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환경의 변화

Search Result 84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ime-series Analysis of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Measurement Data (항공사진과 기준목 측정자료를 이용한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시계열 변화 분석)

  • KIM, Jang-soo;JANG, Dong-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2
    • /
    • pp.39-51
    • /
    • 2011
  • In this study, the shape of the Baramarae beach, Anmyeondo Area in West Coast of Korea and the changes in the sedimentation and erosion environment were analyzed in time series. As a resul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of the shape of the Baramarae beach using aerial photographs from 1967 to 2009, the sand spit that developed in the southern part of Halmi Island was found to have had an EEN direction, but it was changed to a NNS direction, as reflected in the 2009 aerial photographs, as it gradually shifted to the west. In the onsite measurement, the H-3, H-4, H-5, and H-6 spots showed a superior sedimentation environment and the H-7, H-8, and H-9 spots showed a superior erosion environment. It was thus found that sedimentation is superior in the southwest beach and that erosion is superior in the northeast beach. The results in the spots between H-3 and H-6 indicate that the sand in the beach could not move to the northeast beach of Halmi Island due to the bank that had been established in the southwest beach of the island. On the other hand, it seems that superior erosion takes place in spots H-7 to H-9 in the northeast beach, where sand is not provided from the southwest beach of Halmi Island. It was found from the seasonal analysis that the season when superior sedimentation takes place in all the spots is autumn, and that the season when superior erosion takes place is summer. Superior sedimentation takes place in winter and spring in the southeast side and in summer in the northwest side.

동굴의 환경파괴와 안전진단

  • 유재신;김추윤;최홍식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16
    • /
    • pp.89-98
    • /
    • 1987
  • 동굴은 관광개발과 동시에 그 환경은 점차 파괴오손되는 것이 당연하다. 관광개발의 시설 때문에 오는 경관의 훼손은 물론이고 그 밖에 입형객에 의한 이른바 오손공해는 우리들이 잘 아는 바이다. 그리고 조명시설에 의한 광도 때문에 나타나는 녹색공해를 비롯한 흑색공해등은 역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며 이밖에 대기질 변화, 건화현상등에 유래되는 백색공해인 박리작용에 의한 퇴적물 오손 등은 참으로 개발에 따른 환경파괴와 오손현상 이라 하겠다.(중략)

  • PDF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 Distribution and Transport Pattern Offshore Haeundae Beach Area (해운대 연안 표층퇴적물 분포의 계절변화와 이동)

