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성에 근거한 모형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43초

Makeham분포에 의존한 신뢰성모형에 근거한 학습효과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learning effects based on the reliability model depending on Makeham distribution)

  • 김희철;신현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496-50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여 테스팅을 하는 시행에서 소프트웨어 운용자들이 소프트웨어 검사 도구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기법에 근거한 NHPP 소프트웨어 모형에 대하여 비교 연구 하였다. 수명분포는 Makeham 분포를 이용하고 유한고장 NHPP모형을 적용하였다. 소프트웨어 오류 탐색 방법은 미리 인지하지 못하지만 자동적으로 발견되는 에러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과 사전경험에 기초하여 에러를 관찰하기 위하여 테스팅 운용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요인인 학습효과의 영향에 대한 문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요인이 자동 에러 탐색요인보다 큰 경우가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모형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신뢰특성분석에서는 소프트웨어고장시간을 적용하고 모수추정 방법은 최우추정법을 적용하고 추세분석을 통하여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한 이후에 평균제곱오차와 $R^2$ (결정계수)를 적용하여 효율적인 모형을 선택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운영자들은 다양한 학습효과를 고려함으로서 소프트웨어 고장추세에 대한 기본지식을 파악하는데 하나의 지침으로 사용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지반변형률에 의한 매설관의 지진차 거동 해석 (Analysis of Buried Pipelines Using Ground Strain Input from Seismic Waves)

  • 김문겸;조우연;어준;이강원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15-26
    • /
    • 2000
  • 지진파 전파로 인한 매설관에 작용하는 지진하중은 지진특성 및 지반조건에 따른 지반변형률로부터 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계산된 지반변형률 모형은 지진 및 지반의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진특성 및 지반조선을 반영할 수 있는 수정된 지반변형률 모형을 제안하고 개발된 모형을 매설관로의 지진해석에 지진하중으로 적용하였다. 여기서, 지반변형률을 예측하기 위한 지진판 전파속도는 지반조건을 고려할 수 있도록 파 에너지분포에 근거한 분산곡선을 제안하여 산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지반변형률 산정방법에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예측한 지반변형률과 과거 지진으로 실측된 지반변형률을 비교하였다. 타당성이 입증된 지반변형률 모형을 매설관의 하중으로 적용하여 지진해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산결과는 범용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동해석 및 응답변위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지반 변형률 모형을 적용한 매설관 지진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지진 및 지반환경이 다른 다양한 관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지진 지반 및 관의 영향 인자에 대해 매개변수 해석에 실시되었으며, 이로써 본 연구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e-Learning컨텐츠의 특징이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신뢰, 관계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Contents on the Repurchase Intention mediated by Trust and Relationship Commitment)

  • 정인근;이명무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29-1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교육(e-Learning)에서 컨텐츠 정보특성, 인터페이스 특성, 브랜드인지도, 부가서비스 제공 여부, 강사의 능력, 기술인프라 정도, 놀이성, 지각위험 등이 전반적인 만족도, 신뢰, 몰입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세 가지로 나누어 기업의 사내교육대상자, 학원 등 사교육대상자 및 대학교육대상자 등의 사이버 교육의 피교육자 유형에 따라 어떠한 e-Learning의 특성이 전반적인 만족도, 신뢰, 몰입 및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수는 기존의 연구에 근거하되 e-Learning의 특성적 요인을 포함하여 선정하였다. 사이버 공간에서 구매행위에 관한 연구는 다수의 연구자들(Jarvenpaa 등, 1997; Eugene 등, 1995; Parasuraman 등 1996; Spiller 등, 1998; O'keefs 등, 1998, Li, 등, 1999; Donthu 등, 1999; Macintosh 등, 1997; Garbarino 등, 1999)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e-Loaming의 환경적 특성에서 종합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존의 인터넷 환경 하에서 행해진 인터넷 컨텐츠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기반으로 사이버 교육(e-Loaming)의 특성과 부합하는 변수들을 연구 모형에 포함하였으며, 또한 사이버 교육에서 새롭게 부각되는 요인들을 부가하여(이승희, 2001; 박광태 등, 2002; Bonk, 2002; Learning Decisions, 2001)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실증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 PDF

추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금강수계 최적 연계운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Optimal Joint Operation System for Geumgang)

  • 음형일;이은구;김영오;고익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2-276
    • /
    • 2004
  • 이수기와 같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저수지운영을 해야 하는 관리자는 해당 기간동안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전략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미래 유입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최적화 모형에 근거한 운영률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의 이수기를 대상으로 추계학적 최적화 기법인 표본 추계학적 동적계획법(Sampling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을 적용하여 최적 연계운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상용프로그램인 CSUDP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과거자료를 이용한 SSDP/Hist모형과 앙상블 유량예측(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을 이용한 SSDP/ESP모형을 개발하여 두 모형의 장${\cdot}$단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발전부분은 두 모형이 비슷하였으나 용수공급 측면에서는 SSDP/ESP가 SSDP/Hist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로그로지스틱 분포특성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최적 방출시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oftware Optimal Release Time Based on Log-Logistic Distribution)

  • 김희철;박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76-1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여 테스팅을 거친 후 사용자에게 인도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방출문제에 대하여 연구되었다. 인도시기에 관한 모형은 무한 고장수에 의존하는 비동질적인 포아송 과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포아송 과정은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제거하거나 수정 작업 중에도 새로운 결함이 발생될 가능성을 반영하는 모형이다. 강도함수는 로그-로지스틱 패턴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요구 신뢰도를 만족시키고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 총비용을 최소화 시키는 방출시간이 최적 소프트웨어 방출 정책이 된다.

