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이길이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8초

생쥐 부정소 부위별 당쇄 분포의 차이 (Regional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Glycoconjugates in Mouse Epididymis)

  • 계명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67-173
    • /
    • 2001
  • Ulex europaeus agglutinin I(UEA I), succinylated wheat germ agglutinin(sWGA), Griffonia simplicifolia lectin-I(GSL-I)을 이용하여 생쥐 부정소 조직내 당쇄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당쇄의 측쇄 말단의 $\alpha$-L-fucos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UEA I은 체부 및 미부 부정소를 제외한 두부 부정소 선단의 세정관 상피를 강하게 표지하였으나 관강은 중간 정도의 강도로 모두 표지되어 $\alpha$-L-fucose 잔기를 갖는 부정소 항원들은 부정소 선단부에서 주로 합성된 후 분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반대로 당쇄 말단의 $\alpha$-D-galactos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GSL-I은 두부 부정소를 제외한 체부와 미부 부정소 상피의 투명세포의 세포질과 섬모 및 기저세포를 표지하였다. 다당 사슬 및 복잡한 구조를 갖는 glycan의 당쇄의 N-acetyl-giucosamin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sWCA는 부정소 부위별로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부와 미부 부정소의 투명세포는 주세포에 비해 더 강하게 표지되어 sWGA 표지는 투명세포 기능분화의 표식자로 추측된다. UEA I 및 sWGA에 의한 관강의 표지 강도는 체부보다는 미부에서 약하게 관찰되어 미부 부정소 관강내에 $\alpha$-L-fucose 및 N-acetyl-glucosamine 잔기의 절단과 관련된 효소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요약하면 $\alpha$-L-fucose, $\alpha$-D-galactose, N-acetyl-glucosamine 잔기를 갖는 당쇄의 분포가 상피세포의 종류 및 부정소의 길이를 따라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자의 성숙을 조절하는 부정소 각 절편 및 특정 절편 내 소관상피 세포의 기능적 분화를 대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olanum acaule 색소체 유전자형 선발을 위한 특이적 분자마커 개발 (PCR-based markers to select plastid genotypes of Solanum acaule)

  • 박태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178-186
    • /
    • 2022
  • 볼리비아 유래의 4배체 감자 야생종 중 하나인 Solanum acaule는 서리, 감자역병, 감자바이러스X, 감자바이러스Y, 감자잎말림바이러스, 감자걀쭉병, 선충 등에 대한 저항성과 같이 감자의 신품종 육성에 매우 유용한 형질들을 가지고 있어 감자 육종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용 형질들을 재배종 감자에 전통적인 교잡에 의해 도입하는 것은 야생종과 재배종 간의 서로 다른 EBN에 따라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생리적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체세포융합을 이용할 수 있는데, 육종에 활용할 적절한 체세포융합체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분자마커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차세대 유전체 기술에 의해 완성되어 보고된 S. acaule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이를 다른 8개의 Solanum 종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 정보와 비교를 통해 S. acaule 특이적인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S. acaule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 총 길이는 155,570 bp였으며, 총 158개의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체적인 구조와 유전자의 구성은 다른 Solanum 종들과 매우 유사하였고 12종의 다른 가지과에 속해 있는 종과의 계통수 분석에서 다른 Solanum 종과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S. acaule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와 다른 7개 Solanum 종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 다중 정렬의 결과로 각각 4개와 79개의 S. acaule 특이적인 InDel 및 SNP 영역이 확인되었으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 1개씩의 InDel 및 SNP 영역 유래의 PCR 기반의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 acaule의 진화적 측면에서의 연구와 S. acaule를 이용한 감자품종 육성 연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감자 근연야생종 Solanum cardiophyllum의 엽록체 전장유전체 구명 및 이를 이용한 S. cardiophyllum 특이적 분자마커의 개발 (Chloroplast genome sequence and PCR-based markers for S. cardiophyllum)

  • 박태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45-55
    • /
    • 2023
  • 멕시코 유래의 2배체 감자 근연야생종 Solanum cardiophyllum은 감자역병, 감자바이러스Y, 콜로라도감자잎벌레 등과 같은 병원균 및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감자의 신품종 육성에 이용되고 있다. 재배종 감자에 이러한 형질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교잡육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재배종 감자와 근연야생종과의 서로 다른 EBN에 따라 제한적이며, S. tuberosum과 S. cardiophyllum 간에도 생리적 불화합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생리적 장벽의 극복을 위해 체세포융합에 의한 체세포잡종 계통을 육성하고 이를 감자 신품종 육성에 활용할 수 있는데, 분자 마커는 적절한 체세포잡종 계통 선발에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 cardiophyllum의 전체 엽록체 유전체 정보를 구명하고 8개의 다른 Solanum 종의 전체 엽록체 유전체 정보와 비교하여 S. cardiophyllum 특이적인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S. cardiophyllum의 전체 엽록체 유전체의 길이는 155,570 bp였으며, 그 구조와 유전자 구성은 다른 Solanum 종들과 매우 유사하였고 가지과에 속해 다른 32개의 종들과의 계통수 분석을 통해 예상했던 바와 같이 다른 Solanum 종과 같은 그룹에 속해 있고 S. bulbocastanum과의 가장 근접한 유연관계를 확인하였다. S. cardiophyllum의 전체 엽록체 유전체와 8개 다른 Solanum 종의 전체 엽록체 유전체의 다중 정렬 결과로 총 13개의 S. cardiophyllum 특이적인 SNP 영역을 확인하였으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4개의 PCR 기반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 cardiophyllum의 진화적 측면에서의 연구와 S. cardiophyllum를 이용한 감자 신품종 육성을 위한 연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산형과 약용작물 종자의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in Medicinal Plants of Umbelliferae)