  • Kim, Seok-Yun;Jeong, Joo-Bong;Lee, Byoung-Kwa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7 no.1
    • /
    • pp.16-24
    • /
    • 2012
  • To study the seasonal pattern of sediment distribution and the transport tendency in Haeundae nearshore area; i) the grain size texture of surface sediment was examined in June, October, and December of 2007, and March and June of 2008, and secondary, ii) the transport tendency was studied by using a two-dimensional sediment transport model of Gao and Collins (1992), and finally, iii) the bathymetric chang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data collected in February, May, August, and December of 2007 by Haeundae District Office.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texture, the tendency of sediment transport as well as the bathymetric change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From June to December of 2007, the eastern part of the Haeundae area, off Dalmaji Hill showed the coarsening of mean grain size with a prominent transport tendency toward the Haeundae beach. On the contrary, the western part of the area, off Dongbaek Island showed a fining trend of mean grain size, and the transport tendency toward the beach was relatively weakened. From December of 2007 to June of 2008, the mean grain size of Mipo Harbor became finer, and the transport tendency toward the central beach decreased. The mean grain size of Dongbaek Island became coarser, while the tendency increased in the direction of the beach. The areas of significant net accumulation and erosion were depicted based on the bathymetric changes between observation periods.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to May of 2007, net accumulation was observed on the eastern part of the study area, in front of Mipo Harbor. Erosion was generally occurred throughout the area from May to August of 2007. From August to December of 2007, erosion and accumulation was observed off Mipo Harbor and Dongbaek Island, respectively. The change of sediment facies also suggests the accumulation on the eastern coast during the spring, erosion around the entire coast during the summer, and accumulation on the western coast during the winter. The changes in the accumulation and erosion were most apparent during the summer when several typhoons have passed by, while unnoticeable during the spring.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variation by the stream bed materials (하상재료에 의한 수질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Hong, Il;Lee, J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93-1097
    • /
    • 2006
  • 하천수계는 여러 인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변화하게 되며, 하천 자정능력에 관한 연구는 이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여러 환경 요인 중 하상재료는 하천의 조도와 수생태계의 특성을 변화시키게 되며, 유입수의 성상에 따라 수저퇴적물이 쌓이거나, 생물막이 형성되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하천의 폭이 좁고 수심이 얕은 개울에서는 하상 퇴적물이 수질에 기여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하천의 경우 하상재료가 주로 모래와 자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수심이 낮아 빛의 투과성이 양호하여 부착조류의 증식 및 하상재료(모래 및 자갈 등)를 기질로 한 생물막 형성 등 하상재료는 하천환경의 변화 및 수질변화가 일어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하상재료가 설치된 수로를 이용하여 이화학적요소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하상재료를 통한 수질변화 특성을 비교.검토 하였다. 그 결과 하상재료의 입경이 클수록 DO 변화가 더 큰 폭으로 증가 하였으며, 수위와 유속의 경우 수위가 낮으면서 유속이 적정수준일 경우 DO 증가가 나타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하천수가 수로에 의해 순환되면서 유기물 저감속도의 측정결과 초기 흡착, 침전 등의 물리적 작용이 부착조류 증식 등의 생물학적 작용보다 우선되면서 입자성 유기탄소(POC)의 제거속도가 용존성 유기탄소(DOC) 의 경우보다 더 빠르고 우선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양염류의 경우 부착성조류에 의한 질소 제거능은 실제 질산화작용은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탈질작용에 의한 총질소의 제거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인은 입자성유기탄소가 제거되는 것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 제거 기작이 대부분 흡착, 침전에 의한 물리적 자정 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하상재료 입경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 특성은 기질(하상재료)의 입경이 작을수록 오염물질의 분해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여러 하천환경 요인 중 하상재료에 의한 하천환경의 다양한 변화는 수질변화 및 자정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 PDF

Distribution of Sedimentation Environments and Benthic Macro-fauna Communities in Habitats and Non-habitats of Zostera marina on the Yeongheung-do Tidal Flats, West Coast of Korea (한국의 서해안 영흥도 조간대의 거머리말(Zostera marina) 서식지와 비서식지에서 퇴적환경과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

  • Bae, Jong Il;Shin, Hyen Chul;Hwang, Sung Il;Lee, Jeng 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6 no.2
    • /
    • pp.107-116
    • /
    • 2018
  •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sedimentary environment and benthic macro-fauna in habitats and non-habitats of Zostera marina were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about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nd benthic macro-fauna in the habitats and non-habitats of Z. marina. Sand was dominant within habitat environments, whereas the non-habitats were predominantly composed of silt. As a result, the habitats of Z. marina have a different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 content compared to the non-habitats. These differences i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were expected to influence the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animals. Benthic communities in the habitats of Z. marina showed a higher density and a greater number of species than in the non-habitats. As a result of an ecological index evaluation, the species diversity index (H') was $3.44{\pm}0.10$ for the habitat; the non-habitat was analyzed as $2.34{\pm}0.35$.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ability of community in the habitat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non-habitats. The cluster analysis also clearly showed that habitats and non-habitats of Z. marina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Occurrenc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perite in Mt. Juwang, Cheongsong (청송 주왕산 페퍼라이트의 산출상태 및 형태학적 특징)

  • Woo, Hyeon Dong;Jang, Yun Deu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7 no.2
    • /
    • pp.97-105
    • /
    • 2014
  • Peperite exposed along the Dajeonsa basalt in Mt.Juwang, Cheongsong emerged as a consequence of the simultaneity of volcano-sedimentary sequence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peperites a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er the formation process by the field investigation, image analysis, X-Ray Diffractometer and polarization microscope for the magma-sediment interaction mechanism and paleo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field investigation globular(fluidal) peperite is the representative feature at the bottom of Dajeonsa basalt, sub-angular peperite at the middle and irregular peperite at the top. Peperite domains range from sheet and pod or feeder conduit. Although the study that the morphologies of peperite are controled by the sorts of sediment and lava or magma has tended to center around the peperite, the study addresses not single mechanism but the multi-stage mechanism because Mt.juwang peperite, under the same conditions, varies in shapes and sizes and also the ratio of sediments that show the most change of the peperite affects to the formation of peperite.

