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투명디스플레이

Search Result 30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echnical Trends and Prospects in Transparent Display (투명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및 전망)

  • Hwang, C.S.;KoPark, S.H.;Cho, K.I.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5
    • /
    • pp.20-32
    • /
    • 2010
  • 정보 디스플레이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양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 투명디스플레이는 정보를 배경과 같이 보여줄 수 있는 독특한 장점 때문에 주목을 받아왔지만 기술적인 한계로 대중화되지 못했다. 최근에는 AMOLED의 개발에 따라 투명디스플레이가 투명 AMOLED의 형태로 대중화될 기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투명 AMOLED는 AMOLED의 개발에 따라 기술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투명 AMOLED가 가지는 투과도 개선, 시인성 확보 등 여러 기술적인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개발을 통해 투명디스플레이가 대중화되면 증강현실 등의 콘텐츠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Research on Transparent LED Display with Use of Metal Mesh (메탈메쉬를 활용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 Hwang, In-Kwan;Roh, Su-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0
    • /
    • pp.10-17
    • /
    • 2015
  • Transparent LED display is providing city residents with different attractions via information services and landscape and increasing demand is detected in various areas. It is true that majority of the current demand in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was found and used in ITO but limitations in capacity and economic efficiency led to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via new materials. As a new material, metal mesh has 85% of the materials to substitute ITO and is widely used due to low-cost and high-conductive rate. Maintenance of transparent LED display utilizing metal mesh compared to existing ITO transparent display is much easier as it not only saves resources but is also economical. Thu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lies in proposing the utilization of metal mesh in transparent LED display prototype to enable economical use of transparent LED display technology and to expand the market and to also propose transparent LED display development method via metal mesh and manufacture a prototype based on the method. And a characteristic comparison test between ITO and metal mesh provides the possibility of using metal mesh as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in transparent LED display development.

산화물 반도체 TFT를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

  • Hwang, Chi-Seon;Park, Sang-Hui;Jeong, U-Seok;Byeon, Chun-Won;Yu, Min-Gi;Jeong, Seung-Muk;Jo, Du-Hui;Yun, Seong-Min;Yang, Sin-Hyeok;Jo, Gyeo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8-48
    • /
    • 2010
  •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TFT는 비교적 우수한 특성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와 공정으로 양산성 확보에 유리한 측면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TFT-LCD의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a-Si;H TFT에 비하여 10배이상 우수한 이동도를 가진 산화물 TFT를 이용하여 고속동작 패널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AMOLED의 경우에는 poly-Si TFT에 비하여 대면적 공정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산화물 반도체 TFT를 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소자 안정성을 좀더 확보해야 하는 숙제가 남아있다. 한편, 산화물 반도체 TFT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특성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투명 AMOLED)를 개발하는 경우 투과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주로 투사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되었지만, 최근 AMOLED를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 시제품이 시연되고 있다. 투명한 AMOLED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OLED뿐만 아니라 백플레인에서의 투과도 증대를 위하여 해결해야할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표에서는 산화물 TFT에서의 최근 이슈에 대해 살펴보고, 투명 디스플레이에의 적용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문제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튜명전자소자와 TCO 기술

  • Jeong, 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7-7
    • /
    • 2010
  • 튜명전극소재의 개발로 21세기에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응용제품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특히, 광학적, 전기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디스플레이, 터치패널 및 솔라셀 등에서 투명전극의 역할은 절대적이다. 한편, 최근에 투명전극소지에 이어 투명산화물반도체 소재가 디스플레이구동소자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즉, 산화물반도체 기반의 트랜지스터는 TFT-LCD의 대형화 및 고속화, AMOLED의 고집적화를 비롯하여, 저온 공정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구동소자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Tutorial에서는 ETRI에서 개발해온 투명 산화물 전자소자와 그와 관련된 TCO 기술을 집중적으로 다룰 것이다.

