사선 불투과상 병소들이 관찰되었다. 하악 제2유구치의 발치와 함께 병소의 적출과 조직 생검이 시행되었다. 술 후 1년 검사에서 재발을 보이지 않았다.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이 병소는 소아 청소년의 하악 구치부에서 호발하는 법랑모세포 섬유치아종(Ameloblastic fibroodontoma)로 진단되었다. 하지만 생검의 결과를 통해 이 병소는 선양 치성 종양으로 확진 되었다. 이 증례 보고는 매우 어린 나이에 하악 유구치에 발생한 흔하지 않은 선양 치성 종양 증례를 기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