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산종

Search Result 43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제주지역 특산식물의 현황 및 활용방안

  • Go, Jeong-G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5-5
    • /
    • 2010
  •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44과 75속 63종 17변종 13품종으로 총 93분류군에 대한 자생지 환경, 개체군 동태, 생육특성 및 위협요인 등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중 세계적으로 제주지역에만 분포하는 제주특산식물은 긴다람쥐꼬리(Huperzi integrifolium) 등 27과 46속 36종 12변종 8품종으로 총 56분류군으로 분석되었으며, 제주도를 포함하여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 20과 28속 24종 4변종 4품종으로 총 32분류군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조사대상 특산식물 중 바위좀고사리(Asplenium sarelii var. anogrammoides) 등 5분류군은 분류학적 검토와 함께 특산식물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개나리(Forsythia koreana)는 조경용으로 식재된 종이므로 제주지역에 자생지가 확인된 특산식물은 39과 70속 59종 16변종 12품종으로 총 87분류군으로 볼 수 있다. 제주지역의 특산식물은 해안지대에서 확인된 갯겨이삭(Puccinellia coreensis)부터 한라산 정상에서 자라는 한라솜다리(Leontopodium hallaisanense)까지 제주도 전역 분포하고 있으나 종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특성을 보였다. 특히, 한라산 해발 1,400m 이상 아고산대에 집중 분포하는 특성을 보였다. 특산식물의 자생지내 개체군의 동태를 보면 대부분의 식물이 개체수 및 분포범위가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지리산오갈피(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는 2개체만이 확인되어 종보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한라솜다리,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한라각시둥굴레(Polygonatum humile var. humillimum) 등 상당수의 식물 종이 수십 개체 이내로 매우 적은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 요인으로 인해 많은 자생지 면적감소나 개체수 감소 등의 위협요인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산간 이하에 자라는 특산식물은 접근성 등이 용이하여 도채 등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한라산국립공원 내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은 인위적 훼손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자연적 요인 즉, 식생변화 등으로 인해 자생지 및 개체수 감소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체계적인 종 보존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제주지역 특산식물 중 자생지가 확인된 식물 종을 대상으로 근연종 분석 등을 통해 유용성을 분석하면 식물체 일부가 약용으로 가능한 식물 종이 개족도리(Asarum maculatum) 등 전체의 67.1%를 차지하였고, 관상용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식물 종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 전체의 60.2%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대부분의 종이 희소성의 가치가 있어 모든 특산식물이 관상용으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지역에서 확인된 특산식물 중 전체적으로 90.9%가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아직까지 유용성에 대한 정보가 미흡한 종도 자원적인 연구접근에 따라 다양한 자원으로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Polygonatum (Ruscaceae) (한국산 둥굴레속(Polygonatum, Ruscaceae)의 분류학적 재검토)

  • Jang, Chang-Ge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2 no.4
    • /
    • pp.417-447
    • /
    • 2002
  • Polygonatum taxa of Korea were classified as two sections, three series and 14 species and 2 varieties and reviewed taxonomically. Among the examined taxa, endemics in Korea were recorded as two species; P. grandicaule Y. S. Kim, B. U. Oh & C. G. Jang and P. infundiflorum Y. S. Kim, B. U. Oh & C. G. Jang. The habitat of Korean unrecorded species, P. acuminatifolium Kom. and P. odoratum var. odoratum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Keys to the sections, series and species including description of each taxon were provided here.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llium (Alliaceae) (한국산 부추속(Allium, Alliaceae)의 분류학적 재검토)

  • Choi, Hyeok-Jae;Jang, Chang-Gee;Ko, Sung-Chul;Oh, Byoung-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4 no.2
    • /
    • pp.119-152
    • /
    • 2004
  • Allium taxa of Korea were taxonomically reviewed, and classified as three subgenera, ten sections, seventeen species, and three varieties. Among these, Korean endemics were recorded as six taxa; A. koreanum, A. taquetii, A. deltoide-fistulosum, A. linearifolium, A. thunbergii var. deltoides, A. thunbergii var. teretafolium. In addition, A. condensatum, A. splendens and A. maximowiczii proved to distribute only in North Korea. Keys to the subgenera, sections, species and infraspecies with descriptions of each taxon were provided.

