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징점 검출

Search Result 52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detection of the feature point in the real-time image system used by BLoG (실시간 이미지 시스템을 위한 BLoG 기반의 특징점 검출)

  • Park, Yi-Keun;Kim, Jong-Min;Lee, Woong-Ki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0 no.4
    • /
    • pp.625-632
    • /
    • 2009
  • In these days mobile handsets have come to be used at almost every use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mobile devices and networks have made this trend possible. As a great variety of mobile applications are published, the necessity of running large-scale mobile applications becomes greater than before. To accomplish this, the existing researchers have developed mobile cluster computing libraries like Mobile-JPVM.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compute-intensive Animated GIF generating application and its cell phone viewer software using Mobile-JPVM library. We find out by the real execution of our softwares on the KTF handsets that they can sufficiently run on cellular phones. Our Animated GIF generator and its viewer are going to be commercially used for the mobile fashion advertisement systems.

  • PDF

A study high speed remote sensing image registration using deep learning-based keypoints filtering (딥러닝 기반 특징점 필터링을 이용한 원격 탐사 영상 정합 고속화 연구)

  • Lee, Wooju;Sim, Donggyu;Oh, Se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97-9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특징점 필터링 방법을 이용한 원격 탐사 영상에 대한 영상 정합 (Image Registration) 고속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특징 기반 영상 정합 방법의 복잡도는 특징 매칭 (Feature Matching) 단계에서 발생한다. 이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특징 매칭이 영상의 인공구조물에서 검출된 특징점으로 매칭되는 것을 확인하여 특징점 검출기에서 검출된 특징점 중에서 인공구조물에서 검출된 특징점만 필터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딥러닝 기반 특징점 필터링은 영상 정합을 위하여 필수적인 특징점을 잃지 않으면서 그 수를 줄이기 위하여 인공구조물의 경계와 인접한 특징점을 보존하고, 축소한 영상을 사용하며, 영상 분할(Image Segmentation) 방법의 결과에서 생기는 영상 패치 경계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영상 패치를 중복하여 잘라 냄으로써 정합 속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영상 정합 고속화 방법을 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아리랑 3 호 위성 원격 탐사 영상을 사용하여 기존 특징점 추출 방법과 속도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딥러닝 기반 영상 정합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을 때 특징점의 수를 약 82% 감소시키면서 속도를 약 9.17 배 향상시켰지만 정확도가 0.985 에서 0.855 으로 저하되었다.

  • PDF

Kidney's feature point extraction based on edge detection using SIFT algorithm in ultrasound image (Edge detection 기반의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한 kidney 특징점 검출 방법)

  • Kim, Sung-Jung;Yoo, JaeCher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89-9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ultrasound image Right Parasagittal Liver에 edge detection을 적용한 후, 특징점 검출 알고리즘인 Scale Invarient Feature Transfom(SIFT)를 이용하여 특징점의 위치를 살펴보도록 한다. edge detection 알고리즘으로는 Canny edge detection과 Prewitt edge detection을 적용하기로 한다.

  • PDF

Real Time Face Tracking Method based Random Regression Forest using Mean Shift (평균이동 기법을 이용한 랜덤포레스트 기반 실시간 얼굴 특징점 추적)

  • Zhang, Xingjie;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89-9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평균이동 (mean shift) 기법을 이용하여 랜덤포레스트 (random forest) 기반 실시간 얼굴 특징점 추적 (facial features tracking)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눈의 위치를 이용하여 검출된 얼굴영역을 적절한 크기와 위치로 개선하여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얼굴 특징점 추적 알고리즘이 받는, 얼굴검출 (face detection) 과정에 얻어지는 얼굴영역 상자 (face bounding box) 크기와 위치의 영향을 감소 하였다. 또한 랜덤포레스트의 얼굴 특징점 추정결과에서 추정평균 대신 평균이동기법을 이용하여 잘못된 추정결과들을 제거하고 제대로 된 추정결과만 사용하여 얼굴 특징점 검출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들을 이용하여 기존의 랜덤포레스트 기반 얼굴 특징점 검출 기법의 성능을 제고하고 실시간으로 얼굴 특징점을 추적할 수 있다.

  • PDF

An Improved Hough Transform Using Valid Features (유효 특징점을 이용한 개선된 허프변환)

  • Oh, Jeong-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9
    • /
    • pp.2203-2208
    • /
    • 2014
  • The Hough transform (HT), that is a typical algorithm for detecting lines in images, needs considerable computational costs and easily detects pseudo-lines on the real world images,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features generated by their complex background or noise.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HT that add a preprocessing to estimate the validity of features to the conventional HT. The feature estimation can remove a lot of inessential features for the line detection using a pattern of $3{\times}3$ block features. Experiments using various image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aves computational costs by removing 14%~58% of features depending on images and besides it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HT in valid line detection.

