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티트리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4초

티트리 성분 함유 의치세정제의 항균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Tea Tree Ingredient for Denture Cleaners)

  • 최유리;배성숙;강민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09-41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 식물 중 허브의 일종인 티트리 성분이 함유된 의치세정제를 제조하고 레진의 표면을 분석하고 항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티트리 오일이 각각 30 vol%, 50 vol% 첨가된 실험군 의치세정제를 제조하였으며 실험군 티트리 오일에서 24시간, 48시간 보관한 후 표면 경도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 생리식 염수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의치상의 색상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색차색도계를 이용하여 24시간, 48시간에 따른 전체변화량 ${\Delta}E^*$값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 생리식염수와 유의한 차이가 없어 티트리 의치세정제가 의치표면의 색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항균력을 평가한 결과 실험군인 티트리 50%군에서는 $3.18{\pm}2.59CFU/ml$로 원액과 유의차를 확인 할 수 없었지만 30%군보다는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30%군에서는 $36.81{\pm}28.42CFU/ml$로 대조군보다는 높은 항균력을 보였지만 50%군과 티트리 원액 실험군보다는 낮은 항균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티트리 오일이 함유된 의치세정제는 의치상용레진에 물리적 기계적 변화 없이 우수한 항진균력을 보여 향후 천연성분인 티트리 오일이 함유된 의치세정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맛을 디자인하는 쇼콜라티에 쟈크 벨랑제(Jacques Bellanger)

  • 김명하
    • 베이커리
    • /
    • 6호통권455호
    • /
    • pp.146-149
    • /
    • 2006
  • 프랑스는 지방의 각 도시마다 지역을 대표하는 파티스리나 쇼콜라트리가 있어 굳이 파리에 가지 않고도 수준높은 제품을 맛볼 수 있다. 파리에서 고속열차 'TGV'를 타고 1시간 걸려 도착한 도시 '르망'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쇼콜라티에 쟈크 벨랑제(Jacques Bellanger)쉐프의 쇼콜라트리가 파리의 어느 유명 제과점 못지않게 르망 사람들의 눈과 입을 즐겁게 해주고 있다.

  • PDF

티트리 에센셜오일의 생물활성 및 주요 성분 분석 (Bio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 양선아;전상경;이은정;임남경;정지영;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644-1650
    • /
    • 2008
  • 티트리 에센셜 오일은 호주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피부 소독제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효과와 주요성분 등 많은 보고가 있으나 추출 방법이나 사용 부위 등에 따라 효능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 등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판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효능을 평가하여, 다른 에센셜 오일과의 비교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티트리 오일의 주요성분은 GC-MS 분석에 의하여 ${\beta}$-terpinene (20.87%), ${\alpha}$-pinene (17.60%), p-cymene (11.23%), 3-carene (10.40%), trans-anethole (8.47%), limonene (4.65%)으로 밝혀졌으며, 5% 이하의 농도에서 3시간 미만까지는 피부세포에 독성이 없었다. 오일의 라디컬 소거능을 알아본 결과, DPPH와 ABTS의 양라디컬에 대하여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어 강한 항산화능을 시사했다. 또한, 오일의 direct contact와 vapor-phase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법으로 스크리닝 한 결과, direct contact 활성의 경우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vapor는 S. aureus에 대하여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많이 사용되는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생물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허브 오일들의 정확한 선택과 활용을 위한 기본적인 결과를 얻었다.

기능성 샴푸첨가제 개발을 위한 티트리 오일 향의 뇌파 반응 (EEG response of tea tree oil fragranc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hampoo additives)

  • 김령;오민석;이용호;최성호;김인경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23-31
    • /
    • 2023
  • 본 연구는 기능성 샴푸첨가제 개발을 위한 티트리 오일 향의 뇌파 반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험 대상자의 경우 (1) 티트리 오일 향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좌뇌에서 측정된 알파파는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육체적 긴장과 스트레스 변화 결과에서는 측정 대상자의 모두 향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좌뇌 우뇌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다. 또한, (3) 정신적 산만과 스트레스 변화 결과에서도 측정 대상자 모두 향기 흡입 전보다 향 흡입 후에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티트리 향기 흡입 요법은 육체적 긴장과 스트레스 완화뿐만 아니라, 정신적 안정과 스트레스 완화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서, 티트리 오일을 포함하는 기능성 샴푸첨가제를 제조하고, 기능성 샴푸첨가제에 대하여 향 흡입 전후에 대하여 실험 대상자의 알파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 알파파의 강도 변화의 결과에서는 기능성 샴푸첨가제 향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우뇌 및 좌뇌에서 측정된 알파파는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육체적 긴장과 스트레스 변화 결과에서는 측정 대상자의 모두 향 흡입 전보다 흡입 후에 좌뇌 우뇌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기능성 샴푸첨가제의 요법은 육체적 긴장과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6) 정신적 산만과 스트레스 변화 결과에서도 측정 대상자 모두 향기 흡입 전보다 향 흡입 후에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티트리 오일을 포함한 기능성 샴푸첨가제의 사용은 육체적 긴장과 스트레스 완화뿐만 아니라, 정신적 안정과 스트레스 완화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능성 샴푸첨가제를 이용한 두피 진정효과가 나타난 사실도 관찰되었다.