A Reconsideration of the List of National Endemic Plants (appendix 4-1) Under the Creation and Furtherance of Arboretums Act Proposed by Korea Forest Service (산림청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의 특산식물 목록의 재고)

  • Park, Soo Kyung;Gil, Hee-Young;Kim, Hui;Chang, Chin-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2 no.1
    • /
    • pp.38-58
    • /
    • 2013
  • The existence of endemism in many parts of the world is an important factor for conservationists. Conservation can only be carried out under national legislation, and national endemics, which have very limited ranges, fully depend on the effort and success of conservation. A total of 523 vascular plant taxa were listed in the latest national checklist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5, while the 'Creation and Furtherance of Arboretums Act' including a national endemic list (appendix 4-1) was established by Korea Forest Service and was legislated as a law in late 2011. This legislation by Korea Forest Service on endemism of Korean vascular plants have required much attention because of discrepancies of nomenclature, taxonomic bias and inflation. Examining data for both lists propos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orea Forest Service, of the total of 360 legislated taxa, around 286 taxa are shared with the list of Ministry of Environment, of which about 80% have been found as common taxa. Around 67(18.7%) are typographic errors, and 14 taxa (3.9%) are recorded as illegitimate and invalidly published names. Through this analysis 12 taxa (3.4%) were found in China as well as in Korea and these are thought to be non Korean endemic taxa. Taken together, the legislated list displayed 1/4 (24.9%) errors out of the total list. Only 59 taxa (16.5%) are identified as national endemic species. The remainder are either unresolved candidates (73 taxa, 20.4%) or synonyms (196 taxa, 54.7%) status. It must be noted, that the concept of endemism very much depends on the knowledge of the species concept, taxonomic bias and geographical range of a species. Also, the most major nomenclatural problem tend to be more stable if the information on database about Korea Plant Name, which is managed by Korea National Arboretum are well updated year to year. These exaggerated numbers underscore the urgency for regional conservation planning and implementing effective strategies to preserve these real endemic taxa into the future.

해가리비, Anusium japonicum japonicum의 성성숙과 성비

  • 손팔원;정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67-368
    • /
    • 2003
  • 해가리비는 주로 제주도 남부의 서귀포 법환과 강정연안을 중심으로 수심 20∼40m의 모래바닥에 서식하는 제주 지역 특산종이다. 본 종은 각장 13cm까지 성장하는 대형종으로 패각이 아름답고 수율이 높으며 육질의 맛이 단백하여 양식기술이 개발될 경우 산업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가리비이다. 그러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본 종의 자원량이 날로 감소되어 자원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증ㆍ양식 기술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중략)

  • PDF

The Karyotypic Analysis of Niwaella multifasciata Wakiya et Mori(Cobitidae), An Endemic Species in Korea (한국(韓國) 특산종(特産種) 수수미꾸리, Niwaella multifasciata Wakiya et Mori(Cobitidae)의 핵형분석(核型分析))

  • Nam, Myung-Mo;Yang, Hong-Jun;Chae, Byung-Soo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3 no.1
    • /
    • pp.36-41
    • /
    • 1991
  • The karyotype of the Niwaella multifasciata, endemic species to the Nakdong River in Korea,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e sample species, Niwaella multifasciata collected from the Milyang River and the Nam River which are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has a diploid complement of 50 chromosomes composed of 10 metacentric, 28 submetacentric, 12 subtelocentric chromosomes, and 88 arm numbers. The arm number of Niwaella multifasciata was larger than any other species of Cobitidae. Sexual dimophism and intraspecific polymophism of the chromosomes were not observed in this study.

  • PDF

New Taxonomic Treatment of Lycoris koreana Nakai (백양꽃(Lycoris koreana Nakai)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

