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성길이

Search Result 5,15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cing Loads on Fixed Cables: II. Determination of Proper Length Scale (고정케이블에 작용하는 Icing 하중: II. 적절한 특성길이의 결정)

  • Yoon B. M.;Pokorny, M.;Ettema, R.
    • Water for future
    • /
    • v.29 no.2
    • /
    • pp.191-198
    • /
    • 1996
  • Attempts were made to determine a proper length scale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icing geometry.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a single length scale especially for glaze icings because of their shape complexity. However, use of icing length, which is defined as the length of icing normal to the wind, as a characteristic length is suggested rather than the cylinder or cable diameter.

  • PDF

Analysis of the durational characteristics of monosyllabic interjections in Natural spoken language (자연발화상에 나타난 단음절 단일간투사의 길이특성 분석)

  • 김기호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95-98
    • /
    • 1994
  • 자연발화상에 포함되어, 음성언어 인식에 장애를 초래하는 간투사의 음성적 특성 중 가장 뚜렷이 구별되는 길이특성얼 분석하여 음성언어 인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간투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음절 단일 간투사에 한정하여, 실제 대화의 녹음자료에서 나타나는 간투사의 빈도수와, 그 길이특성을 신분별, 성별, 간투사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또 간투사를 위치에 따라, 음운구초 간투사, 음운구말 간투사로 나누고, 그 길이를 음절 평균, 음운 구초 음절이나 음운구말 음절의 길이와 비교하여 간투사의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이는 단음절 단일 간투사는 어 이며, 간투사 길이 증가율은, 음절평균에 대해서는 그가, 음운구초 평균에 대해서는 응이 가장 큰 증가율을 나타낸다. 전체적을 음운구초 음절길이에 대한 간투사 길이 증가율이 음절평균 길이에 대한 간투사 길이 증가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하위레벨에서 제거할 수 있는 간투사와, 통사적 또는 의미론적 분석이 필요한 상위레벨에서 처리해야할 간투사를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 특성외에 간투사에 대한 다양한 음성적 특성과, 다음절 단일 간투사와, 이중 간투사에 대한 연구가 진척된다면 음성언어 인식에 장애가 되는 간투사의 효과적 배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 New Metho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Lengths for the Failure Analysis of Composite Joint (복합재 체결부의 파손해석을 위한 새로운 특성길이 결정 방법)

  • 안현수;권진희;최진호
    • Composites Research
    • /
    • v.16 no.4
    • /
    • pp.10-21
    • /
    • 2003
  • Proposed is a new metho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lengths for the failure analysis of composite joint without experiments. New method uses the result that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characteristic length specimens i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applied load. The compressive characteristic lengths calculated by the present method are exactly same as the lengths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experiment. The new tensile characteristic length is defined using the strength of the notched laminate, while previous methods use the strength of the sound laminate. That change allows calculating the tensile characteristic length numerically without experiment like the compressive characteristic length. Finite element analyses are conducted by MSC/NASTRAN. The interface between the fastener and laminate is modeled by the contact surface element. The finite element results based on the new characteristic lengths show the excellent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Graphite/Epoxy composite .joints.

Performance comparison of SDI input sensitivity for the cable length (케이블 길이에 따른 SDI 신호의 입력 감도 성능 비교)

  • Lee, Jaeil;Kwon, Donghyun;Jeong, In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147-15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A/V라우터, SDI to HDMI 비압축신호변환기 등 방송장비에서 주로 사용되는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신호의 입력감도 특성이 케이블 길이에 따라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케이블 길이에 따른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성의 확인을 위해 ITU 및 SMPTE 표준에서 규정하는 Rise/Fall Time, Timing/Alignment Jitter 값과 PSNR 값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전송률에 따른 케이블 길이 변화를 비교 시험하여 방송장비 제조사에서 권고하는 케이블 길이에 대한 신뢰도 확인 및 실 사용 환경에서의 케이블 길이 고려 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였으며, 향후 시험규격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Data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Low-Voltage CMOS using FPGA (FPGA를 이용한 저전압 CMOS에서의 데이터 전달특성 연구(반도체 및 통신소자))

  • 김석환;정학기;허창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407-410
    • /
    • 2003
  • 현재 통신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Xilinx FPGA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로직을 구현하고 데이터 전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신호의 노이즈와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10층의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만들었다. FPGA에 클럭과 64bit의 데이터를 동기 시켜 전송선로의 길이의 변화와 입력된 클럭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최대 안정된 데이터 전달속도와 전송선로의 길이를 알아보았다. 제작된 PCB보드에서 FPGA의 출력 핀에서 출력포트 사이의 전송선로 길이는 13cm이며 확장된 테스트용 전송선로 보드의 길이는 30cm, 60cm, 120cm이다. 그러므로 전송선로의 길이를 13cm, 43cm, 73cm, 133cm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데이터 전송특성에 대한 클럭 주파수는 10MHz, 50MHz, 100MHz, 125MHz, 150MHz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데이터 전달 특성에서 125Mbps까지는 불가능 하지만 전송선로의 길이가 30cm일 경우 최대 100Mbps까지 안정하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었다.

