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작용

Search Result 67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lineating the Spacial Variation of Sediment Yield Potential in the Upper Santa Ana River Basin (산타아나강 상류 유역분지에서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 성효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5
    • /
    • pp.665-68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산타아나 강 상류 유역분지 내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산타아나 강 상류지역을 42개의 하부 유역분지로 나눈 후에 각 유역분지에 퇴적물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지형 기복 요소, 면적-형태 요소, 지질 요소, 기후 요소와 관련하여 20개의 변수를 GIS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이러한 20개의 변수들을 기초로 군집분석하여 42개 하부 유역분지들의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을 평가한 결과 4개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평가 결과 <발톤> 평기자 포함된 제2지역이 산타아나 강 상류 유역분지에서 가장 퇴적작용이 왕성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낮은 기복 및 고도와 미고화된 물질로 피복된 지역이 97%를 차지하고 있다.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 2지역의 상류부에 분포하는 유역분지들(제 4지역)로서 높은 기복과 고도뿐만 아니라 침식 면적이 넒으며, 과거의 빙하작용이 있었던 지역이다. 특히 단층선이 퇴적작용이 크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제2지역)과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이 가장 높은 지역(제4지역) 사이에 분포하고 있어, 사면경사의 급변으로 제 2 지역의 퇴적작용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sedimentary compaction: Implications for porosity and layer thickness variation (수치해석적 다짐 작용 연구: 공극률과 퇴적층 두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Yeseul;Lee, Changyeol;Lee, Eun Young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4 no.6
    • /
    • pp.631-640
    • /
    • 2018
  • To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a sedimentary basin in basin analysis and modelling studies,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thickness and age range of sedimentary layers infilling a basin. Because the compaction effect reduces the thickness of sedimentary layers during burial, basin modelling studies typically restore the reduced thickness using the relation of porosity and depth (compaction trend). Based on the compilation plots of published compaction trends of representative sedimentary rocks (sandstone, shale and carbonate), this study estimates the compaction trend ranges with exponential curves and equations. Numerical analysis of sedimentary compaction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porosity and layer thickness with depth at key curves within the compaction trend ranges. In sandstone, initial porosity lies in a narrow range and decreases steadily with increasing depth, which results in relatively constant thickness variations. For shale, the porosity variation shows two phases which are fast reduction until ~2,000 m in depth and slow reduction at deeper burial, which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variation pattern of shale layers. Carbonate compaction is characterized by widely distributed porosity values, which results in highly varying layer thickness with depth. This numerical compaction analysis presents quantita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porosity and layer thickness variation of each lithology, which influence on layer thickness reconstruction, subsidence and thermal effect analyses to understand the basin formation and evolution. This work demonstrates that the compaction trend is an important factor in basin modelling and underlines the need for appropriate application of porosity data to produce accurate analysis outcomes.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ore water, and headspace gas in the Ulleung Basin (울릉분지 퇴적물, 공극수 및 공기층 가스의 지화학적 특징)

  • Kim, Ji-Hoon;Park, Myong-Ho;Ryu, Byong-Jae;Lee, Young-Joo;Jin, Young-Ke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373-37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해 울릉분지의 제4기 후기 퇴적물 내의 유기물, 공극수와 메탄의 특징 및 상호작용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지역에서 채취한 코어퇴적물을 원소 분석한 결과 C/N 및 C/S 비(wt. %)는 퇴적물 내 유기물이 주로 해양조류 기원을 가지고, 일반적인 해양 또는 정체 환경에서 퇴적되어Tdam을 지시한다. 그러나 Rock-Eval 열분석 결과는 유기물 기원이 육상식물(Type III)이고, 열적 성숙단계가 미성숙단계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원소분석과 열분석간의 상반된 결과는 유기물이 침강하는 동안 또는 퇴적 후 이루어진 강한 산화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퇴적물 내 공극수의 황산염 농도가 퇴적물의 심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감소하는 경향은 크게 두 가지 (적선성, concave down)로 나누어진다. 이는 모든 코어에서 황산엽 환원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지시한다. 또한 직선선의 황산엽농도 구배는 무산소 메탄 산화작용(AMO)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황산염 농도의 수직적 구배를 이용하여 SMI(sulfate-methane interface) 심도를 계산하면, 남부울릉분지의 코어 (03GHP-01, 03GHP-02; <3.5mbsf)가 북부울릉분지 코어(01GHP-05, 01GHP-07, 03GHP-03, 03GHP-04, 03GHP-05; > 6mbsf)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 위와 같은 SMI 심도차는 메탄의 상부 분산량과 밀접한 관련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메탄가스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delta}^{13}C)$ 분석값들은 -83.5%o에서 -69.5%o의 범위를 가지고 있고, 이산화탄소 환원작용($CO)_2$ reduction)에 의한 생물 (biogenic) 기원임을 지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sedimentation in the vicinity of the groins near harbor (항만 인근 해안의 인공 구조물 주변 퇴적 작용 분석)

