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트랜드 색채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웰빙트랜드가 식품포장디자인의 색채에 끼친 영향 (Influences of Well-being Trend on Color of Packaged Food Products)

  • 신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84-192
    • /
    • 2007
  • 사회적 트랜드는 소비대중의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줌으로써 상품의 구매성향에 변화를 초래한다. 이런 연유에서 트랜드는 제품의 기획과 생산과정에서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된다. 새로운 트랜드가 출현하여 어떤 변화가 일어났다면 우선 그 트랜드에 의한 영향의 폭과 깊이를 가늠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웰빙물결과 이로 인해 나타난 식품포장디자인의 변화는 주목할 만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웰빙트랜드의 영향으로 식품포장디자인이 어떤 형태로 변화되었는지에 알아보았다. 연구의 범위는 의식주 중에서 웰빙트랜드의 영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식품을 대상으로 하였고 범위를 좁혀 공장에서 생산되고 대형할인점을 통해 판매되는 포장식품으로 한정했다. 식품포장디자인은 판매의 최종단계에서 소비자에게 충동적 구매를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공적인 디자인을 위한 제 요소들 중에서 색채는 그 중심적 위치에 있다. 색채는 트랜드의 변화를 민감하게 나타내고 소비자는 그 같은 상품의 구매를 통하여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본 연구의 기초 자료는 시장조사를 통해 포장식품을 대분류한 후 사용된 색상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각4대 기본색상의 역할과 변화를 분석하여 트랜드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웰빙트랜드에 민감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수가 공감하는 웰빙칼라를 선정하였다.

색채 선호 분석을 통한 유색보석 제품 개발 (Development of Colored Gemstone Products Through Analysis of Color Preference)

  • 이기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16-124
    • /
    • 2013
  • 본 연구는 색채선호도를 고려한 유색보석 제품 개발을 위해 유색 보석을 먼셀의 10색을 기본으로 하여 색상별로 분류하여 20대 여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유색 보석에 대한 색채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트랜드 분석과 디자인 이미지 형용사 분석을 통해 개발 방향을 설정하여 제품을 개발하였다. 색채 선호도 결과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유색보석 보다는 블루쿼츠, 카나이트, 쿤자이트, 스페서타이트 가넷 등과 같은 소비자에게 알려지지 않은 칼라의 보석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향후 유색보석 제품 개발에 있어서 트랜드 분석과 디자인 선호 이미지 형용사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개성을 충족시키는 디자인 방안을 찾아 볼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주얼리 업체 및 디자이너에게 유색 보석 실용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테리어 직물색채의 트랜드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trend for Interior textile)

  • 박소영;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호
    • /
    • pp.109-11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ior textile color changes and trend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color hues and tones. Heimtextil in the interior field was selected for color trend analysis from 1996 to 200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hue, warm colors like Y, YR, and R were most prominent in all four years. Some new colors, however, emerged with higher frequency. The frequency of GY and B increased in 96/97, GY, BG and PB in 97/98 PB and B in 98/99, and B and PB in 99/2000. Especially between 96/2000, the frequency of PB and B has been increased, although the frequency of GY has been decreased. Over the four years, P, RP, and Neutral showed medium frequency, and G and BG showed low frequency. Gold appeared as an accent color in two years while silver appeared in one year. In summary, warm colors like Y, YR, and R were most prominent in interior color. Second, In terms of tone, p, b, v, and sf were most prominent over the four years. Although 에 and ltg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n general, a wide variation was presented. The tones such as p, dp, and v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in the three years of 96/97, 97/98 b and sf in 97/98 ; lt, dk and sf in 98/99. On the other hand, a new trend emerged in 99/2000. In this year, ltg, sf, s, d and dkg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unlike the other three years. In other words, soft or light tones, such as pale, soft, light, grayish, and deep, and strong tones, such as vivid and bright,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 PDF

1990년대 이후의 유압굴삭기의 디자인트랜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Trend of Hydraulic Excavator since 1990)

  • 윤진필;문무경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6-77
    • /
    • 1999
  • 대중적 건설중장비로서의 유압굴삭기는 1990년대 이후로 탈산업화(post-industrialization)의 영향을 받아, 형태나 색채에 있어서 변화를 시작한다. 이는 일반 소비재 분야에 비하여 다소 늦은 편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건설중장비 특성상 제한된 사용 충과 사용환경으로 인한 제품개발기간(PDT)과 제품수명주기(PLC)가 길고, 제품개발 비용이 상대적으로 거대하기 때문이다.(중략)

  • PDF

현대 디자인 트랜드 분석 통한 AI CARE 디자인 그래픽 기획에 관한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I CARE BED 파트별 분석과 디자인 제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easibility Analysis of AI CARE Design Graphic Planning through Modern Design Trend Analysis -Focusing on AI CARE BED part-by-part analysis and design proposal-)

