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허권 강화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Intellectural Property Rights and Innovation: Evidence from EPO Patenting Data (특허권강화는 기술혁신에 대한 유효한 인센티브인가? EPO 특허자료를 중심으로)

  • Seo, Hwan-Joo;Ahn, Jung-Hwa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2 no.3
    • /
    • pp.49-71
    • /
    • 2004
  • Using panel dat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s of the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on innovative activity.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IPRs alone do not play a significant role. Second, the effect of IPRs is strong and significant only when it is interacted with complementary environments for innov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IPRs play a significant role only via a specific channel of interaction such as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trade openness. Thir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is not identical across countries implying that some countries were positively affected while others were negatively affected. Those countries are identified as well.

  • PDF

Disputes over IPR between Korea & US and Korea's policy response (한.미 지적재산권 분쟁과 대응방향)

  • Song, Ha-Seong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2 no.1
    • /
    • pp.129-148
    • /
    • 2000
  • 지적재산권은 기술개발의욕 자극을 위해 새로이 물건이나 사상 등의 창작자에게 일종의 배타적 독점권을 부여한 것으로서 1980년대 이후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하였는데, 두 차례의 석유파동 이후 기술이 국제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등장하던 시기에 한국을 비롯한 개도국들이 선진국의 기술을 모방하여 첨단기술제품 분야에서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자 자신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선진국들이 자신들의 통상교섭력을 바탕으로 GATT/UR 등 국제적 협상을 통해 지적재산권 보호문제를 통상문제로 확대시킨 것이다. 이러한 지적재산권에 대한 통상문제와 관련하여 가장 문제가 되는 국가는 역시 미국인데, 미국은 통상법 301조 중 지적재산권 보호에 적용되는 Special 301조를 이용하여 지적재산권 보호에 대한 실효성을 확보하였으며, 당초 제품수입상의 불공정거래행위에 적용하던 관세법 337조를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수입 판매행위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개정함으로써 그 보호수단을 더욱 강화하였는데, 이에 따라 우리도 적절한 대응방안의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우선 정부의 입장에서는 대내적으로 원천기술 및 개량기술 개발을 통한 기술의 해외의존도 축소, 인센티브 도입 등 직무발명제도 활성화, 해외특허권 취득확대를 위한 중소기업의 해외출원비용 지원, 심사관의 전문화롤 통한 심사의 처리속도 및 질 향상, 특허기술정보 이용체제 개선을 위한 특허청의 정보전산화 및 산업기술정보원 톡허정보센타와의 유기적인 협조체제 구축, 기업의 특허분쟁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전담부서 마련 및 국제특허분쟁 전문변리사 양성 등의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PLT협약 등 차후에 있을 국제협약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우리나라의 이익도모, 남북 가교역할의 강화 및 한 미 양국간의 법제적 차이에 대한 오해불식, 해당 산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로비 활동의 활성화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는 사전적으로 과감한 연구개발투자를 통한 산업재산권 확보, 기술 법률 언어능력을 고루 갖춘 특허전문가의 확보, 국제특허분쟁에 대한 대응체계 구축, 특허권 분쟁발생 방지를 위한 책임소재의 명확화 등의 근본적인 대책과 국제특허분쟁 차단을 위한 철저한 선행기술 조사, 해외기술의 개량 및 이용 촉진을 위한 크로스-라이센스의 활성화, 부실특허권에 대한 적극적인 무효심판청구, 제소정보에 대한 조기 입수, 설계변경이나 특허무효자료조사 등 침해회피 방법의 준비, 위험특허에 대한 철저한 예비조사 등의 부수적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일단 특허분쟁이 발생한 경우에는 당해 분쟁의 자사 생산 제품과의 관련여부 검토, 사건에 필요한 광범위한 정보 수집을 위한 전담팀 구성, 제소인의 특허권에 대한 면밀한 법률적 검토, 제소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파악 및 최종 대응방안에 대한 신속한 결정, 자사의 특허를 이용한 제소자에 대한 역제소 등의 대응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PDF

Infringement status of overse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required strategy (해외지식재산권 침해 현황과 그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Yoon, Byung-Seop;Han, Jung-He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5-43
    • /
    • 2007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trategy against technology protectionism of advanced countries focusing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policy of KIPO and infringement of overse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the notion that a policy performed without a long-term plan will not lead to industrial growth in the long run. The number of dispute case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Japan ranks first with 275 cases compared to that of other countries. Among the dispute case, the number of validation trial is 107 cases(38.9%), and correction trial is 83 cases(30.2%). The USA ranks second in disput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mong the disput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USA, the number of validation trial is 66 cases(64.7%), and correction trial is 21 cases(20.6%). A strategy against technology protectionism of advanced countries is as follows. A strategy is required to cope with infringement of overse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Korean government has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overse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tection center, strengthen boundary restriction of infringement goods, promote international dispute study, train international dispute specialist, solve jurisdiction problem of patent court system, improve trial system, construct confidence as social capital etc. Enterprises have to maintain No Patent No Future policy, specialize on application and countermeasure against infringement dispute, participate for formation and standardization of Patent Pool, strive for specialization regarding technical transfer and license management.

  • PDF

Changes in IPR Systems and Related Issues (환경변화와 지적재산권 제도를 둘러싼 주요 이슈)

  • Kim, M.S.;Yoon, H.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8 no.6 s.84
    • /
    • pp.68-74
    • /
    • 2003
  • 본 고는 2003년 8월 28~29일 프랑스 파리에서 진행된 “OECD Conference on IPR,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의 발표자료를 중심으로 그 주요 내용을 요약, 보강한 글로서, 날로 급변하는 기술변화 환경과 이에 따른 지적재산권 제도의 위상변화 및 최근 20년간 미국을 중심으로 전개된 특허권강화정책(pro-Patent policy)을 둘러싼 찬반양론의 관점에서 지적재산권의 주요 현안사항과 그 논쟁점을 살펴본다.

