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툴킷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HyRAM+를 이용한 수소 누출 시뮬레이터 구현 (Inplementation of a Hydrogen Leakage Simulator with HyRAM+)

  • 황성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551-557
    • /
    • 2024
  • 수소는 청정, 무탄소, 고에너지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재생에너지원으로 국제적으로 '미래에너지'로 인정받고 있다. 수소에너지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수소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더 많은 수소 인프라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수소 인프라 사고가 빈번한 발생함으로 인해, 수소산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미국 Sandia National Laboratories에서 개발한 HyRAM+는 수소충전소를 포함한 다양한 저장 응용 분야에 대한 수소 안전 평가와 관련된 데이터와 방법을 통합하는 소프트웨어 툴킷이다. HyRAM+의 물리 모드는 수소충전소 컴포넌트에 따라 수소누출 결과를 모사하여 가스 플룸 분산, 제트 프레임 온도와 궤적 그리고 복사 열속 등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수소충전소를 대상으로하여 HyRA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소 누출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HyRAM+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소 누출(Leakage) 발생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데이터베이스와 그라파나(Grafana)를 이용하여 시뮬레이터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대쉬보드(Dashboard)로 구현하였다.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통합로그인 애플리케이션 (Android Based Mobile Combination Login Application)

  • 임중균;최창석;박태은;기효선;안병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51-156
    • /
    • 2013
  • 안드로이드는 구글과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가 만들어낸 모바일폰용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툴킷이다. 안드로이드는 몇 년 내로 수백만 개의 핸드폰 및 그 밖의 모바일 장치에 사용될 것이며, 응용프로그램 개발자들의 주요 플랫폼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통합로그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을 한다. 개발된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통합 로그인 애플리케이션 컨텐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기반의 웹 브라우저(웹브라우저 스타일의 응용 애플리케이션)로서 일반적인 웹브라우저보다 편리한 로그인 기능, 보안기능과 데이터 전송량을 줄여서 보다 빠른 화면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둘째, ID 및 Password 관리에 유용하며, 여러 ID의 정보 등을 쉽게 관리 할수 있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러 포털사이트를 동시 로그인하는 기능과 계속적으로 로그인이 유지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였다. 현재, 하나의 ID 안에 여러 계정의 ID를 삽입하는 기술과 한 화면에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 중에 있다.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활용한 청년 공유마을 연구 -대전광역시 어은동 청년 공유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outh Shared Villages Based on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Focus on Youth Sharing Village in Eoeun-dong, Daejeon)

  • 정용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14-322
    • /
    • 2018
  • 최근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국민 참여 정부 정책 결정 모델들이 늘어나고 있다. 과거 공급자 위주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책 실행 수용의지가 낮아 정책의 효과가 반감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민 참여 정책 서비스디자인을 2014년부터 매년 행정자치부에서 국민디자인단 이라는 명칭으로 진행 중이다. 공유 마을은 공유경제를 실행하기 위한 넓은 의미에서의 마을공동체로 마을 구성원간의 공유 의식을 높이고 상생과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공유마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서비스디자인 방법 툴킷(Toolkit)을 활용하여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공유마을, 도시재생, 청년취업 정착에 대한 3가지 문제들을 복합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의 인과관계가 광범위하고 해결방법 제시에 따른 각각의 대상이 가지는 결과 만족도를 검증하기 위한 만족도 조사 및 연구기간의 한계가 있어 향후 지속적인 검증과 문제점 개선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효율적인 취업 준비와 자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구글 클라우드 기반의 취업 강화 시스템 구현 (Implement of Job Reinforcement System based on Google Cloud for Efficient Job Preparations and Self Ability Improvement)