  • 조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599-604
    • /
    • 2021
  • AI 인공지능으로 각 분야가 융합된 시대에 디자인에서는 AI-CARE 기능의 디자인과 UI UX 디자인이 각광 받는 시기에 들어와 있다. 새로운 기능에 맞는 시각 효과는 형태 디자인의 적용과 색의 트랜드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형태 트랜드의 정리와 적용에 관한 사례를 제시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입부에서는 최신 디자인 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새로운 제안의 방향으로 연구하였다. 본문에서는 기능 디자인 형태를 분리하여 기획에서의 디자인 방향과 고려사항 대한 부분을 연구하였으며, 디자인 작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형태와 색채 부분의 단계에서 미니멀리즘과 유니버셜 디자인, 어포던스 디자인의 흐름에 맞는 계획서를 제안하였다. 사례 실습을 바탕으로 한 본론의 연구 방법은 부분별 디자인 작업에 특화된 형태와 색채에 관한 콘텐츠를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에 대한 고찰이며, 콘텐츠 이미지에서 새로운 영역의 UI UX 분야 그래픽 제작이 실현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I CARE 베드 PART별로, 디자인 방향성과 타당성을 제안함으로써 형태와 색의 도출 방법의 디자인 방향성과 기획에 도달했다.

레스토랑 식공간 연출에서의 식기와 고명의 색채 조화 (Tableware Coordination and Garnish Decoration for Restaurant Space Design)

  • 유경아;김영국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41
    • /
    • 2009
  • 본 연구는 푸드 스타일링 잡지에 제시된 식공간 연출 사진의 내용 분석과 실제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공간 구성 요소인 식기와 고명을 색채와 재질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식공간 연출 1,357사진은 국내 잡지인 "쿠켄"과 "행복이 가득한 집"에서 선정하였고, 레스토랑은 서울 지역 84군데를 선정하여 직접 방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식기 재질의분석 결과, 고가 레스토랑과 식공간 연출가의 트랜드는 일치 즉, 백자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저가 레스토랑은 플라스틱 식기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둘째, 식기의 색채로는 청결을 상징하는 흰색이 가장 선호되고 있었다. 음식을 무난하게 소화하고 돋보이게 하는 고급 흰색 도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저가 레스토랑에서 흰색 플라스틱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식 고명으로는 녹색 계열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식공간 연출가들은 적색과 녹색의 보색 대비 고명도 많이 제시하고 있었다. 고가 레스토랑에서는 오방색 고명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 PDF

중국(中國) 동북지역 다롄시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컬러트렌드 분석(分析)(제2보) - 2010 겨울, 중국의 전통 색채감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Color Trend of Street Fashion in Dalian, China(paper no. 2) - Focused on 2010 Winter, Compare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Color Preference -)

  • 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5호
    • /
    • pp.161-17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traditional color sentiment on the contemporary clothing color by researching the street fashion of 2010 Winter season of Dalian in China, in view of the clothing color of women in their 20-30 years of age, along with traditional Chinese color. This is the 2nd paper following the paper no. 1, focusing on 2010 Summer season, so the research method is same as the paper no. 1. As a result, Black and deep tone PB color most frequently appeared. The vivid and strong tone of R, YR, Y color showed high frequency of clothing colors. This results illustrate that the clothing color choices of Chinese women was affected by Chinese traditional color sentiment rather than the international color trend. Characteristically, in winter season, frequency of R and Y color categories were higher than in summer season, specially in the top and accessories color, those colors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the other colors. These were the important points in dealing with winter color trend, so that the fashion company and brands should take it an important points when they are planning winter clothing colors. The achromatic colors show the high frequency in both seasons. The bottom color shows high incidence of Black and deep tone of PB color categories as in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means consistent color trend existed in Dalian city, however it does not seem to have its origin from traditional Chinese color preferences. This kinds of regional and seasonal research might contribute to finding the basic informations about the design and marketing strategies to launch into the Chinese fashion market.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 1990년대 여성복을 중심으로 -

