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지형

Search Result 68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광양만의 지형변화 및 퇴적환경 발달

  • 최동림;이태희;현상민;최진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1-45
    • /
    • 2002
  • 광양만의 지형변화 및 퇴적환경발달양상에 대해 표층퇴적물과 지층탐사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광양만 해역은 1970년대이후 광양만 개발에 따라 해안선 및 해저지형이 급격한 변화를 겪어왔다. 광양만의 면적은 개발이전보다 25%정도 감소하였다. 해안선 변형은 공단건설을 위한 해안매립공사로 인해 그리고 해저지형변화는 대형선박들의 안전항로개발을 위한 해저퇴적물의 준설 등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표층퇴적물는 점토질 퇴적물 묘도서측 및 여수해만의 외해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사질 퇴적물은 섬진강하구와 수로에 분포하고 있다.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은 퇴적물의 특성을 반영하며, 특히 점토질퇴적물에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다. 탄성파 단면도상에서 기반암위에 Unit II와 Unit I가 분포하며, 하부 Unit II는 홀로세 이전의 하천환경 퇴적층으로 판단되며, 홀로세 Unit I 퇴적층은 섬진강하구에서 외해를 향해 전진퇴적양상의 쐐기형태를 보인다. 이 층은 섬진강에서 유출된 퇴적물이 델타환경을 이루면서 형성된 퇴적층서로 해석된다. Unit I 퇴적층내에 천부가스층이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천부가스는 광양만의 생태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광양만 주변의 재발에 따른 해안 및 해저지형의 급격한 변형은 퇴적환경 및 해양환경에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섬진강 하구지역의 광양제철소 건설은 섬진강에서 장양만으로 유입되는 퇴적물의 퇴적작용의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ree-Dimensional Model of Coastal Sediment Transport and Morphologic Change

  • 이관홍;이희준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4-28
    • /
    • 2003
  • 장기간에 걸친 지형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기초과학뿐만 아니라 응용과학 및 해양 공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하다. 퇴적물 이동과 지형변화의 예측은 항만의 수로를 유지하고, 폭풍에 의한 침식을 방제 할 뿐 아니라 지질학적 time-scale에서 퇴적층 형성을 이해함으로서 경제적으로 유용한 석유자원 매장을 밝히는데 도움을 준다. 그렇지만 퇴적역학에 대한 이해가 불충분하고 지형환경 system이 복잡하기 때문에 퇴적물 이동 및 지형변화에 대한3차원 모델을 통한 지형 변화 예측을 실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중략)

  • PDF

UAV Application Technology for Detection of Coastal Topography (연안지형 변화 탐지를 위한 UAV 활용기술)

  • Lee, Geun Sang;Kim, Young Joo;Choi, Yun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5-445
    • /
    • 2022
  • 최근 새만금 방조제 건설이 완료됨에 따라 주변 연안지역의 지형에 많은 변화가 감지되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격포해수욕장으로서 새만금 사업 준공 후 연안침식에 따른 모래 유실 등으로 인해 양빈사업 등이 검토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지형 변화 탐지를 위한 UAV (Unmanned Aerial Vehicle) 활용기술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총 3회에 걸쳐 UAV 영상을 촬영하였다. 영상촬영은 DJI Inspire 2 UAV를 활용하였으며 VRS(Virtual Reference Service) 측량성과와 연계하여 Pix4D Mapper SW를 통해 정사영상과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을 제작하였다. 먼저 2018. 6. 29 ~ 2018. 12. 10 사이의 지형변화 탐지를 수행한 결과 침식과 퇴적의 최대값은 각각 2.56m와 2.24m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는 0.01m의 퇴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2018. 6. 29 ~ 2019. 6. 14 동안의 침식과 퇴적의 최대값은 각각 2.31m와 2.28m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0.02m의 침식이 발생하였다. 또한 2018. 12. 10 ~ 2019. 6. 14 사이에는 침식과 퇴적의 최대값이 각각 2.28m와 2.55m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0.03m의 침식이 발생하였다. 지형변화를 보다 상세히 모니터링하고자 퇴적과 침식구간을 나누어 분석을 수행한 결과, 2018. 6. 29 ~ 2018. 12. 10 사이에는 0.5m 이내의 침식과 퇴적구간 면적이 각각 13,324.4m2와 14,667.3m2로 퇴적구간의 면적이 1,342.9m2 만큼 높게 나타났으며, 2018. 12. 10 ~ 2019. 6. 14 사이에는 0.5m 이내의 침식과 퇴적구간 면적이 각각 16,176.6m2와 11,723.0m2로 침식구간의 면적이 4,453m2 만큼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18. 12. 10 ~ 2019. 6. 14 사이에는 0.5m 이내의 침식과 퇴적구간 면적이 각각 16,821.6m2와 11,126.4m2로 침식구간의 면적이 5,695.2m2 만큼 크게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UAV 영상 기반의 연안지형 모니터링을 수행할 경우 시계열 지형변화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업무는 새만금 방조제 건설에 따른 지형변화의 영향평가 등 다양한 연안업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Channer Slope and Grain Size of Coarse Bed Materials in Streams in the Youngseo and Youngseo and Youngdong Area, Korea (영서 및 영동 하천의 하상 퇴적물 입경과 하도 경사에 관한 연구)