  • PDF

Transparent Tablet System Analysis (투명 태블릿 시스템 분석)

  • Kim, HanHo;Park, CheonGyeong;Park, YeonJi;Lee, UiJae;Choi, Jong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21-222
    • /
    • 2015
  • 미래의 핵심진화 방향으로 플렉시블 (flexible)화와 투명(transparent)화가 회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란 영상이 Off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소자가 인지 가능한 수준의 투과도를 가지며 영상이 On상태에서도 투과도가 일부 유지되는 디스플레이를 통칭한다. 본 장에서는 투명디스플레이 배경연구에 대한 내용과 투명태블릿(Transparent Tablet)개발 및 응용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분석 내용을 소개한다.

  • PDF

플렉서블 투명 전극 기술 동향

  • Lee, Jae-Hyeo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0 no.2
    • /
    • pp.27-32
    • /
    • 2015
  •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는 차세대 정보표시 소자의 가장 핵심적인 산업분야로 많은 연구와 기술개발결과들을 바탕으로 현재 핸드폰 등의 소형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성공적인 시장 진입은 새로운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과 신개발 재료들을 기반으로 달성할 수 있었다. 저자는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원리 및 개발 역사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인 플렉서블 투명전극 형성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Technical Trends of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s (투명전자소자의 기술 동향)

  • Hwang, C.S.;Chu, H.Y.;Chun, H.S.;Cho, K.I.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5
    • /
    • pp.46-56
    • /
    • 2007
  • 투명전자소자는 투명한 특성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자기기가 가지고 있는 공간적/시각적 제약을 해소하려는 목적을 가진 소자이며 투명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한다. 투명 트랜지스터는 투명반도체(주로 산화물), 투명절연체, 투명전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와 투명 OLED를 결합한 투명디스플레이에 정보 인식/정보 처리 기능이 추가로 구현되어 있는 공간 임베디드 정보 단말기를 스마트 창이라고 부른다. 투명전자소자는 초기에는 투명하지 않은 형태의 산화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분야에 주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고 2010년 이후에 투명 IC, 스마트 창 형태의 신규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투명전자소자 분야는 세계적으로 개발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원천 특허 확보 등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Analysis on Patent Trends for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s (투명전자소자 분야의 특허 동향 분석)

  • Lee, B.N.;Park, W.;Hwang, C.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1
    • /
    • pp.124-131
    • /
    • 2010
  • 지속적인 발전을 해 온 디스플레이 시장은 LCD 시장이 주도하고 있으며, LCD는 2006년 600억 달러에서 2009년에는 62% 성장한 약 980억 달러의 시장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분야 중에서 최근에 각광받는 투명전자소자 관련 분야는 투명반도체, 투명전극, 투명유전체를 기반으로 제조된 전자소자에 관한 기술 분야이며, 투명전자소자는 정보인식, 정보처리, 정보표시의 기능을 투명한 전자기기로 구현함으로써 기존 전자기기의 공간적/시각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투명전자소자는 u-IT 스마트 창에 사용될 수 있으며 스마트 창은 스마트 홈이나 스마트 자동차용 창으로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투명전자소자를 이용한 스마트 창, 스마트 쇼 윈도, 투명 내비게이터 등 투명 IT 전자기기는 2010년부터 시장을 형성해 2015년에 200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투명전자소자 분야에 대한 시장 동향과 전세계 특허 동향을 심층 분석해보고, 아울러 미국에 출원된 특허를 대상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국제경쟁력을 분석하여 향후 투명전자소자 분야의 연구개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PET에 증착된 Al:ZnO 투명발열체 박막

  • 한길진;김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5.09a
    • /
    • pp.133-136
    • /
    • 2005
  • 스퍼터링 공정으로 Al이 $2\%$ 함유된 ZnO 박막을 PET에 증착하여 김서림 제거용 투명발열체를 제작하였다. 증착된 투명발열체는 $5\;{\times}\;10^{-3}{\Omega}\;cm$ 의 비저항과 $80\%$ 이상의 가시광 투과도를 나타내었고, 조도는 12.5nm로 양호하였다. 투명발열체의 비저항, 가시광 투과도, 그리고 조도는 각각 Hall 계수 측정장비, IR-VIS-UV spectrophotometer, 그리고 AF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증착된 투명발열체에 12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표면의 온도는 평균적으로 1분에 약 $10^{\circ}C$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