실시간 모델 체커를 이용한 폴리 트리의 체계적 검증 (Systematic Evaluation of Fault Trees Using Real-Time Model Checker)

  • 지은경;차성덕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18
    • /
    • 2001
  • 폴트 트리 분석(Fault Tree Analysis)은 시스템의 안전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쓰이고 있으나, 보통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체계적인 구성 방법 없는 실정이어서 부정확할 수 있는 약점을 가진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모델 체팅(Model Checking) 방법을 이용하여 폴트 트리를 좀 더 정확하게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폴트 트리를 정확히 고치기 위해서, 먼저 폴트 트리의 노드에 대해서 공식을 만들고, 이 공식을 실시간 모델 체커 UPPAAL을 이용해 검증한다. 그리고 나서, 검증 결과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얻어진 정보를 이용해 폴트 트리에 반영하게 된다.

티트리 (Melaleuca alternifolia) 추출물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Effects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Extracts)

  • 지근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02-108
    • /
    • 2019
  • 티트리 (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는 terpineol-4, cineol, cymene, sesquiterpenes 등을 함유하여 살균 효과와 피부 보습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여드름 염증 완화, 비듬 치료, 통증 완화, 우울증 해소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티트리를 유기용매 (Methanol,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및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여 물질을 추출하였으며, 각 추출액에서 나타나는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 검증은 9종의 병원성 미생물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coccus faecalis,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aeruginosa, Vibrio parahaemolyticus)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항균 활성 검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isc diffusion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항균활성 검증을 통하여 ethyl acetate 분획추출물과 methanol 분획추출물에서 V. parahemolyticus와,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던 V. parahaemolyticus를 대상으로 각 분획추출물 및 열수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으며, 10 m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9.9 % 이상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항진균활성의 경우, 균종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진균류에 대한 약 45시간 이상의 보존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티트리 열수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항균제 및 항진균제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블렌딩 에센션오일의 항균효과 증진 (Improved Antibacterial Effect of Blending Essential Oils)

  • 권필승;김대중;박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6-262
    • /
    • 2017
  •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인 에센셜 오일은 인체에 약리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농성 질환과 병독성 질환 비뇨기계통 감염에 나올 수 있는 병원성 세균 Staphylococcus aureus (그람양성알균), Escherichia coli (그람음성막대균), Pseudomonas aeruginosa (그람음성막대균, 극성단모균)을 대상으로 천연 허브 오일 중에 비교적 많이 알려져 있는 라벤더(lavender), 티트리(tea tree), 로즈마리(rosemary), 멜리사(melisa) 4종류의 단일 오일과 비교해, 티트리와 로즈마리, 멜리사를 블렌딩하였을 때 항균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과 디스크 확산법에서 블렌딩 오일(티트리, 로즈마리, 멜리사)의 경우 단독의 허브오일보다 S. aureus에서18 mm, E. coli 에서 22 mm 와 P. aeruginosa는13 mm의 우수한 항균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블렌딩 오일의 경우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분석에서 S. aureus, E. coli 에서는 0.3125%에서, P. aeruginosa는 1.25%에서 성장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블렌딩 오일이 Oxacillin과 로즈마리, 티트리보다 항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증명되어 단독의 허브오일보다 블렌딩 오일이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허브의 블렌딩을 활용하면 다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천연보존제와 건강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에 활용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트리구조 기반 GP 연산자의 구현 및 다양성 분석 (Implementation and Diversity Analysis of Tree Structure based Genetic Operators in GP)

  • 방철혁;서기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4-298
    • /
    • 2008
  • 이메본 논문은 GP 트리의 노드포화도를 제어함으로써 트리의 구조공간에서 효율적인 개체 분포를 유도하는 GP 진화연산자를 제안한다. 특정 영역으로의 트리 개체의 분포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군집내의 개체 다양성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제안된 진화연산자를 회귀다항식, 멀티플렉서, 짝수 패리티의 3가지 벤치마크 문제에 대해서 실험을 하였고, 표준 GP 연산자와 비교하였다.

  • PDF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티트리의 항균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tea tree on Streptococcus mutans)

  • 최유리;강민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13-620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Streptococcus mutans of tea tree ingredient.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each given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30 or 50 vol%) of tea tree prepared in saline solution. The control group applied only saline solution. The tea tree coating of the specimen were examin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the antibacterial activity test of the tea tree, the contact angle of the tea tree- coated specimen's surface was analyzed. The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was determined by counting the colony forming units (CFU). The statical statics were evaluated by using one-way ANOVA and paired t-test. Results: The tea tree treated group of hydrophilic more than non treated group. Antibacterial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ee tree solution was effective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ending solution concentration groups. Conclusion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tea tree containing solution showed its potential for use as coating for denture and medical materials.

시나리오 기반의 기능적 행위 모델링을 위한 계층구조의 객체지향 페트리 넷

  • 홍장의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2-49
    • /
    • 2001
  • 객체지향 기법에 의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일반화되면서 소프트웨어 모델링에 시나리오의 개념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나리오 모델링을 위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주어지는 요구사항의 불충분성, 모순성, 추상화 수준의 차이 등과 같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계층구조의 객체지향 페트리 넷(HOONet)은 점진적인 시나리오 모델링과 이들의 분석 방법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