  • 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6.06b
    • /
    • pp.179-183
    • /
    • 2006
  • As there are many human activities in the coastal regions, various facilities and coastal engineering structures for protecting beach have been built. Dredging work, reclamation and harbor construction have caused the topography of sea floor to change rapidly. So sedimentation in the vicinity of the groins has get dull and the serious aspects sometimes turn up. Analyzing the surface sediments with transport vector model is one of the good methods to understand the sedimentation in the vicinity of the groins. I analyzed the transport vector of the surface sediments in the vicinity of the groins at the region where serious beach erosion happens near Pohang harbor.

  • PDF

Plio-Quaternary Seismic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History on the Southern Ulleung Basin, East Sea (동해 울릉분지 남부의 플라이오-제4기 탄성파 층서 및 퇴적역사)

  • Joh, Min-Hui;Yoo, Dong-Geu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4 no.2
    • /
    • pp.90-101
    • /
    • 2009
  • Analysis of multi-channel seismic reflection data from the Southern Ulleung Basin reveals that Plio-Quaternary section in the area consists of nine stacked sedimentary units separated by erosional unconformities. On the southern slope, these sedimentary units are acoustically characterized by chaotic seismic facies without distinct internal reflections, interpreted as debris-flow bodies. Toward the basin floor, the sedimentary units are defined by well-stratified facies with good continuity and strong amplitude, interpreted as turbidite/hemipelagic sediments. The seismic facies distribution suggests that deposition of Plio-Quaternary section in the area was controlled mainly by tectonic movement and sea-level fluctuations. During the Pliocene, sedimentation was mainly controlled by tectonic movements related to the back-arc closure of the East Sea. The back-arc closure that began in the Miocene caused compressional deformation along the south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resulting in regional uplift which continued until the Pliocene. Large amounts of sediments, eroded from the uplifted crustal blocks, were supplied to the basin, depositing Unit 1 which consists of debris-flow deposits. During the Quaternary, sea-level fluctuations resulted in stacked sedimentary units (2-9) consisting of debris-flow deposits, formed during sea-level fall and lowstands, and thin hemipelagic/turbidite sediments, deposited during sea-level rise and highstands.

Sedimentological Properties Of the Recent Intertidal Flat Environment, Southern Nam Yang Bay, West Coast Of Korea (남양만 남부 조간대 퇴적환경의 퇴적학적 특성에 관하여)

  • Chung, Gong Soo;Park, Yong Ahn
    • 한국해양학회지
    • /
    • v.13 no.1
    • /
    • pp.9-18
    • /
    • 1978
  • The intertidal flat depositional environment of Southern Nam Yang Bay, west coast of Korea has been studied to understand textural,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The intertidal flat environment can be divided into two subenvironments, that is, the mud flat and the sand flat due to the sediment textures. From thd outer sand flat to the inner mud flat the grain size of the sediments decreases and the mud content increases.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tidal flat environment is in the progradation of marsh deposits in the mud fla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ediments is related to the sediment textures. The chemical index of maturity of the mud flat sedim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sand flat sediments. The clay minerals of the sediments are chlorite, illite, montmorillonite and kaolinite.

