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환경의 변화

Search Result 84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Liquefied Layer Activities Considering Erosion and Sedimentation of Debris Flow (토석류의 침식 및 퇴적을 고려한 유동층의 거동 분석)

  • Kim, Sungduk;Lee, Ho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4
    • /
    • pp.23-29
    • /
    • 2019
  • Heavy rainfall is in causing debris flow by recent climate change and causes much damage in the downstream. The debris flow from the mountainous area runs to the downstream, repeating sedimentation and erosion, and appears as a fluidized soil-water mixture. Continuity equation and momentum equation were applied to analyze the debris flow with strong mobility, and the sedimentation and erosion velocity with fine particle fractions were also applied.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havior of debris flow at the downstream end for the variation of the amount of sediments can occur in the upstream of the mountain. Analysis of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channel due to the variance of the length of pavement of the granulated soils resulted in the higher the supply flow discharge and the longer the length of pavement,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ediment concentration and the earlier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inflection 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good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erosion-sedimentation velocity rate which can detect erosion and sedimentation on steep slopes.

The Distribution of phosphorus in the Gomso Bay Tidal Flat (곰소만 조간대에서 인의 시공간적 분포)

  • 양재삼;김영태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7 no.3
    • /
    • pp.171-180
    • /
    • 2002
  •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phosphoru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Gomso Bay, Korea. TP, PIP, TOP and DIP in sediment were found 548.8mg P kg$^{-1}$ , 426.1mg P kg$^{-1}$ , 122.6mg P kg$^{-1}$ , and 0.217mg P kg$^{-1}$ , respectively with a decreasing order of PIP>TOP>DIP. Any temporal or spatial trend has not been found on the distribution of TP in the sediment, except the high TP values near the mouth of Julpo-chun. We found seasonal patterns high TOP(28.90% of TP) and low TIP(71.10% of TP) in August, but low TOP(15.63% of TP) and high TIP(84.38% of TP) in November. There were three times higher DIP concentration in August than in November. Such case is probably not only due to the enhanced supply of DIP directly from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from overlying water in summer, but also the released phosphate from the adsorbed particulate matter such as PIP under the low pH and Eh conditions at the subsurface layers of the sediment induced by the active microbial respiration of increased organic materials in summer. Primarily, the source of phosphorous from municipal sewage strongly influenced the early stage of the distribution of all the phosphorous in the Gomso tidal flat. Notwithstanding, through the processes of diagenesis in sediment, water temperature and organic contents probably functioned as the key parameters to control the temporal distributions of TOP, TIP and DIP in the Gomso tidal flat.

Surface sediment migration modelling construction using ArcGIS spatial analysis; Jungangcheontoe Sand Bar in Macrotidal Channel of outer Asan Bay, KOREA (ArcGIS 공간분석을 접목한 천해 퇴적물 이동 모델링 구축; 황해 아산만 중앙 천퇴 연구)

  • Park, S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77-278
    • /
    • 2010
  • 본 연구는 황해 아산만 중앙천퇴(Surface Sediment)에서 최근 대규모 방조제 건설과 연안 준설로 인해 야기된 해저지형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이러한 해저지형변화는 해도상의 수심정보를 왜곡시킴으로써 국제항을 출입하는 대형선박의 안전항해에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안전한 항해수로 확보 및 해양사고 저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본적인 중앙천퇴 지형변화의 원인, 해저지형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이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이다. 더 나아가 장 단기 해저지형변화 예측을 통해, 궁극적으로 항해 위험요소 저감 대책 및 정책 마련 시 과학적인 핵심기반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결국 GIS 기반의 해저지형 공간 분석을 토대로 기존의 미시적인 데이터에 의거한 퇴적환경 연구결과를 객관화하고 정량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도구로 활용할 것이다.

  • PDF

Modeling of Sedimentation and Vertical Dispersion of Coastal Sediment Particles Contaminated with PCBs (PCB로 오염된 연안 퇴적물 입자의 침강 및 연직확산 모델연구)

  • Lee Du G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 no.1
    • /
    • pp.39-46
    • /
    • 1998
  • This study presents a numerical model that can simulate change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 of PCB-contaminated coastal sediments. The developed model has one spatial dimension including sedimentation and vortical dispersion as well as coagulation. The reason for considering the vortical transport mechanisms is to calculate residence time of the particles. Using the model and Initial PSD data based on actual coastal sediments contaminated with PCBs, this study shows results of model simulations. Within 48 hours of the simulation time, the PSD changed significantly and the particles were removed from water in different rates between different particle sizes. It also shows that coagulation can act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The model may be useful in assessing the range of resuspended sediments that can pollute neighboring areas during environmental remediation projects such as dredging.