Evaluation of the Water Quality Impact of Bibong Mountain Forest Basin for Forest Fire Damage (산불로 인해 훼손된 비봉산 산림유역의 수질 영향 평가)

  • Sung Hoon Ahn;Ui Seok Kim;Yong Bin An;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16-416
    • /
    • 2023
  • 전 국토의 산지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는 산림지의 특성이 수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림지역의 화재에 있어 산림이 갖는 수질, 토성의 변화와 발생한 연소 퇴적물, 유기물로 인해 수자원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산불은 단순한 산림지의 자원 유실뿐만 아니라 토양층의 물리적약화와 강수저류 효과를 떨어뜨려, 산불 후 유출의 증가를 보인다. 삼척시의 산불 선행연구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직후, 지역의 직접 유출이 기저 유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모든 수질인자의 평균 농도는 비발생지역에 비해 발생 지역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이 중 T-N, T-P, SS의 농도가 특히 크게 나타났다. 또한, 계류 수질의 경시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BOD와 COD는 산불 발생 최소 4개월의 기간을 거친 후 점차 안정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산불로 인해 훼손된 물 환경의 상황을 복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2년 4월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송청리 비봉산 일대의 산불 유역을 대상으로 산불에 따른 물 환경의 변화를 밝힘으로써 산불로 훼손된 지역의 효과적인 수질 회복과 물 환경 보전 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2023년 4월 양구 비봉산의 산불 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복구 전 현재 수질의 상황을 살펴봤다. 조사 지역은 비봉산 일대의 산불 지역과 비발생 지역, 오봉산 일대까지의 유역 출구 총 7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본 수질항목은 현장에서 YSI PROPLUS (Mobile Multi Sensor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채취한 시료는 무균 채수 병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여 SS (Suspended Solids), TP(Total Phosphorus), TOC (Total Organic Carbon) 항목에 대해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SS, TOC, t-p의 경우, 지정학적 특성, 산불에 의한 퇴적물들의 변화와 토양의 형태 및 식생의 변화로 인한 결과의 차이를 보였다. 1년이 지난 지금 산불 직후처럼 높은 수치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아직 복구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그 영향에 대해 무시할 정도로 안정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산불 발생 후 강우 및 토사유출에 대한 비 산불 지역과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수질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또한, 수처리 기술개발을 포함한 예방책을 만들어 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바란다.

  • PDF

Community dynamics of Salix species during the sedimentation in Paksil-nup Wetland, Hapcheon (합천 박실늪의 퇴적에 따른 버들류 (Salix sp.)의 군집 동태)

  • Kim, Cheol-Soo;Lee, Pal-Hong;Son, Sung-Gon;Oh, Kyung-H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 no.1
    • /
    • pp.19-29
    • /
    • 2000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re sediment, community dynamics of Salix species during the sedimentation were investigated in 1990~1997 for the purpose of inquiry to reveal the effects of terrestrialization on the environment and plant community in a natural wetland. The study site, Paksil-nup wetland was a valley blocked lake located near Hwang-River, Hapcheon-gun, Gyeongsangnam-do, Korea. The values of conductivity,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exchangeable K, and exchangeable Ca were higher, and pH was lower in the upper layer of the core sediment. Soil properties such as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Ca, exchangeable Na increased, and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exchangeable K decreased during the sedimentation. Salix nipponica was the dominant species, and Salix glandulosa was subdominant among 10 Salix species. Sahx species were supposed to be the pioneer plants in shrub and tree layers during the succession in Paksil-nup wetland. Age class of SaliX species community from the epilittoral zone to the infralittoral zone were low, and age of Saljx species distributed from 2 years to 11 years. DBH, height, mean number of branches, number of herb species, and light intensity were increased, whereas density was decreased from a lower age to a higher age community. Salix nipponica was superior than Sahx purpurea var. japonica and other Salix species during the interspecific competition among Salix species.