  • PDF

다양한 레이놀즈수에서 원형실린더 주변 유동 특성 연구

  • Lee, Ji-Hyeon;An, Chang-Hwa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11a
    • /
    • pp.27-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EDISON CFD의 2D_Incomp_P 해석자를 이용하여 0.16부터 1,000,000까지 다양한 레이놀즈수에서 실린더의 유동 특성을 연구하였다. 임계 레이놀즈수 이하에서 실험값과 유사한 압력분포도를 제작하여 해석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레이놀즈수에 따른 항력계수의 그래프를 제작하여 항력계수의 값이 레이놀즈수의 변화에 대해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같은 속도장일 때 특성길이에 따른 유동장의 차이점도 연구하기 위하여 특성길이에 변화를 주어 해석을 진행하였고, 특성길이가 길수록 박리가 빠르게 발생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Performance of 200 N-class Gaseous Methane-Liquid Oxygen Small Rocket Engi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Length Variation (특성길이 변화에 따른 200 N급 기체메탄-액체산소 소형로켓엔진의 성능 비교 분석)

  • Kang, Yun Hyeong;Ahn, Hyun Jong;Kim, Jeo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4 no.6
    • /
    • pp.85-92
    • /
    • 2020
  • Ground hot-firing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mbus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lengths 1.37 m, 1.71 m, and 2.06 m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200 N-class GCH4-LOx small rocket engine. Thrust, specific impulse, and characteristic velocity at the steady-state could be obtained as the key performance parameters of the rocket engin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cquired through the 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theoretical performance calculated from CEA analysis. Observation of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 length on the combustion performance indicates that an optimal characteristic length shall remain between 1.71 m and 2.06 m.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and emotional quotient of hands (손의 형태학적 특성과 손감성지수와의 상관관계)

  • Jeong, Eun-Young;Ryu, Hee-Wook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4
    • /
    • pp.769-776
    • /
    • 2010
  •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nsibility of hands for beautiful hands were investigated for college woman in early twenties. Hand Emotional Quotient (HEQ) which is classified as 10 grades was newly suggested as one of the sensibility evaluation methods for the beautiful hands and was applied to asses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lationships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EQ. The factors influenced on the HEQ were in order as width-length ratio of hands, finger length-hand length and finger width-hand length ratios. Otherwise the influences of hand length-nail length and finger length-nail length ratios on HEQ were insignificant. The longer length of hand, finger, and nail and the narrower width of hand and finger, the higher HEQ hands get.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all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hands influenced on the sensitivity synthetically. The data constructed on the hand's sensibility is very useful for various beauty products and service areas related to hands.

  • PDF

Fabrication of Sub-100nm FD SOI nMOSFET using Silicon thin-body (Silicon Thin-body를 이용한 100nm 이하 SOI-NMOSFET에서의 제작)

  • 양종헌;백인복;오지훈;안창근;조원주;이성재;임기주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b
    • /
    • pp.707-710
    • /
    • 2003
  • 10n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얇은 SOI 층 위에서 우수한 동작 특성을 보이는 Fully-Depleted SOI nMOSFET 을 제작하였다. 게이트의 길이가 큰 경우에는 SOI 층이 얇지 않아도 좋은 특성을 보이지만, 게이트 길이가 100nm 이하에서는 Short Channel Effect 에 의한 특성 열화 때문에 SOI thin body 의 두께가 게이트 길이에 따라 같이 얇아져야 한다. [1] 100nm 게이트 길이 SOI-NMOSFET에서 10nm 이하 body 두께에 따라 Vth는 조금 상승했고, Subthreshold slope은 조금 개선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45nm 게이트 길이와 3nm 로 추정되는 body 두께를 갖는 nMOSFET 에서 우수한 I-V 동작 특성을 얻었다.

  • PDF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lix caprea × Salix gracilistyla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의 잎 형태적 특성)

  • Han-Na Seo;Seung-Beom Chae;Hyo-In L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49-49
    • /
    • 2020
  • 본 연구는 호랑버들과 갯버들 교잡종의 잎 형태적 특성을 국내 자생종인 호랑버들, 갯버들과 비교하였다. 호랑버들 35개체, 갯버들 35개체, 교잡종 100개체에서 잎을 채취하여 잎의 길이와 너비, 엽저와 엽두 각도, 잎자루 길이와 너비, 탁엽의 길이와 너비, 잎 두께 등 총 17개의 잎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엽두 각도와 탁엽의 길이를 제외한 15개의 특성에서 세 분류군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교잡종의 잎 길이와 너비의 비는 갯버들, 교잡종, 호랑버들 순으로 크게 나타나 교잡종의 잎의 형태는 피침형인 갯버들과 타원형인 호랑버들 사이 중간 형태로 나타났다. 교잡종의 잎의 너비, 엽저 각도, 잎자루의 길이와 너비, 탁엽의 길이와 너비는 호랑버들과 갯버들의 중간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탁엽의 거치 개수는 교잡종이 호랑버들과 갯버들보다 많은 특성이 나타났다. 잎 뒷면 단위면적당 털의 개수 또한 교잡종이 호랑버들과 갯버들보다 많은 특성을 나타냈다. 세 분류군 간 잎 형태적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인 15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유값이 1 이상인 제 1, 2, 3, 4주성분이 전체 분산의 68.2%를 설명하였다. 제 1주성분은 잎의 너비, 잎의 1/3 아랫부분 너비, 잎의 1/3 윗부분 너비, 잎자루의 길이, 잎의 길이로 잎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특성들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제 2주성분은 엽맥의 수, 잎자루의 너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제 3주성분은 탁엽의 거치 개수, 탁엽의 너비로 탁엽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특성들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제 4주성분은 잎의 두께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 결과 호랑버들과 갯버들 교잡종의 잎 특성은 호랑버들보다 갯버들과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잎의 형태적 특성으로 세 분류군을 구별하기 위해 정량형질을 이용한 판별분석 결과 교잡종 중 대부분(93.3%)이 호랑버들, 갯버들과 구별되었다. 일부 교잡종 개체(6.7%)가 갯버들로 오분류되었지만, 잎의 정성적 특성인 잎의 거치와 측맥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 모든 개체가 교잡종으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호랑버들과 갯버들의 교잡종은 잎의 형태적 특성이 부모종인 호랑버들, 갯버들과 다른 독특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