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수도서관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특수도서관과 정보관리의 문제

  • Jeong, Hyeon-Sik
    • KLA journal
    • /
    • v.10 no.9
    • /
    • pp.6-9
    • /
    • 1969
  • 이 글은 1969. 8. 27. 국방대학원 도서관에서 열린 제8회 전국특수도서관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입니다.

  • PDF

도서관탐방 - 삼성의학정보센터를 다녀와서

  • Park, Gyeong-A
    • KLA journal
    • /
    • v.45 no.6 s.349
    • /
    • pp.40-41
    • /
    • 2004
  • ‘도서관탐방’팀은 가급적 모든 관종의 도서관을 골고루 소개하려고 한다. 그런데 지난 1월 이 지면이 신설된 이후 아직 가보지 못한 관종이 특수도서관이었다. 병영도서관 또는 점자도서관은 언론 등에서도 자주 다루어지고 있어 우선 순위를 교도소도서관 또는 환자도서관에 두었는데 알고 보니 교도소도서관은 여러 여건상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웠다. 관종 구분을 하는 경우 병원(의학)도서관은 전문도서관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병원 입원 환자들에게도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에는 특수도서관의 목적을 조금이나마 수행하고 있는 곳이라 할 수 있다. 전문이용자용 ‘맞춤형 교육’ 제공에서 환자용 ‘병실이동문고’ 운영에 이르기까지 병원 모든 가족들의 정보 ‧ 문화 ‧ 복지의 종합센터 역할을 책임지고 있는 삼성의학정보센터를 이번에 다녀왔다.

  • PDF

A Study on Special Collection in the Case of University Libraries (특수장서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박온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5 no.1
    • /
    • pp.163-185
    • /
    • 2001
  • If you can not pinpoint the location of a desired item through union catalogs and online databases, the next best thing is to identify a special collection that is likely to have it. Many libraries have many items that are recorded only on their own premises as special collections. This paper describes the value of special collections as important information sources and the guides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and location of special collections. Women's collection development by KWIC is introduced as a case study of special collection building in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