  • 강주희;양병렬;정세훈;김종찬;박홍준;소원호;심춘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56-759
    • /
    • 2015
  • 매년마다 힘들어지는 취업 관문으로 인해 여러 취업 정보들을 담은 웹 사이트들이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면접장들과 얼굴을 대면하는 면접에 대해서는 큰 도움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취업 준비를 하면서, 혹은 직장을 다니면서 얻는 스트레스로 우울증을 겪는 사람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현존하는 취업 사이트들은 이에 대해 전문가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지는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구글 앱 엔진(Google App Engine) 및 구글 웹 툴킷(Google Web Toolkit) 기반으로 하여 방대한 취업 정보를 담을 수 있도록 하고 면접 동영상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취업 준비생, 직장인들의 스트레스를 덜고자 문의 게시판을 구성하여 상담 전문가들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역/촉감 햅틱 상호작용을 위한 "K-$Touch^{TM}$" API 개발 - 햅틱(Haptic) 개발자 및 응용분야를 위한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 (Development of K-$Touch^{TM}$ API for kinesthetic/tactile haptic interaction)

  • 이범찬;김종필;류제하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8
    • /
    • 2006
  • 본 논문은 새로운 햅틱 API인 "K-$Touch^{TM}$"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역/촉감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K-$Touch^{TM}$는 햅틱 세부 기술을 잘 알지 못해도 응용분야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햅틱 기술을 개발하는 개발자가 쉽게 개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픽 하드웨어 기반의 핵심 역감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개발된 K-$Touch^{TM}$ API는 가상 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데이터 형식(2D, 2.5D depth(height field), 3D polygon 및 볼륨 데이터)에 대한 햅틱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새로운 햅틱 알고리즘 및 장치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확장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햅틱 응용분야를 개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아울러 햅틱 감각의 중요 요소인 역감 및 촉감 상호작용을 위해 기존의 햅틱 SDK 및 API와 달리 역/촉감을 동시에 렌더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햅틱 API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응용분야의 예를 구현하였다. 새로운 햅틱 API인 K-Touch는 사용자 및 연구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햅틱 연구를 진행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툴킷(Toolkit)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PGA를 위한 분석적 배치에서 사전 패킹, 조기 배치 고정 및 밀도 분석 다층화 (Pre-Packing, Early Fixation, and Multi-Layer Density Analysis in Analytic Placement for FPGAs)

  • 김교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0호
    • /
    • pp.96-106
    • /
    • 2014
  • 기존 학계의 FPGA 툴 연구는 단순한 가상 아키텍처 모델 가정에 의존해 왔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분석적 배치 및 배치 적법화의 기본 알고리즘들을 상용 FPGA의 아키텍처에 적용하는 실제 상황에서 발생되는 이슈들을 도출하여 대안을 제시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코어 사용률이 낮은 FPGA에서 배치된 셀들의 무게 중심이 칩 중심에서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변위를 최소화하는 함수를 분석적 배치의 목적 함수에 추가하였다. 또한 배치 밀도 평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셀 종류별로 별도의 밀도 행렬을 사용하는 다층 분석, 그리고 자원이 매우 한정된 블록의 조기 고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밖에, 슬라이스 내에서 두 개의 플립플롭이 제어 핀들을 공유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플립플롭 사전 패킹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상용 FPGA 아키텍처를 정확하게 모델링하고 수정 개선할 수 있는 K-FPGA 패브릭 평가 툴킷을 근간으로 구현되었으며 12개의 실용 예제에 적용하여 기존 방식에 비해 평균적으로 배선길이 22%, 슬라이스 사용량 5%를 감축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신규 FPGA 아키텍처 개발을 위한 최적화 CAD 툴 개발 연구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WAP 게이트웨이용 WML 컴파일러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ML Compiler for WAP Gateway for Wireless Internet Services)