  • PDF

Researches on Tidal Flats in Korea (한국의 간석지 연구)

  • JANG, Dong-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4
    • /
    • pp.59-78
    • /
    • 2011
  • In this study, the tidal flat research history of South Korea was organized by type and period. South Korea's tidal flat research history was largely divided into four fields: sediment research of tidal flat, research using satellite imagery, research on the Quaternary environment change and tidal flats, and ecological research on tidal flats.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outh Korean tidal flat research history showed that tidal flats had been researched on sinc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most of the past studies were related to fisheries. Then, in the 1960s, the studies started to focus on the reclaimed land created through reclamation projects. The research on tidal flats from a geomorphological perspective fundamentally started in the 1970s, and the importance of tidal flats became more widely known in the 1980s. Most of the studies then were about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nd the form of landform, the ecosystem, and morphological changes. Since the 2000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satellite imagery data together with field surve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changes in the sedimentary facies of tidal flats, and i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There have been many academic studies on the geographic field of tidal flats, but the research performance on tidal flats in terms of geomorphology is still a blue ocean that has been touched by only a few. Therefore, it is hoped that various studies on Korean tidal flats will be conducted by geomorphologists in the future, and that such area will be established as an important field of study in geomorphology.

강원도 태백지역의 캄브리아기 세송층에서 나타나는 SPICE 구간에 관한 연구

  • Im, Jong-Nam;Jeong, Gong-Su;Park, Tae-Yun;Lee, Gwang-Si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20-20
    • /
    • 2010
  • 강원도 태백 지역에 위치한 조선누층군의 세송층을 대상으로 암상변화, 해수면 변화, 안정탄소동위원소 층서를 조사하였다. 세송층은 중기에서 후기 캄브리아기에 속하는 지층으로서 직동지역과 사군다리지역에서 조사하였다. 직동지역의 세송층은 수평층리 이회암상, 리본 석회암상, 단괴 석회암상, 수평층리 사암상, 석회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내부완사면, 중부완사면, 외부완사면의 세개의 상조합으로 분류되었다. 세송층의 하부로부터 약 30m 까지는 리본석회암상과 석회역암상, 일부 단괴석회암상이 나타나는 구간으로 중부완사면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며, 약 30m부터 42m 까지는 점차 이회암상의 비율이 증가하여 상향 세립화의 경향성을 보이는 구간으로 외부완사면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사군다리 지역은 세송층의 상부가 나타나는 곳으로 평행엽층리사암상과 단괴석회암상이 관찰되며 중부완사면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세송층의 석회암은 하부 이암, 중부 와케스톤, 상부 와케스톤과 팩스톤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세송층에서의 안정탄소동위원소 잘량 분석결과 양의 값(2.5-3.0‰)을 보이는 Peak 구간이 하부로부터 25m 높이 부근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Steptoean 시기(약 496 Ma)에 전 지구적으로 발생했던 안정탄소동위원소 값의 양(positive)의 변동을 반영한 SPICE(Steptoean positive carbon isotope excursion) 구간에 해당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SPICE 구간은 세송층의 중상부에 해당하는 곳으로 와케스톤, 팩스톤의 석회암을 포함하는 석회역암상, 단괴 석회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해수면이 낮았던 시기를 지시한다. 이러한 SPICE는 큰 규모의 전 지구적 탄소순환의 변동을 대표하며 대륙 간의 대비를 용이하게 하고 퇴적당시의 환경적 변화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준다. 북중국과 북미 Laurentia의 안정탄소동위원소 값을 비교해보면 두 지역 모두 세송층과 유사한 값을 보인다. 다만 북중국 지역은 Chuangia Zone에서 SPICE가 나타나는 반면 세송층은 Prochuangia Zone에서 SPICE가 나타난다는 차이가 있다.

  • PDF

마지막 최대빙하기 이후 북극해 스발바드군도 Van Mijenfjorden의 고환경 변화

  • 남승일;김예동;윤호일;강천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46-46
    • /
    • 2004
  • Van Mijenfjorden은 스발바드 군도의 Spitsbergen 서부에 위치하는 두 번째로 큰 피오르드로 온난하고 염분도가 높은 북대서양의 표층수가 북극해로 유입되는 Gateway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지구적이며 지역적인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 1999년 IMAGE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프랑스 탐사선인 'R/V Marion Dufresne'을 이용하여 북극해의 스발바드 군도에 위치하는 Van Mijenfjorden (77$^{\circ}$ 46.87'N and 15$^{\circ}$ 17.81'E)에서 약 18m의 빙ㆍ해양 퇴적물 코아(MD99-2305)를 시추하여 마지막 최대 빙하기 이후의 고환경변화를 연구하였다. AMS 14C 연대 측정에 의하면 diamicton 층인 하부 2m를 제외한 16m의 퇴적층은 지난 12cal. ka BP경에 피오르드에 존재하던 조수빙하(tidewater glacier)가 해빙되기 시작한 이후에 퇴적되었다. 특히 유기지화학 자료와 부유성과 저서성 유공충의 산출양상 그리고 저서성 유공충인 C. reniforme의 산소ㆍ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에 의하면 코아 MD99-2305에는 Van Mijenfjorden에서 홀로세 동안에 일어난 퇴적환경변화를 잘 기록하고 있다. 특히 홀로세 동안에 피오르드내의 퇴적환경 변화는 조수빙하의 확장과 후퇴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유기물의 탄소동위원소(13Corg) 비는 -24에서 -22$\textperthousand$ 값의 변화를 보인다. 이는 Van Mijenfjorden 퇴적물에 공급된 유기물은 육상과 해양기원이 혼합되어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지난 12 cal. ka BP 이후 13Corg 값이 뚜렷하게 변하는 것은 Van Mijenfiorden에서 조수빙하의 변동과 표층수에서의 생산력의 변화를 강하게 반영한다. 강하게 반영한다.53%가 이공계 출신, 100대 기업 CEO의 38.4%가 이공계 출신, 대입수능시험에서 자연계 지원비율이 감소 -40.1%('99)\$\longrightarrow$34.7%('00)\$\longrightarrow$29.4%('01)\$\longrightarrow$26.9%('02)\$\longrightarrow$30.3%('03)\$\longrightarrow$31.5%\$\longrightarrow$'04)필요성, 효과적인 운전자 교육 정책 등이 그것이다.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은 유용한 시설로 여러곳에서 그 기능이 발휘되고 있으므로 많은 고속도로 관계자들은 설계, 시공 및 유지 관리 측면에서 유의해야 할 것이다.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압출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관찰하였고, 열간 압출재 이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을 실실하여 결정방위를 확인하였다. 전기 비저항 및 Seebeck 계수 측정을 위하여 각각 2$\times$2$\times$10$mm^3$ 그리고 5$\times$5$\times$10TEX>$mm^3$ 크기의 시편을 준비하였다.준비하였다.전류를 구성하는 주요 입자의 에너지 영역(75~l13keV)에서 가장 높은(0.80) 상관계수를 기록했다. 넷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e issues were

