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Depositional Landforms in Upstream Reach of Ulsan Sayeon Dam Lake

울산 사연호 상류의 퇴적지형 발달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formation processes and depositional conditions of bars formed at the upper-stream part of Sayeon Dam since Sayeon Dam construction in 1964. Results of analyzing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bars and their sediment grain size distribution are as follow: Firstly, bars are able to categorized as subaqueous bars (A, B), mid-channel bars(C, D), and tributary side-bars(E). Secondly, the outline of bars has longish along the flow path, and their height lowers more and more going towards downstream. Also the height of bar surface tend to heighten from flow path to mountain slope. However, the near part of A is comparatively higher than its distant part, A is defined as a subaqueous natural levee and back swamp. Thirdly,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A and B become smaller toward mountain slope. In transportation style, ratio of suspended load become higher toward mountain slope. Fourthly, sorting is worse to very worse according with lake's random changable water level. Fifthly, bar A and B were formed by vertical sedimentation of sediments according as sediments transported along flow path in the subaqueous conditions were spreaded out of flow path. C and D were formed by bed load as flood level lowered. And E was formed by vertical sedimentation while stream flow stopped in tributary's mouth areas with the water level heightening.

본 연구는 1964년 사연댐 건설 이후에 사연호 상류부에 형성된 퇴적지형의 형성과정과 퇴적환경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퇴적지형의 형태적 특성과 퇴적물의 입경분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적지형은 수면하 퇴적지 A B와 하중 퇴적지인 C D, 그리고 지류 연안 퇴적지 E로 구분된다. 둘째, 퇴적지형은 유로를 따라 길게 나타나며, 상류에서 높고 하류로 갈수록 낮아진다. 또한 퇴적지형은 유로에서 멀어질수록 고도가 증가하나, A에서는 유로와 가까운 부분이 먼 곳보다 높아 수면 아래의 자연제방으로 이해된다. 셋째, A와 B의 경우에는 유로에서 멀어지면서 세립화 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운반양식의 경우에도 유로에서 멀어질수록 부유하중의 비율이 높아진다. 넷째, 퇴적물의 분급은 수시로 변하는 수위의 영향을 받아 불량 내지 매우 불량하다. 다섯째, A와 B는 수면 아래에서 유로를 따라 운반되는 퇴적물이 유로에서 멀리 확산되어 수직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C와 D는 수위가 하강할 때 하상하중의 형태로 운반된 퇴적물이 쌓인 것이다. 그리고 E는 수위 상승 시 지류에 정체수역이 형성됨으로써 수직퇴적된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