  • PDF

중첩 분포특성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최적 방출시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oftware Optimal Release Time Based on Superposition Distribution)

  • 김희철;박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79-1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여 테스팅을 거친 후 사용자에게 인도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방출문제에 대하여 연구되었다. 인도시기에 관한 모형은 무한 고장수에 의존하는 비동질적인 포아송 과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포아송 과정은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제거하거나 수정 작업 중에도 새로운 결함이 발생될 가능성을 반영하는 모형이다. 강도함수는 중첩 패턴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요구 신뢰도를 만족시키고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 총비용을 최소화 시키는 방출시간이 최적 소프트웨어 방출 정책이 된다.

  • PDF

구획화재 열유동에 대한 축소법칙의 유효성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Validity of Scaling Law for the Heat and Fluid Flow of Compartment Fires)

  • 고권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59-1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환기 특성에 근거한 축소법칙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규모 및 2/5 축소 구획에 대한 화재를 FDS를 이용하여 모사하고 기존의 실험 결과 및 해석 결과 상호간에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규모 및 축소 모형에 대한 해석 결과를 비교할 때 구획 내부 유동 형태 등에 있어서 다소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화염의 분출 거동 및 열유동 분포 등의 거시적인 특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주식수익률, 위험, 장부가치 / 시장가치 비율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among Stock Return, Risk, and Book-to-Market Ratio)

  • 감형규;신용재
    • 산업융합연구
    • /
    • 제2권2호
    • /
    • pp.127-147
    • /
    • 2004
  • This paper examines the time-series relations among expected return, risk, and book-to-market(B/M) at the portfolio level. The time-series analysis is a natural alternative to cross-sectional regressions. An alternative feature of the time-series regressions is that they focus on changes in expected returns, not on average returns. Using the time-series analysis, we can directly test whether the three-factor model explains time-varying expected returns better than the characteristic-based model. These results should help distinguish between the risk and mispricing stories. We find that B/M is strong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risk, as measured by the Fama and French(1993) three-factor model. After controlling for changes in risk, B/M contains littl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expected returns.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three-factor model explains time-varying expected returns better than the characteristic-based model.

  • PDF

Dempster's Rule of Combination을 이용한 인공신경망간의 결합에 의한 ARMA 모형화 (Combining Multiple Neural Networks by Dempster's Rule of Combination for ARMA Model Identification)

  • 오상봉
    • 정보기술응용연구
    • /
    • 제1권3_4호
    • /
    • pp.69-90
    • /
    • 1999
  • 본 논문은 시계열자료의 ARMA 모형화를 위해 계층적(Hierarchical) 문제해결 방식인 인공신경망 기초 의상결정트리분류기상의 인공신경망 구조를 개선하여 지역문제(Local Problem)를 해결하는 복수개의 인공신경망 결과를 Dempster's rule of combination을 이용하여 종합하는 병행적인 (Parallel) ARMA 모형활르 위한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의사결정트리분류기에 근거한 방법론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ARMA 모형화를 위한 방법론은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 ESACF 특성 벡터 추출단계; 2) 개별 인공신경망에 의한 부분적 모델링 단계; 3) Conflict Resolution 단계, 제시한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해 모의실험용 자료와 실제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제시된 방법론을 검증하였으며 실험결과 기존 연구에 비해 ARMA 모형화와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강 하류부의 수질변동에 대한 추계학적 특성(II) - 특히 뚝도 및 노량진 지점의 DO, 탁도, 수온의 변동을 중심으로 - (Stochastic Properties of Water Quality Variation in Downstream Part of Han River)

  • 이홍근
    • 물과 미래
    • /
    • 제15권4호
    • /
    • pp.13-29
    • /
    • 1982
  • 본 논문은 제15권 제3호(1982년 9월)의 제(I)보에 이어 기재되는 제(II)보이다. 제(I)보에서는 1. 서론 2. 분석기법과 수질모형의 이론, 3. 분석자료의 목차 순으로서 연구의 내용과 이론적 근거와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량진 및 뚝도 지점의 DO, 탁도, 수온등의 특정수질에 대하여 (1) 수질의 주기성 발견, (2) 수질변동의 특성파악, (3) 시별 DO에 대한 자기 회귀모형의 추론, (4) 일별 DO에 대한 ARIMA 모형의 적용평가에 대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