  • 이은일;고주호;최주호;이종기;김석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29-434
    • /
    • 1997
  • 산형과에 속하는 약용작물의 특성은 분열과로서 두 개의 종자가 형성되고 유관(油管)과 주병 혹은 동병이 현저하게 특이한 모양을 나타내고 있어서 산형과 작물분류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종자의 특성이 식물분류에 이용되고 있다. 종자의 형태는 장방형, 타원형 그리고 난형이며 종피색은 옅은 노란색에서부터 흑갈색까지 다양하다. 종자의 길이는 2∼7mm 그리고 폭이 2∼5mm이다. 이 중에서 가장 작은 종자인 시호는 그 천립중이 1.7g이고 가장 큰 종자인 당귀는 3.9g이다.

  • PDF

直交 異方性 無限平版 內部의 圓孔周圍 龜裂 解析 (Analysis of cracks emanating from a circular hole in an orthotropic infinite plate)

  • 정성균;홍창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895-903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참고문헌 (16)과 (17)에서 등방성과 이방성에 각각 처음으로 제시한 수정 사상 선점법(modified mapping-collocation method)을 이용해서 직교 이 방성 무한 평판 내부의 원공 주위 균열 문제에 대한 혼합모우드 응력 강도 계수를 구 하고자 한다. 본 문제는 기하학적으로 복잡하고 재료의 이방성이 강하기 때문에 해 가 아직 보고되어 있지 않다. 먼저 이론적 해석을 전개함으로써 규열 면에서의 무부 하 조건과 무한점에서의 경계 조건을 완전하게 만족시킨다. 그 후 나머지 원공 경계 에 최소 자승 선점 과정(least square collocation procedure)을 적용하여 근사해를 얻게 된다. 균열 선단 응력 특이성에 미치는 원공 경계 및 이방성의 효과를 알아보 기 위해서 여러가지 형태의 적층판에 대한 응력 강도 계수를 무차원화된 균열 길이의 함수로 나타내 보았다.

Stictodoyu sp. (Trematoda; Heterophyidae)의 인체기생 1례 (Stictodora sp. (Trematoda: Heterophyidae) Recovered from a Man in Korea)

  • 채종일;홍성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127-132
    • /
    • 1988
  • 이형흡충류의 하나인 Stictodora속 흡충 2마리가 구충제 및 하제를 투여한 24세 남자환자의 설 사변에서 검출되었다. 총체는 길이 0.90∼0.98 mm, 폭 0.38 mm로 소형이며 특이한 복흡반-생식만(ventrogenital) 장치가 있고 생식공과 별개인 gonotyl(12∼15개의 미소한 갈고리 보유)을 가지고 있었다. 충체는 형태학적으로 Stictodora fuscatum(Onji and Nishio, 1916)과 매우 비슷하였으나 다수의 충체를 획득할 때까지 확정적인 종 동정은 보류하였다. 환자는 숭어, 농어 등 반염수산 어류를 즐겨 생식한다고 하였다. 이들이 Stirtodora sp.는 물론 따로 보고한 3종류 이형홉충의 감염원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중례는 문헌상 Stictodora속 홉충의 최초 인체기생례에 해당된다.