DB-based Feature Point Matching for Accurate and Efficient Obstacle Recognition in AR Environment (AR환경에서 정확하고 효율적인 장애물 인지를 위한 DB기반의 특징점 매칭)

  • Park, Jungwoo;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77-38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반 AR 환경에서 RGB카메라로부터 얻은 영상 분석과 DB 기반의 특징점(Feature point) 매칭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위험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기반의 다중 평면 방식을 이용한 특징점을 추출하고 분석하여 영상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한다. RGB카메라로 얻은 영상을 기반으로 장애물을 검출하는 접근법은 영상에 의존하기 때문에 조명에 따른 특징점 검출이 부정확하고, 조명이나 자연광 또는 날씨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어둡거나 흐린 날씨에서는 장애물 검출이 어려워진다.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DB기반의 특징점 매칭을 통해 조명에 관계없이 장애물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감지한다. 특징점 매칭을 이용하려면 우선 영상에서 특징점이 안정적으로 추출될 수 있는 환경인, 조명이나 자연광이 충분한 환경에서 감지된 장애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조명이 충분하지 않은 환경에서 사용자가 사전에 저장된 지역에 근접할 경우 특징점 분석이 아닌 DB 기반 특징점 매칭을 통해 위험 요소를 감지한다. 우리의 방법은 조명의 여부의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위험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Fingerprint Matching Using Classify of Minutiae (특징점의 분류를 이용한 지문 정합방법)

  • Kim, Jae-Il;Yang, Ju-Cheng;Park, Dong-S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b
    • /
    • pp.548-55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지문 인식을 하는데 있어서 특징점의 정보를 이용하여 지문을 정합하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지문에는 중심점(core point), 삼각주(delta point), 분기점(bifurcation), 단점(ending point)들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먼저 poincare index를 이용하여 중심점을 검출한다. 검출된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관심영역(ROI : region of interest)을 결정하여 영역내의 특징점들을 검출하여, 각 각 특징별로 분류한 다음 중심점과 특징점들과의 관계를 계산하여 지문 정합에 이용한다. 입력 받은 지문은 개개인 각각 양손 모두 10개의 손가락에서 센서의 누르기 압력을 다르게 하여 2번 입력 받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의 특징점 기반 알고리즘 보다 더 적은 영역에서 좀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문 정합을 보여줌을 확인 하였다.

  • PDF

Study of High Speed Image Registration using BLOG (BLOG를 이용한 고속 이미지 정합에 관한 연구)

  • Kim, Jong-Min;Kang, Myung-A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11
    • /
    • pp.2478-2484
    • /
    • 2010
  • In this paper, real-time detection methods for Panorama system Key-Points offers. A recent study in PANORAMA system real-time area navigation or DVR to apply such research has recently been actively. The detection of the Key-Poin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hat make up a Panorama system. Not affected by contrast, scale, Orientation must be detected Key-Point. Existing research methods are difficult to use in real-time Because it takes a lot of computation tim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 BLOG(BitRate Laplacian Of Gaussian)method for faster time Key-Point Detecting an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o detect the Speed, Computation, detection performance is compared against.

Abnormal Crowd Behavior Detection using a Modified Feature Map (특징점 맵 보정을 통한 군중 이상행동패턴 인식 방법)

  • Jung, Sung-Uk;Jee, Hy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2-253
    • /
    • 2015
  • 군중의 이상행동을 검출하는 것은 군중 모니터링, 보안 및 CRM 시스템의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방법은 대다수가 옵티컬플로우를 기반으로한 검출방법으로 객체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객체로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많은 데이터량을 처리하기 때문에 실시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 맵 보정과 분포분석을 통한 군중의 밀집과 대피하는 현상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군중에서 옵티컬플로우 기반으로 움직이는 FAST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의 분포에따라 특징점맵을 복원한다. 복원된 특징점 맵과 특징점의 분포에 기반하여 군중의 이상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PETS2009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결과를 측정하였다.

  • PDF

Image Scale Prediction Using Key-point Clusters on Multi-scale Image Space (다중 스케일 영상 공간에서 특징점 클러스터를 이용한 영상스케일 예측)

  • Ryu, kwon-Yea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9 no.1
    • /
    • pp.1-6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to eliminate repetitive processes for key-point detection on multi-scale image space. The proposed method detects key-points from the original image, and select a good key-points using the cluster filters, and create the key-point clusters. And it select reference objects by using direction angles of the key-point clusters, predict the scale of the original image by using the distributed distance ratio. It transform the scale of the reference image, and apply the detection of key-points to the transformed reference image. I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proposed method can be found to improve the key-points detection time by 75 % and 71 % compared to SIFT method and scaled ORB method using the multi-scale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