  • 김종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4
    • /
    • pp.355-37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유역 분지의 지형 조건이 상이한 영서 및 영동 하천들을 대상으로 하상 퇴적물 입경과 하도 경사의 경향성, 그리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유역 분지의 지형 조건이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영서 하천과 영동 하천은 퇴적물 입경 및 하도 경사의 경향성이 서로 달랐다. 영서 하천에서는 유역 면적의 증대에 따라 퇴적물 입경 및 하도 경사가 소폭으로 감소되는 경향으로 보이고 있으며, 그 경향성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와는 달리, 영동 하천에서는 퇴적물 입경 및 하도 경사가 유역 면적의 증가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그 경향성 또한 매우 분명하였다. 한편, 영서 및 영동 하천을 모두 고려한다면, 퇴적물 입경과 하도 경사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들 간의 상관관계는 영서 하천보다는 영동 하천에서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본 연구 지역에서는 유역 분지의 지형 조건이 퇴적물 입경 및 하도 경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Depositional Landforms in Upstream Reach of Ulsan Sayeon Dam Lake (울산 사연호 상류의 퇴적지형 발달)

  • Chang, M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4
    • /
    • pp.409-4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formation processes and depositional conditions of bars formed at the upper-stream part of Sayeon Dam since Sayeon Dam construction in 1964. Results of analyzing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bars and their sediment grain size distribution are as follow: Firstly, bars are able to categorized as subaqueous bars (A, B), mid-channel bars(C, D), and tributary side-bars(E). Secondly, the outline of bars has longish along the flow path, and their height lowers more and more going towards downstream. Also the height of bar surface tend to heighten from flow path to mountain slope. However, the near part of A is comparatively higher than its distant part, A is defined as a subaqueous natural levee and back swamp. Thirdly,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A and B become smaller toward mountain slope. In transportation style, ratio of suspended load become higher toward mountain slope. Fourthly, sorting is worse to very worse according with lake's random changable water level. Fifthly, bar A and B were formed by vertical sedimentation of sediments according as sediments transported along flow path in the subaqueous conditions were spreaded out of flow path. C and D were formed by bed load as flood level lowered. And E was formed by vertical sedimentation while stream flow stopped in tributary's mouth areas with the water level heightening.

  • PDF

Varia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with Catchment Characteristic Factors (유역특성인자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변화)

  • Yu, Wan-Sik;Lee, Gi-Ha;Lee, Kun-Hyuk;Lee, Bok-Hwa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5-299
    • /
    • 2011
  • 자연계에서 토양의 침식 및 퇴적 반복적 과정은 매우 복잡한 형태로 발생하며, 호우로 인한 토사유출은 유역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성과 수문기상학적 특성 등에 의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즉, 토양 침식 및 퇴적은 유역의 형상, 토양종류, 토지 이용 및 피복상태, 강우사상 등에 따라 시 공간적 분포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유역내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형학적 특성인자와 수문기상학적 특성인자에 따른 유역내 수문학적 응답을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상류 천천유역을 대상으로 Strahler 하천차수구분법에 의해 유역을 차수별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지형학적 특성인자(유역면적, 지표흐름 이동거리, 국부경사)와 수문학적 특성인자(총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공간분포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Grain Size Trend Analysis to Understanding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의 지형변화에 대한 입도경향 분석의 활용도 탐색)

  • Kim, Sung-Hwan;Rhew, Ho-Sah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2
    • /
    • pp.119-128
    • /
    • 2007
  • Grain-size trend analysis is the methodology to obtain the net sediment transport pattern from the spatial trends of grain size parameters. It has the potentials to be an effective tool to address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og River once we make sure net transport patterns inferred from grain size trend analysis represent the morphological evolution pattern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net transport patterns obtained by 'transport vector', proposed by Gao and Collins(1992), to understanding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deltaic barrier islan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et transport directions are overall in concordance with the morphological evolution patterns; however, the level of concordance is low in the island with fast growing rate. The reasons may be match or mismatch of temporal scales involved between processes represented by net transport patterns and morphological change analyzed or the rate of morphological change. Consequently, the application of grain size trend analysis in analyzing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requires the careful consideration of temporal scales involved.

