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투수량 증대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수압파쇄기법에 의한 우물 산출성 증대효과 검증

  • 백건하;김형수;윤윤영;전재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83-286
    • /
    • 2003
  • 국내의 12개소 저산출 우물을 대상으로, 외국의 유정들에서의 산출량 증대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있는 인공수압파쇄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성 증대 효과를 검증하였다. 12개소에 대하여 수압파쇄시험 전후로 양수 시험을 실시하여 투수성 증대 등의 효과와 비양수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비양수량의 경우 전체적으로 평균 약 45%의 증가하였으며 투수량계수 또한 약 26%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수압파쇄 방법이 대수층내 열극의 생성 혹은 확장 및 균열내의 막힘(clog) 물질 제거를 통해 투수성을 상당히 개선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현재까지의 시험 결과, 퇴적암류 지역에서 보다 화성암류 지역에서의 시험 결과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화성암 지역에서 개발된 홍천에서의 사례를 볼 때, 고압의 주입을 통하여 상부 및 하부의 파쇄대가 확장 연결되고, 이들 파쇄 열극에 부착된 광물학적, 생물학적 막힘 물질이 제거되면서 산출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균열 대수층의 정호 함양 시험

  • 석희준;김형수;백건하;정수은;김진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43-446
    • /
    • 2004
  • 이동장수 먹는샘물 공장부지내에 파쇄대에 위치한 관정에서 인공수압파쇄 및 인공함양 시험을 실시하여 대수성 산출 증대효과와 저장 증대효과를 살펴보았다. 인공수압파쇄 시험은 두개의 관정(MW-2, O-7)에 실시하였고, 마찬가지로 인공함양 시험도 다른 두개의 관정(O-7a, MW-7)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또한 대수성 산출능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인공수압파쇄 및 인공함양시험 전후에 각각 양수 시험을 실시하여 비양수량, 투수계수, 및 수위강하를 구하였다. 따라서 사전 사후 대수성 시험 비교 결과 인공수압파쇄 시험에서는 평균적으로 약 367 %의 투수계수의 증가율과 271 %의 비양수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마찬가지로 인공함양 시험 결과 O-7a는 약 110%의 투수계수의 증가와 약 75%의 비양수량의 증가를 보였다. 반면에 MW-7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인공함양시험은 인공수압파쇄시험보다 낮은 투수계수 증가율을 보이거나 거의 변화를 일으키지 못했지만 주변에 있는 관정에 주입압과 비슷한 양상를 갖는 수위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아서 함양된 주입수가 주변의 대수층에 널리 퍼져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Previous road type GI/LID demonstration test facility design and construction (투수 도로형 GI/LID 실증실험시설 설계 및 구축)

  • Park, Jae Rock;Kim, Gun;Lee, Jae Hyeok;Shin, Hyu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1-171
    • /
    • 2016
  • 최근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지표의 불투수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강우의 지표면 유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강수 시 첨두유출 시간이 감소하고 단기간 집중유출이 증대되어 폭우로 인한 도시 홍수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위한 그린인프라(GI, Green Infrastructure) 및 저영향개발기법(LID, Low Impact Developpment)이 국내에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투수성 포장의 물순환 성능 평가 및 설계 방법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며, 많은 경우 투수성 포장의 적용은 유출저감효과에 대한 정량적 해석 없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남 양산시 부산대학교 제 2 캠퍼스에 있는 "한국형 GI&LID 실증실험단지"에 투수 도로형 실증실험시설을 구축하였다. 실험 시설은 불투수 아스팔트와 투수 아스팔트, 불투수 콘크리트와 투수 콘크리트 비교실험 할 수 있으며 도로표면 유출수 및 침투수에 대한 유량 및 수질 측정 모니터링을 통해 침투효과 및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차후 투수성 포장의 클로깅 현상으로 인한 투수성능의 감소 등 여러 가지 실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WEPP's Parameters in Burnt Mountains (산불지역의 WEPP 매개변수 추정)

  • Park, Sang-Deo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6
    • /
    • pp.565-574
    • /
    • 2008
  • Fire-enhanced soil hydrophobicity often increases runoff and erosion in the mountain hillslope following severe wildfires. Estimation techniques for WEPP's parameters were studied in burnt mountain slopes. In burnt mountain slopes, the model over-predicted runoff in the small runoff and under-predicted runoff in the great runoff, and in the lower sediment runoff it had a tendency to over-predict soil loss. The effective hydraulic conductivity was most sensitive in the WEPP's runoff and its sediment runoff was mainly effected by the effective hydraulic conductivity, initial saturation, rill erodibility, and interrill erodibility.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WEPP, the adjustment coefficient of effective hydraulic conductivity was defined for runoff and the adjustment coefficient of rill erodibility and interrill erodibility was presented for sediment runoff. The adjustment coefficient of effective hydraulic conductivity in wildfire mountain slopes increased with maximum rainfall intensity of single storm and the vegetation height index. The adjustment coefficients of rill erodibility depended on soil components of size distribution curve and total rainfall depths in single storm. The adjustment coefficients of interrill erodibility decreased with increases of maximum rainfall intensity and vegetation height index. These results may be used in the application of WEPP model for wildfire mountain slopes.