  • 이화정;채금석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41
    • /
    • 2001
  • 본 연구는 1990년대 밀리터리 패션에서 성적 이미 지의 표현양상을 살펴보고 각각의 미적 특성과 형성 요인을 분석하여 현대 여성의 다양한 미적 가치와 미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1,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등장한 밀 리터리 패션은 20세기 초반에 여성의 사회참여와 지 위 향상으로 인해 실용성과 기능성을 추구하였고 중 반에 들어서면서 히피와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전운 동의 일환으로 입혀져 안티패션의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으며 후반에는 포스트모더 니즘으로 인해 다양성 을 추구하는 복고풍의 패션 트랜드로서 각종 컬혜션 에서 부각되었다. 그 결과 밀리터리 패션은 기존의 남성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여성적 이미지도 표현하 게 되었다. 이러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 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의 남성적 이 미지와 보수적 이미지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 지의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남성적 이미지는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에 도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한층 강하게 작용한 일종의 반 패션 현 상으로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로 특정지을 수 있다. 첫째, 권위적 이미지는 주로 고전적 군복과 제복의 이미지를 차용해 군복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을 표출 하였으며 남성 우월주의에 기초한 영웅주의를 가시 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떳떳하게 자신의 위치를 세 우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대변하였으며 영웅주 의와 가부장제도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격적 이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에 대한 저 항과 기존의 성 정체성에 대한 저항으로써 전위적인 형태와 해체적인 표현으로 본래의 위엄있는 군복의 이미지를 무너뜨려 남성다웅의 표면적인 메시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으며 반체제 정신, 성 정체성에 대 한 저항, 해체주의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적 이미지는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여성 본래의 성을 부각시키고 여성이 주체가 된 여 성중심적 사고로 여성의 감성적 심리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보수적 이미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첫째, 보수적 이미지는 남성적 영역이라고 믿어왔 던 군복에 여성성을 강조하여 가늘고 유연한 실루엣 과 곡선적인 라인, 색채. 심플한 디테일만으로 밀리 터리 패션을 표현하여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여성도 사회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 였으며 남성 권위의 추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둘째, 과시적 이미지는 전통적 군복이 과거의 상 류층 엘리트들만의 아이템이었듯이 현대의 여성들은 신분과 매력의 과시를 표현하고자 금속 단추나 벨트 등 기타장식을 부각시킨 밀리터리 패션을 착용하였 으며 엘리트층에 대한 동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관능적 이미지는 신체의 간접적인 노출과 직접적인 노출을 통해 여성의 신체에 의한 에로틱한 관능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나르시시즘과 보이고 자 하는 욕구, 성적 유희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패션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고 미적으로 자기완성의 방편을 삼으려고 한 현대 여성들의 가치 관과 미의식을 이해하며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패 션 트랜드와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1990년대 패션트렌드 분석연구 -여성패션의 테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shion Trends in 1990s -Focus on the Themes of Womens'Fashion-)

  • Nahm, Jae-Kyung;Geum, Key-Sook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45-1654
    • /
    • 2001
  • 패션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이는 새로운 패션 트렌드의 출현을 의미한다. 특히 지난 1990년대 패션은 사회, 과학, 경제, 문화 등 사회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새롭고 다양한 가치의 추구로 패션분야에서도 새로운 것에 대한 욕구가 급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0년대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여 패션의 특성을 파악하여 미래의 패션을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패션트렌드는 향후 예측되는 유행테마, 스타일, 색채 , 소재 , 디테일 등을 제시하고 있는데 , 본 연구에서는 시대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패션테마만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패션테마로 제시되는 개념 이 나 용어들은 동시대의 사회현상과 패션 분야에서 요구될 것으로 예상되는 내용이 비교적 자유분방하게 제 시 하고 있으므로, 패션 테마의 분석과 고찰은 패션의 실체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테마로 제시된 용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 패션경향는 물론 패션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90년대 10년간의 패션트렌드로 설정했으며, 분석자료는 구체적으로 국내패션정보사인 K·F·S와 S· F·I에서 제시한 트렌드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990년대 패션은 종래의 상식적인 디자인 개념을 넘어서서 여러 가지 다채로운 스타일들이 역사적 시간과 여러 문화의 공간을 오가며 교류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인 특성을 강하게 나타냈으며 , 이러한 경향은 매우 깊고 광범위하게 1990년대 의 패션트렌드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최근의 첨단 과학 기술의 발달과 이에 반하는 자연으로의 회귀욕구와 인간의 본질을 추구하는 인식의 전환 또한 패션 트랜드에 영향을 주었다. 이들을 포용하는 패션 주제는 크게 자연주의, 세계주의, 미래주의, 복고주의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 와 같은 패션 테마들은 각각 독립 적 이 기보다는 서로 상호 보완하고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1990년대 패션으로 형상화되었다. 이러한 1990년대 패션 경향의 분석 결과는 동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동시에 패션의 특징인 주기성과 반복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패션의 특징을 파악하고, 21세기 패션 경향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고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뷰티 트랜드에 따른 화장 이미지 유형별 화장색채와 질감 변화 분석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Make-up Color and Texture by the Type of Make-up Image Shown in the Beauty Trends)

  • 김명리;이경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09-417
    • /
    • 201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makeup images shown in the beauty trend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colors depending on the types of facial makeup. This survey's collected data includes a total of 365 makeup colors which have been shown in the beauty trends for the last three years. The pictures and vocabularies shown in such data were analyzed and thus we could have classificatorily six kinds of makeup images. In addition, makeup colors were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eye makeup and lip makeup, both of which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makeup images. As the results, the types of makeup images shown at beauty trends were classified such as natural image, gorgeous image, elegant image, sophisticate image, and romantic image. If analyzing yearly changes, active, romantic, and elegant images were common in 2008, and natural image displayed a certain strong tendency amid pro-environmental trends in 2009, and gorgeous images were appeared apparently in 2010, while natural image showed a bullish tendency yet. Regarding to color characteristics by makeup images shown at beauty trends, YR color in eye makeup and R in lip makeup looked bullish generally, and a lot of changes were shown in color tones. This fact gives help in grasping fashion colors and color tones of yearly makeup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examines makeup colors for expressing makeup images closely, and then suggests that it could be utilized in makeup color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