  • Lee, Jong-Won;Chung, Kyong-Sook;Kang, Shin-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21-21
    • /
    • 2019
  • 백양꽃(Lycoris koreana)이 속해 있는 상사화속(Lycoris)은 종간 잡종이 쉽게 일어나 많은 자연교잡종을 가지고 있어 식물의 종분화와 진화를 연구하는데 흥미로운 분류군이다. 그러나 이런 사유로 명백한 분류학적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종의 분류학적 위치의 설정에 문제가 발생되어 계급의 설정에 혼란을 가져오기도 한다. 특히 한국산 상사화속의 종 분류는 그동안 많은 형태학적, 분계학적, 화분학적, 세포학적, 분자생물학적 연구가 이루어져 있음에도 아직도 도감과 많은 문헌에서 오류와 오동정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백양꽃에 대하여서는 Nakai에 의해 신종으로 설정된 이래 일본에 분포하는 동 속 식물과의 관계 분석의 오류로 계급의 설정에 현재까지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백양꽃은 전라남도 백양산에 분포하고, 포가 자주색이고, 꽃의 크기가 작으며, 화사와 화주가 적색 또는 암적색인 특징으로 Nakai에 의해 신종으로 설정되었다. 이후 Nakai와 Lee는 L. koreana 가 한국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 한국 특산종으로 취급하였다. 그러나 백양꽃의 실체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Lee and Oh는 L. radiata로 동정하였고, Yang은 L. koreana는 한국에 분포하지 않고 L. sanguinea만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Koyama는 L. sanginea에 대하여 L. sanguinea와 L. kuishiana를 비교하여 수술이 화관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점 외에는 L. koreana와 차이가 없음을 들어 각각 L. sanguinea var. sanguinea, L. sanguinea var. kuishiana 그리고 L. sanguinea var. koreana로 재설정 하였고 이는 한국과 일본학자들에 의해서도 거의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L. koreana의 종(species)으로의 계급 부여와 한국특산식물 설정의 타당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Taxonomy of the genus Scrophularia (Scrophulariaceae) in Korea (한국산 현삼속(현삼과)의 분류학적 연구)

  • Han, Kyeongsuk;So, Soonku;Lee, Chung-Hee;Kim, Muyeo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9 no.4
    • /
    • pp.237-246
    • /
    • 2009
  •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mong six species and two varieties, belonging to Scrophularia (Scrophulariaceae), in Korea were re-examined based on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Scrophularia takesimensis, a Korean endemic species, should be separated from S. grayana as an independent species based upon uniqu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non-winged stems, thickened leaves and glabrous surfaces of leaves, even though they share a lot of other features. It was found that S. grayana is distributed in Sokcho in Korea and along the coast of the East Sea north to far eastern Russia. Although some morphologies of three taxa, S. cephalantha, S. koraiensis var. velutina and S. kakudensis var. microphylla appeared to differ from each other, their ITS DNA sequence data was similar to that of S. kakudensis, suggesting that they might better be designated with the later species. The taxonomic position of S. koraiensis, only found in Korea, has been ambiguous, but ITS DNA sequence data in this study revealed that this species is distinct from S. kakudensis. Consequently, we conclude that the genus Scrophularia in Korea includes five species.

성산일대의 호석회 및 혐석회식물의 분류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0-38
    • /
    • 2001
  • 온달굴이 위치한 충북 단양군 영춘면 하리에 남산줄기와 연한 온달산성일대의 식생을 1999년 3월부터 8월까지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이중 한국 특산식물, 혐석회식물과 호석회식물의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1. 온단산성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70과 139속 24변종 2품종 153종으로 총 179종류로 조사되었다. 2. 한국특산식물은 3종류였다. 3. 본 조사지역의 호석회식물은 13과 13속 4변종 12종으로 총 16종류였다. 4. 본 조사지역의 혐석회식물은 8과 8속 10종이었다.

  • PDF

The Flora of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Area on The East Slope of Mt. Hallasan (한라산 동사면 장기생태 연구 지역의 식물상)

  • Lee, Jong-Won;Choi, Im Jun;Lee, Su Hong;Kang, Shin-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74-74
    • /
    • 2019
  • 한라산은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해발고도는 1,950m이고 그 면적은 약 9,100ha로 대한민국 최대의 섬제주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한라산은 특산식물이 36종이나 발견되어 국내 외적으로 생물적인 가치와 보전적인 가치를 인정받아온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 성판악에서 백록담으로 이어지는 동사면의 해발고도 1,500m 부근의 진달래밭대피소 인근에 위치한 5ha 장기생태 연구 지역 식생조사를 통해서 조사된 자생 식물종을 정리하였다. 관속식물은 31과 44속 56종 등 총 56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구상나무(LC), 주목(VU), 섬매발톱나무(DD), 개족도리풀(LC), 시로미(VU), 게박쥐나물(LC), 사철란(LC)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특산식물로는 구상나무, 족도리풀, 제주조릿대, 산제비란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등급은 일엽초, 윤노리나무, 야광나무, 큰천남성 등 6분류군, II등급으로는 두루미꽃, 홍괴불나무, 마가목, 산개벚지나무, 다람쥐꼬리 등 10분류군, III등급은 만년석송, 구상나무, 애기괭이밥, 호자덩굴 등 8분류군, IV등급은 시로미 그리고 V등급은 설앵초가 각각 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한라산 아고산대의 대표 우점종인 구상나무는 특산식물이자,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II등급이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 약관심종으로 추가 연구를 통하여 보전관리방안이 수립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