  • PDF

Tidal depositional processes and late Quaternary (Holocene and pre Holocene) stratigraphy in the western coasts of Korea (한국 서해안 조수 퇴적과정과 제4기 후기(현세와 선현세) 층서)

  • 박용안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33-42
    • /
    • 1995
  • 우리나라의 서해(West Sea)는 일명 황해(Yellow Sea)라고 일컬어지는 약 40여 m의 평균 수심을 갖는 대륙붕 해저지형 분지에 의하여 지배되는 전형적 육연해이다, 그런데 이 바다는 중심부(황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 대륙의 산동반도에서 양가강 하구에 이르는 서부 해안을 가지며 북부에는 발해만의 해안이 있고 동부에는 서해(황해) 특유의 넓 은 조수환경(tidal environment)과 조수해안이 발달한다. 그러나 남쪽으로는 북서태평양과 연결된다. 한국 서해안이 평균 4m 이상의 조차(tidal range)를 나타내는 조간대 조수환경이 며 조간대 해저지형(intertidal morphology)이 전형적인 퇴적층(체)에 의하여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미국의 경우와 같이 연구가 잘되어 세계 적으로 널리 알려진 소위 barrier island system and tidal depositional environments와는 크 게 다른 퇴적과정과 환경이다. 경기도 남양만의 조수 환경의 경우, 조간대 해저지형 요소인 조류로(tidal channel)와 조간대 정규해저(intertidal zone proper)에 관한 동력적 퇴적과정 연 구결과 조간대 특유의 lateral sedimentation 과 vertical sedimentation 2가지 퇴적과정중 후 자의 퇴적과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퇴적과정의 진행이 매우 안정한 지속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퇴적과정의 조간대 퇴적물의 쇄설 입자는 약 20% 미만의 모 래(sand) 입자 50~70%의 실트(silt) 와 점토(clay) 입자가 20~30%에 달하는 입자조직 (grain texture)의 퇴적상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조간대의 동력적인 조수수괴의 수위(level of tidal water)는 평균 만조선과 평균 저조선으로 한정되며 이것은 퇴적과정과 퇴적작용의 조정(control) 요인으로 조간대 퇴적상의 발달과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들면 남양만 등의 대부분의 서해안 조간대 표층 퇴적상(녁\ulcorner미 sedimentary faci-es)은 만조선에서 간조 선에 가까울수록 조립화현상(coarsening trend)을 나타낸다. 이러한 퇴적상 변화는 저조선에 서 만조선으로의 조간대 지형과 주조수로의 지형.수력학적 특성이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a) a general decrease in width b) a general decrease in depth c) a general decrease in maximum and average current velocities d) a general increase in contents of suspended mud e) a general decrease in grain size of the bottom sand and an increasing abundance of muddy deposits. 우리나라 서해안 조간대 퇴적층(체)의 수직 층서(vertical stratigraphy)는 지난 3여년동안의 수십개의 vibracoring(주상시추)에 의하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하게 밝혀지고 있는바 이것은 현세(Holocene)와 선현세(preHolocene: 11000 years BP)의 오랜시간 경과에 따른 조수환경 변화의 수직퇴적 과정과 기후 해수면 변화의 현상에 원인이 있다고 해석된다.(박용안 외, 1992-1995)결과적으로 서해안 조수퇴적체(층)의 분지주변(basim margin)진화과정이 밝혀지 고 있다.

  • PDF

천곡동굴의 동굴퇴적물조사보고

  • 홍현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28
    • /
    • pp.68-84
    • /
    • 1991
  • 천곡동굴의 내부지형을 개관하면 이 동굴은 중규모를 총연장 300m에 달하는 석원동굴이다. 지표면에 산재하고 있는 돌리네와 우발레에서 스며들어간 지표수가 지하동굴을 이룩하면서 1차적으로 지층의 주향과 층서면에 따라 지하수류가 흘러나아간 수로가 그대로 동굴통로 되고 있다. 동굴퇴적물 즉 2차 생성물들의 발달과 성장은 동굴내부에 들어가면서 널리 분포되고 있는데 각종각양의 동굴의 2차생성물과 동굴지형등이 널리 산재하고 있는 동굴퇴적물의 전시장이라고 하겠다.(중략)

  • PDF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Foredune by Sand Fences - A Case of Shindu Coastal Dune Area - (사구울타리 설치 후 해빈과 전사구의 지형 변화 - 신두리 해안사구를 사례로 -)

  • SEO, Jong Cheo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1
    • /
    • pp.85-93
    • /
    • 2010
  • After the notorious Taean Oil spill in Dec. 2007, a series of sand fences made of fishing net were installed in front of foredune in Shindu dune area.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foredune. About 1m high sand accumulated around sand fences for the last 2 years. While a lot of sand deposited during the winter season (from autumn to spring), small amount of sand eroded and deposited during summer season (from spring to autumn) without big morphological changes. These results mean that sand fences help nature deposit sand near beach and foredun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