Permeability Effect of Decomposed Granite Soil under the Influence of Crushability and Compaction Energy (화강풍화토(花崗風化土)의 파쇄(破碎) 및 다짐에너지가 투수성(透水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 Lee, Hyoung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 no.3
    • /
    • pp.107-116
    • /
    • 1983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permeability through a decomposed granite soil layer which is influnced by change of grain sizes and crushed soils made by varied compaction energy.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crushed soils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ratio of surface area ($S_w{^{\prime}}/S_w $).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obtain the relationships of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K) versus the optimum moisture content($w_{opt}$) by the variable head permeability test with the samples that were preapared by compaction test. The results are found as follows; (1) By the change in compaction energy, the crush ratio increased whereas the void ratio decreased with a larger maximum dry density running in parallel with the zero air void curve. (2) The ratio of surface area was $0.33(P)^{0.96}$ in $S_w{^{\prime}}/S_w $ with no relation to the compaction energy. (3) The grain size which produced the largest crush of soil particles ranged from 0.5 to 1 millimetre (4) The relationship of K versus $e^3$/1+e appeared as a straight line on the full-log-scale paper under the optimum moisture state. (5) As the compaction energy was larger, the passing percentage of #200-sieve grains increased linearly. The increment in the surface area ratio was deem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decreased in the permeability.

  • PDF

Analysis of Reduction Efficiency of Storm water and Pollutant in Filter Type and Clearance Type Permeable Blocks (침투형 및 틈새형 투수블럭에서의 빗물유출 및 오염물질 저감효율 분석)

  • Gil, Kyungik;Lee, Da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0-210
    • /
    • 2020
  • LID (Low Impact Development, 저영향개발)는 산업화 및 도시화 진행 지역에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어해 개발지역 내 자연순화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물순환 기능증대를 통해 강우 유출수를 지역 내에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점오염원 저감 LID 시설에는 자연형과 장치형 시설이 있다. 자연형 시설에는 저류형, 침투, 식생형 시설 등이 있다. 특히, 침투시설에는 대표적으로 투수블럭이 있으며, 이는 투수성 포장재를 통해 강우 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여과나 흡착 등으로 비점오염물질을 제어하는 시설이다. 장치형 시설로는 여과재나 망을 이용해 비점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여과형 및 스크린형 시설, 응집과 침전을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응집·침전 시설 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8년 3년간 전주 서곡지구 지역 내 설치된 필터형 투수블럭, 틈새형 투수블럭에서 진행했다. 각각의 투수블럭에서 총 19회, 20회의 강우 모니터링을 실시했고, 오염물질 유입 및 유출 EMC 등의 분석을 통해 유출 및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했다. 연구 대상 각 투수블럭의 주요 제원은 시설 용량 14.4㎥, 시설 면적은 14.4㎡이다. 모니터링 결과값을 분석한 결과 필터형 투수블럭의 경우 유출 저감율은 17.4 ~ 100%, 틈새형 투수블럭은 29.6 ~ 100%이었다. 필터형 투수블럭과 틈새형 투수블럭의 단위면적당 유량 저감량은 각각 0.014 ~ 0.583㎥/㎡, 0.035 ~ 0.588㎥/㎡이었다.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 항목(BOD, TOC)의 경우 틈새형 투수블럭에서의 저감효율(BOD 93.59%, TOC 90.39%)이 필터형 투수블럭에서의 저감효율(BOD 89.99%, TOC 86.94%)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영양염류 항목(T-N, T-P)의 경우 필터형, 틈새형 모두 비슷한 저감효율(필터형 T-N 89.02%, 필터형 T-P 98.12%, 틈새형 T-N 90.41%, 틈새형 T-P 98.04%)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Pneumatic-Fracturing for Development of Groundwater in Rock Mass (공압파쇄를 이용한 지하수량 증가에 대한 연구)

  • 김종태;정교철;부성안;김진성;김혜빈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4 no.2
    • /
    • pp.189-197
    • /
    • 2004
  • For a long time, groundwater has been used for a substitution for surface water but recently many problems have risen due to shortage of water resources and decrepitude of waterwells. Pneumatic fracturing technique is likely to be an efficient way to solve the problem of tile wells, in which pressure under the ground is applied to increase the amount of ground water. When applied pressure is given artificially to unstabilize the rock stress or to remove substances between fractures the groundwater can inflow. As the air pressure applied on the base rocks is stronger, permeability is getting higher, thus producing much groundwater than ever b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15% increase of pumping rate in the P-5 well. After pneumatic fracturing pumping rate changed from 26m3/day to 30m3/day, drawdown rate increase from 51.12m to 56.58m, and specific yield also increased from 0.51m3/day to 0.53m3/day.