  • 최은정;한동원;임경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7권2호
    • /
    • pp.165-182
    • /
    • 2001
  • 무선 마크업 언어(Wireless Markup Language) 컴파일러는 텍스트로 구성된 문서를 바이너리 문서로 변환, 압축함으로써, 낮은 대역폭을 갖는 무선 선로에서 트래픽을 감소시키며, 낮은 성능을 갖고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브라우징 처리를 간단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변환 과정에서 확장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well-formedness와 validation 과정을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서 문서처리 부담을 대폭 경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무선 마크업 언어 컴파일러는 어휘분석기 모듈과 파서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데, 파서 모듈은 파서 생성기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이는 향후 응용 수준에서 보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태그를 확장하거나 무선 마크업 언어의 버전이 업그레이드 될 때에서 변경된 부분에 해당하는 문법만 다시 설계함을써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사용된 문법은 LALR(1) context-free 문법으로서, 확장 마크업 언어 1.0과 무선 마크업 언어 1.2의 문서 형태 정의(Document Type Definition)를 기반으로 무선 응용 프로토콜 바이너리 확장 마크업 언어(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inary XML) 문법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구현된 컴파일러의 기능을 실험하여 데모하기 위하여 세 가지 방법(수작업, WML 디컴파일러, 노키아 WAP 툴킷)을 사용하였으며, 다양한 태그 조합을 갖는 임의의 130여 개 문서에 대해 실험한 결과, 최대 85%의 압축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태그나 속성에 비해 일반 문자열 데이타가 많아지면 상대적으로 압축효과가 감소되므로, 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로부터 무선 마크업 언어 문서로 자동 변환된 텍스트를 인코딩하는 경우와 같이 특정한 응용 분야에서는 일반 문자열에 대한 확장 인코딩 기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 PDF

웹서비스 기반의 Grid-PACS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 (Interoperability Framework between GRID and PACS based on Web Services)

  • 이봉환;조현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799-1808
    • /
    • 2010
  • 최근 증가하는 협업 연구는 원격 의료 데이터 공유 및 외부 기관의 데이터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융통성 있고 효율적인 의료 데이터 관리를 위해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그리드와 PACS 간의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DICOM 표준은 PACS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 의료 이미지 데이터의 교환과 전송을 정의한다. 그러나 병원들 간 의료 데이터 교환은 신뢰할 수 있는 기관들 사이에서만 제공된다. 더군다나 DICOM은 의료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그리드 미들웨어는 DICOM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표준 툴킷을 제공하고 있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PACS 간의 연동과 의료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웹 서비스기반의 그리드 서비스 중계자(Web Services-based Grid Service Mediator, WGSM)를 개발하였다. WGSM은 압축 중계자, GridFTP 중계자, RFT 중계자, MyProxy 중계자, MDS 중계자, RLS 중계자 등으로 구성된다. 제안한 웹서비스 기반의 프레임워크는 협업 환경에서 PACS 간 사용자 인증 및 안전한 데이터 접근을 제공한다. 특히, WGSM은 일반 사용자들이 그리드 미들웨어에 대한 어떠한 지식이 없어도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원격 PACS를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양성자에 대한 금 나노입자의 밀도에 따른 흡수 에너지의 몬테카를로 전산모사 (Monte Carlo Simulation of Absorbed Energy by Gold Nano-Particles for Proton)

  • 천권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24
  • 양성자 치료는 브래그 피크로 인해 우수한 치료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양성자의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금 나노입자를 종양에 분포시켜 흡수선량을 높이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마이크로미터와 나노미터 범위에서 금 나노입자를 다루었던 것을 밀리미터 범위에서 금 나노입자를 전산모사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산모사를 위해 Geant4 툴킷을 사용하였다. 인체와 유사한 물과 금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밀도비를 통해 금 나노입자의 개수 또는 농도를 조절하였다. 브래그 피크 위치에서 밀도비가 5%일 때 금 나노입자로 인해 순수 물 팬텀에 비해 흡수 에너지의 이득이 거의 2배로 나타났다. 밀도비가 증가할수록 흡수 에너지의 이득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브래그 피크 위치에서 금 나노입자가 하나의 복셀에만 분포하고 있을 때 양성자의 에너지는 자신 주변의 복셀에만 영향을 미치지만, 넓은 영역에 금 나노입자가 분포하는 경우 순수 물 팬텀에서 최고 흡수 에너지 (9.95 keV)의 95% 흡수 에너지 (9.46 keV)를 나타내는 부피는 16배 큰 영역에서 흡수 에너지의 이득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 영역은 밀도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밀리미터 범위에서 금 나노입자의 밀도비와 RBE의 관계를 정량화하는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