  • PDF

Analysis of occurrence of red water or turbid water in real water distribution system (실제 상수관망의 적수/탁수발생 위험인자 도출 및 위험관 분석)

  • Han, Jin Woo;Kim, Hyeong Gi;Kwon, Hyuk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1-391
    • /
    • 2022
  • 상수도관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고 탁수 및 적수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상수도관 중 경과년수를 초과한 노후 상수도관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전체 상수도관을 교체하는 것은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므로 상수도관의 적수 및 탁수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상수도관의 교체 또는 개량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개선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수 및 탁수발생을 일으키는 인자들을 도출하였다. 먼저,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로 분류하여 적수와 탁수의 발생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퇴적위험도의 인자에는 평균유속지수, 정체지수, 관경지수, 경과년지수, 그리고 관길이지수를 적용하였고 박리위험도의 인자에는 유속차이지수, 유향변화지수, 영향범위지수, 관길이지수, 그리고 수충격지수를 적용하여 위험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용 지역은 인구 85만명의 중도시이며 4개동에 걸쳐서 위험도분석을 진행하였고 퇴적위험도가 높은 관과 박리위험도가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결과분석을 통해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 모두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인자들 중에서 유속 관련지수의 경우 박리위험도에서는 유속이 빠를수록 위험도가 높고 퇴적위험도에서는 느릴수록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박리와 퇴적위험도가 모두 높다는 것은 수질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같은 지역(동)에서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최근 개발된 경관년수가 오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3배 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과년수가 오래된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의 경우, 가장 높은 관의 박리위험도가 가장 낮은 위험도와 7배 이상이 차이가 났고 퇴적위험도의 경우 약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과년수에 의한 차이뿐만 아니라 인구감소나 인구고령화로 인해 낮 시간 수도사용량이 매주 적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상수도의 적수 및 탁수 발생 위험도가 높은 관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감독을 진행한다면 상수도 수질문제로 인한 민원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새만금 갯벌의 입자와 유기물질 특성

  • 유선재;김종구;조은일;안욱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49-151
    • /
    • 2002
  • 서해안에 위치한 새만금은 연안 방조제 축조 공사로 인하여 환경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환경변화는 일차적으로는 갯벌의 이동에 의한 해저 지형 및 퇴적상의 변화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안 갯벌 환경변화는 매우 느리며,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므로 그 변화의 정도 및 피해영향의 심각성이 쉽게 인식되지 않는다. 방조제 축조 공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갯벌 환경 변화로는 유속의 증감에 따른 갯벌의 운반 및 집적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중략)

  • PDF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Kwangseungri Beach, Gochanggun, Korea (고창군 광승리 해빈 표층 퇴적물의 계절 변화)

  • So, Kwang-Suk;Ryang, Woo-Hun;Choi, Sin-Lee;Kwon, Yi-Ky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3 no.6
    • /
    • pp.497-509
    • /
    • 2012
  • The Gochanggun Kwangseungri macro-tide open-coast beach,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seasonal variations of surface sediment facies and sedimentary environment. Surface sediments of 45 sites in four seasons (May 2006 - February 2007) were sampled along three survey lines (15 sites in each survey line).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Kwangseungri Beach are mainly composed of fine-grained sands, and its mean grain size is the coarsest in winter. Mud facies partly exists in summer, whereas it is nearly absent in winte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urface sediments shows a coast-parallel band of fine and medium sands during spring, fall, and winter. In the northern part, the study area is dominated by fine sands during summer, whereas by coarse sands during winter.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ide is more effective than wave on the surface sediment distribution of the Kwangseungri Beach during the summer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