  • PDF

Estimation on the Variation of Marine Environment by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Dinoflagellate Cyst in the Vertical Sediments in Gmmak Bay, Korea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에 의한 한국 남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2. 가막만 주상퇴적물중 유기물 및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분포특성에 의한 해양환경변화 추정)

  • Park Jong Sick;Yoon Yang Ho;Noh Il Hy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7 no.4
    • /
    • pp.164-173
    • /
    • 2004
  • Field survey on the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y the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and organic matter was carried out bimonthly at 6 stations in Gamak Bay,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from June 2000 to April 2001. The rang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vertical sediments such as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s), total sulfide (H₂S),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particulate organic nitrogen (PON) and phaeopigment were 3.21∼11.18%. 12.25∼99.26 mgO₂/g dry, 2.49∼116.18 ㎍/g dry, 2.91∼116.18 mgC/g dry, 0.53∼2.82 mgN/g dry and 2.49∼116.18 ㎍/g dry, respectively. A total of 38 species dinoflageuate cysts belonged to 21 genera, 36 species, and 2 unidentified species. A cysts density were 18∼3,836 cysts/g dry. Vertic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dinoflagellate cysts was rapidly decreased from surface to deeper sediment. The eutrophication in the northwestern parts of Gamak Bay might originated since 1980s.

  • PDF

대학생들의 야외 지질 실습 전과 후의 퇴적층 형성의 이해도 변화 비교

  • O, Jin-Yeong;Jeong, Gong-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71-71
    • /
    • 2010
  • 대학생들의 야외 지질 실습 전과 후에 퇴적층 형성에 대한 이해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3학년 재학생 27명을 대상으로 3일 동안, 참여 학생들에게 매일 실습 전과 후로 나누어 6번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문항은 모두 주관식이며, 3일에 걸쳐 총 68문항을 제공하였다. 제시된 문항은 퇴적층 형성과 관련된 기본개념 31문항과 조사 지역의 노두관찰 37문항으로 분류 된다. 야외 실습 전과 후의 개인별 점수를 각각 비교한 결과 실습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실습 3일에 대한 전체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실습 전에 28.3점, 후에 51.6점으로 실습 전보다 후에 34.2% 향상되었다. 또한 전체 학생들의 기본개념 31문항에 대한 평균점수는 실습 전에 19.8점, 후에 26.9점으로 22.9%, 조사 지역 노두관찰 37문항에 대해서는 실습전에 8.5점, 후에 24.7점으로 43.8%가 각각 향상되었다. 퇴적층은 공간적으로 넓은 장소와 시간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에 걸쳐 형성되어 학생들은 광범위한 공간적, 시간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학의 지질학 교육 과정에서 야외실습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야외 실습은 학습자가 직접 자연과 같은 실제 세계를 관찰하고 조사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방법으로 교실 밖에서 일어나는 모든 학습을 총칭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야외 실습 후에 학생들의 점수가 향상된 것을 보여주었다. 이런 결과는 야외 실습이 야외에서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적극적인 참여로 학습하는 학생 중심 학습이고, 자연 환경을 학습의 장으로 하여 실물을 활용한 직접적인 조사활동과 같은 경험에 의한 체험 학습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야외 실습에서 그룹 활동은 학생들이 지질조사를 하면서 발견된 문제나 내용에 대해 공유할 수 있는 토론 학습인 동시에 야외 활동에서 교수는 전문가 혹은 학습 촉매자로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주거나 학생들에게 질문이나 토론의 기회를 주어 학생들의 지적, 정신적 향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야외 실습은 계획, 실행, 정리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우선 장소 선정에 있어 강의실에서 토론된 주제 및 개념과 관련된 장소를 선정해야 하며, 야외에서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수 간의 그룹 활동, 토의 및 질문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함은 물론 실습 후에는 세미나를 통해 야외 활동에서 새롭게 발견하거나 조사 및 학습한 내용, 해결하지 못한 문제 등을 토론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