Applic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in Flooding Areas (침수위험지역의 저영향개발기법 적용)

  • Woo, Won Hee;Lee, hanyong;Park, Youn 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9-189
    • /
    • 2019
  •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패턴의 변화로 불투수면적이 증가하여 빗물의 침투량이 감소하고, 유출량은 증가하는 등 집중호우시 침수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오염원의 증가로 수질오염과 지하수고갈에 따른 건천화 등 부정적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물순환 체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의 홍수 및 가뭄이 극심해지고 시민의 삶의 질도 위협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적으로 도시화 및 불투수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집중호우의 발생빈도 또한 높아 심각한 수자원 물재와 홍수피해위험이 높다. 이에 도시의 물환경 변화 및 왜곡된 물순환 체계를 지속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환경부 및 국토부 등 정부기관에서는 물환경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저영향개발 기술요소를 도입하고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지역의 저영향개발기법을 도입하여 유출저감 효과를 모의하고, 경제성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지구이며, 면적 364.2ha, 투수층면적 160.7ha, 불투수층면적 203.5ha로 불투수율은 55.90%로 산정되었다. 대상지역인 안동지구 우수관로현황 조사결과 (30년빈도 강우강도 적용) 관로의 통수능 검토시 전체관로 26.97km 중 통수능 부족관로는 15.60km로 전체대비 약 57.8%로 나타났다. 안동지구 내 우수관거는 간선관로의 경우 10년빈도, 지선관로의 경우 5년빈도로 설계, 시공되어 있으므로 각종 공단이 입지한 시가지인 안동지구는 도로포장등으로 인해 불투수층이 대부분을 차지해, 강우시 도로표면 유출수의 증대로 침수피해가 가중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하여 맨홀로 유입되는 직접유출(DCIA, 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를 줄이고, 유지관리 등을 고려하여 경제성을 평가하여 향후 침수위험지구 관거개량시 저영향개발기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Improvement of Sand Dam Design for Safety and Increased Water Storage (안전과 저수량 증대 측면의 샌드댐 설계 개선 방안)

  • Seo, Dong Gun;Suh, Jong Won;Chae, Jeong Uk;Kim, Sung Jun;Yun, Tae Sup;Chung, Il-M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0 no.3
    • /
    • pp.279-288
    • /
    • 2020
  • Sand dams are formed by installing beams across rivers and filling the secured space with water and a permeable material, such as sand, which stores the water in available pore space. These structures have mainly been reported in Kenya, Africa. This study proposes a sand dam design that improves structural safety and water intake. First,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concrete wall of the dam, steel barbed wire connections are proposed for construction. Second, by using geotextile fabrics, evaporation may be reduced from 45% to 8%, and horizontal permeable discharge could be reduced markedly, therefore improving water storage capabilities. In addition, the water intake increased by ~2.4 times that of the previous design. Third, filt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selecting a sedimentary site for improved water quality. Finally, the installation of a tensiometer is suggested for monitoring the sand dam.

An Experimental Study on Estimate of the Optimal Grout Injection Ratio for Stabilization of Mudstone fill (이암 성토지반의 안정화를 위한 최적주입률 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Jungsang;Lee, Seungjun;Kim, Yunjoong;Kim, Taesoo;Do, Jongnam;Chun, B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3 no.7
    • /
    • pp.31-38
    • /
    • 2012
  • Water glass chemical grouts are primarily used in ground injection projects. Natural and Durable Stabilizer (NDS), Space Grout Rocket (SGR), and other similar materials composing of inorganic accelerating agents with ultra fine cement have been gaining popularity as ground improvement material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are questions as to grouting results and environmental issues caused by NDS grout. This study uses the injection method in mudstone embarkment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strength, permeability, and optimum injection volume through the use of uniaxial and triaxial compression tests and fish poison tests for NDS and SGR materials. After 28 days, results showed SGR and NDS to have a 50% increase in strength and 50% decrease in permeability with the proper injection rate at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