The Role of Patent Utilization for Technology Innovation and Legal Improvement (기술혁신에 있어서 특허활용의 역할 및 법제도적 개선방안)

  • Shim, Mi Rang;Jang, Tae Mi;Ryu, Kye Hwa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3
    • /
    • pp.809-838
    • /
    • 2013
  • Innovation is the development of new customers value through solutions that meet new needs, inarticulate needs, or old customer and market needs in value adding new ways.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more effective products, processes, services, technologies, or ideas that are readily available to markets, governments, and society. Innovation differs from invention in that innovation refers to the use of a better and, as a result, novel idea or method, whereas invention refers more directly to the creation of the idea or method itself.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patents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three aspects (cre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in the patent system for getting to actual innov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patent use, the rates of the applied patents to a real industrial process and the bargain and license of patent rights should be promoted. For promo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substantially, there is necessary to escape from dichotomy of weakening or enhancing patent protection in the discussion on the changes of patent system for "Adequate patent guarantees". Furthermor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enable the use of patent should be discussed together. Recently, open innovation is a new paradigm that assumes that firms can and should use external ideas as well as internal ideas, and internal and external paths to market, as the firms look to advance their technology" or "Innovating with partners by sharing risk and sharing reward." The boundaries between a firm and its environment have become more permeable; innovations can easily transfer inward and outward. The central idea behind open innovation is that in a world of widely distributed knowledge, companies cannot afford to rely entirely on their own research, but should instead buy or license processes or inventions (i.e. patents) from other companies. In addition, internal inventions not being used in a firm's business should be taken outside the company. In the era of open innovation, more flexible patent use strategy is essential. It is important that improvements for the legal system in order that patented technology can be applied for products and processes in a real industrial between outside and inside of the firms.

  • PDF

Spillover Effects of Patents and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Productivity and Innovation: Intra- and Inter-industry Spillovers of IT Industry (특허권 강화와 특허출원 변화의 기술혁신 및 생산성 파급효과: 산업내 및 IT산업의 산업간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 Kim, Jeong-Eon;Kang, Sung-Ji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5 no.1
    • /
    • pp.145-173
    • /
    • 2007
  • Using patent and firm-level panel data for 1982-2001, this study investigates spillover effects of patents and the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Productivity and Innovation. As well as we consider the effect of intra-industry spillovers, we extend the effect to inter-industry spillovers which implies the effects of IT industries on non-IT industries.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owing for firm-level variables, market competition and technological spillovers, the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oes not play a significant role on innovative activities. Second, while innovative activities of domestic firms affect significantly firms' innovative activities, those of foreign firms do not. Third, innovative activities of IT industries as inter-industry spillovers play a significant role on innovative activities and labor productivities of domestic firms.

  • PDF

발명하는 사람들-제60호

  • Han, Mi-Yeong
    • The Inventors News
    • /
    • no.60
    • /
    • pp.1-16
    • /
    • 2007
  • 지식강국 코리아 여성발명인이 이끈다/7월부터 소액수의계약변경/발행인 칼럼/협회창립 14주년 축시/특허권자 입장 강화된 특허법 시행/KIWIE 앰블럼 의미/협회 창립 14주년 축사/협회 창립 14주년 및 협회지 차간 5주년 축하 메시지/한국여성발명협회로 인해 여성발명 비약적 발전/역사 속의 발명품/하루 10분 발명교실/특허Q&A/창간5주년 특집-한국여성발명협회 전신 한국여성발명가협회 창립멤버 6인/둘리 등 토종 캐릭터 상표권 외국산 비해 상표 등록 저조/새로운 디자인제도 이달부터 시행/하수도 미생물연료전지 국내 특허 선진국 압도/아이디어 착상 및 발명 기법/여성발명 활성화 전진기지로 대학을 적극 활용하자/플레밍의 페니실린/지난해 20대 발명가 비중 감소/<환희> 행복한 여성발명가 15인의 인생과 발명이야기/6월 협회소식

  • PDF

Analysis on the Establishment Trend of ITU Copyright Policy (ITU의 저작권정책 수립 동향분석)

  • Lee, S.M.;Park, K.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5 no.5 s.65
    • /
    • pp.103-114
    • /
    • 2000
  • 근래에는 특히 정보통신 분야와 관련된 표준화 활동이 강화되고 있고, 여기에 표준화와 상충되는 성격을 갖고 있는 지적재산권과의 조화 문제가 하나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표준화기구들은 표준화와 지적재산권의 조화를 위하여 지적재산권정책을 마련해 두고 있다. 이러한 지적재산권정책의 한 부문으로서 본 논문은 ITU의 저작권정책 수립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ITU 저작권정책 수립의 동기가 된 것은 매우 특정적인 기술 분야의 사건으로 말미암은 것으로서 ITU의 표준기술문서인 권고안에 컴퓨터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공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따른 것이다. 이에 대하여 특허권과 저작권의 근본적인 특성 차이로 인한 논란 가운데에서도 현재는 ITU의 특허정책의 기조에 맞춰진 독립적인 저작권정책을 수립하는 활동을 진행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저작권정책의 수립을 놓고 논의되었던 여러 가지 의견들을 종합.분석함으로써 특허정책과는 다른 저작권정책이 갖는 특수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결과적으로 현재 작성되어 계속 검토되고 있는 저작권정책 초안의 내용을 분석하여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