  • PDF

A New Method of Synchronous Distraction Osteogenesis of the Maxilla and Mandible

  • 정필훈;강영호;서병무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16
    • /
    • 2002
  • 편측 왜소증의 얼굴을 상하악과 하악 모두 신장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하악을 신장하여 상악도 신장시키는 방법을 최근 소개한 바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오히려 상악을 신장시킬 때 하악도 같이 신장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두 명의 편측안면 왜소증 환자에서 양악 동시에 골 신장술을 시행하였다. Ortiz Monasterio의 방법과 달리 상악은 구내 르포트씨 제일 골절단술을 시행하였고, 하악은 구내 시상분할 골 절단술을 이용하여 골신장시 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이려 하였다. 편방향 구내 골 신장기와 스플린트를 이용하여 양악 골신장술을 시행하였다. 5일의 잠재기 후 매일 1mm의 골신장을 시행하였고 6주에서 8주간의 경화기를 둔 후, 골 신장기와 스플린트를 제거하였다. 골신장 길이는 각각 13mm와 15mm이었고, 특이할 만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상악신장을 바탕으로 양악을 신장시키는 새로운 술식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춘천 지역의 변성 퇴적암류에서 산출되는 석회 규산염 광물의 결정 화학과 생성: (II) 리트벨트법에 의한 투각섬석의 결정 화학 (Crystal Chemistry and Paragenesis of Calc-silicate Minerals from Meta-sedimentary Rocks in Chuncheon Area: (II) Crystal Chemistry and Tremolites by Rietveld Structural Refinement)

  • 최진범;노진환;조현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3-85
    • /
    • 1995
  • 춘천 지역 구봉산층군 내에서 산출되는 백색 및 흑회색 투감섬석에 대하여 전자현미분석과 리트벨트법에 의하여 결정화학적 특징이 연구되었다. 화학 조성상 백색 투감섬석 (WHT)은 흑회색형 (BLT)에 비하여 Al과 Na의 양은 많고, Mg와 Ca의 양은 적은 차이를 보여준다. 단위포의 크기에 있어 b축의 길이는 WHT가 BLT보다 약 0.013$\AA$ 크다. 이는 후자의 M(4) 자리에 보다 많은 Na와 Mg가 치환된 결과로서 계사된 $\AA$로 잘 일치하고 있다. 자리 점유율에 있어 BLT의 경우 모든 Al이 T(2)에 채워지며, WHT에서는 T(1), T(2)에 각각 0.138, 0.181씩 Si를 치환하고 있다. M(1), M(2), 및 M(3)는 모두 Mg에 의해 채워지고 있으며, Ca가 채워지는 M(4)에는 BLT에서는 소량의 Mg가 들어 있다. (001) 방향으로 투각섬석의 구조를 작도해 보면, WHT에서는 사면체의 바닥면이 T(1) 안쪽으로 다소 기울어져 있으나, BLT에서는 T(1)과 T(2)가 서로 마주보며 기울어져 있는 특이한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조상의 차이점은 앞으로 보다 많은 투각섬석에 대한 구조적인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선형이론에 의한 Supercavitation 익렬의 유동해석 (The Flow Analysis of Supercavitating Cascade by Linear Theory)

  • 박이동;황윤
    • 태양에너지
    • /
    • 제16권2호
    • /
    • pp.79-86
    • /
    • 1996
  • Supercavitation이 발생하는 익주위의 유동을 선형이론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유동장에 용출과와를 분포시켜서 선형 적분방정식을 유도하고, 익의 영각과 cavitation 수의 변화에 따른 양력계수, 항력계수를 구하여 실험치와 비교하였다. 특이점법을 이용한 선형이론에 의하여 구한 계산치를 실험치와 비교한 결과 익의 영각이 작을 경우에는(${\alpha}<10^{\circ}$) 잘 일치하지만 영각이 클 경우(${\alpha}<10^{\circ}$)에는 오차가 크므로 선형이론에 의한 해석은 적합하지 않았다. 선형이론에 의한 해석에서 실험치와의 오차가 커지는 주요한 원인은 cavity의 모델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따라서 유한한 길이의 cavity가 발생하여도 교란속도는 무한한 후방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익렬의 전후에서 운동량이 보존되도록 후류를 모델화하여야 함을 알았다.

  • PDF

고려 인삼의 육종파 조직배양 (Breeding of Panax ginseng and Plant Tissue Culture)

  • 한창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13-18
    • /
    • 1976
  • 최근 20년동안에 인삼의 경작자와 재배면적이 급증, 거의 전역에 재배되고 있고 이 작물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한편 재배지역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인삼의 육종은 거의 도외시되어 왔고 품종의 분화가 전혀 안되어 있다. 기후, 토양 및 생물학적 조건등이 지역마다 다른데 단일 품종을 장려할때에 경작자들은 병충해를 위시해서 많은 재난의 위협하에 놓이게 된다. 한국과 같이 인삼이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나라에서는 벌써 형태 생태 생리적 품종의 분화가 있었어야 했고, 내병성, 특이성분 등에 관한 품종들이 다수 만들어 졌어야 했다. $\ulcorner$인삼은 다년생이고 육종에는 불편한 점이 많아 개량이 힘든다. 또 육종을 하기에는 시험기관의 제도적 애로도 많다$\lrcorner$등의 구실하에 육종을 소홀히 하기에는 재배지역이. 너무나 광범화되었다. 본문은 인삼의 품종을 단기간에 개량하는데 있어 (1) 현행의 고전 육종법을 이용하는 길과, (2) 조직배양에 의한 신 육종법을 쓰는 두 길이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