  • PDF

Deposition Mechanism and Modeling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and Suspended Sediment in Riparian Vegetation (식생영역에서 입자성 유기물과 유사이송의 퇴적과정 및 모델링)

  • Jeon, Ho Seong;Lee, Woo Dong;Kim, Kyu Ho;Ho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80-384
    • /
    • 2016
  • 홍수완화의 관점에서 강을 관리하기 위하여 수자원의 이용과 생태계보전, 하천흐름과 형태학적 변화들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 수변지역에서 발달된 식생은 홍수시에 감속영역과 생물들의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횡단방향의 혼합작용을 활성화하여 유사와 식물의 씨앗 및 입자성 유기물(POM)을 포착하는 기능을 하고 특히 흐름과 유사이송 및 하도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입자성 유기물(POM)은 하천생태계를 지탱하는 에너지원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미생물의 분해를 받아 무기화된 식생의 번무와 물질순환의 시발점이 되기도 하지만 현재까지 식생영역 내에서 그 공급과정에 관련이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생영역의 유사퇴적 및 분급작용, 입자성 유기물의 포착을 일으키는 원인과 흐름의 특징 중 식생영역 내에서 흐름방향으로 감속에 주목하여 수리 모형실험을 실시하였고 수변식생에서 부유사와 POM의 퇴적과정에 대하여 검토 및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수리 모형실험 결과 CPOM과 FPOM 모두 유사의 퇴적없이 그 자체로는 퇴적이 되지 않았고 수변식생의 종방향 이송의 경우 식생에 의해 퇴적된 부유사가 사련 형태로 형성이 되어 CPOM이 사련의 배후에서 캡쳐 되었다. 또한 두가지 샘플 움직임의 상호작용은 사련의 파고와 파장의 전파속도를 감소시켰다. 식생지역에서 횡방향 분산의 경우에 대해서는 각각의 유사 크기에 대한 퇴적물의 능선은 식생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었고 운동의 범위는 유사 퇴적의 능선에 의해 촉진되어 횡방향으로 확산하며 확장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된 경험적인 지식보다 오히려 실험을 통하여 식생을 동반하는 장소에서 유사와 POM의 거동특성 차이 및 간섭작용을 명확히 한 후 현장에서 관측된 현상과 비교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추후에 운동기구를 모델링 및 업그레이드 해 나가는 것이 앞으로의 하천생태계 예측평가에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Geology of the Kualkulun in the Middle Kalimantan, Indonesia: I. Stratigraphy and Structure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쿠알라쿠룬 지역의 지질: I. 층서 및 구조)

  • Kim In-Joon;Kee Won-Seo;Song Kyo-Young;Kim Bok-Ghul;Lee Sa-Ro;Lee Gyoo H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7 no.5
    • /
    • pp.437-457
    • /
    • 2004
  • The geology of the Kualakulun in the Middle Kalimantan, Indonesia comprises Permian to Carboniferous Pinoh Metamorphic Rocks and Cretaceous Sepauk Plutonics of the Sunda Shield, late Eocene Tanjung Formation, Oligocene Malasan Volcanics, Oligocene to early Miocene Sintang Intrusives and Quaternary alluvium. Tanjung Formation was deposited in low-and high-sinuosity channel networks developed on the proximal to distal delta plain and delta front forming southward paleoflow system, which, in turn, gradually change into shallow marine environment. Four main deformational phases are recognized: D1, folding of metamorphic rocks accompanied by development of S1 schistosity under regional metamorphic condition; D2, ductile shearing in Cretaceous granitoids; D3, folding of metamorphic rocks accompanied by S2 crenulation cleavage; D4, faulting under N-S compressional regime during Tertiary times, producing NE-trending sinistral and NW-trending dextral strike-slip faults and N-S to NNE-trending normal faults.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Southwestern Korea (영산강 하구의 제4기 후기 층서 및 고환경)

  • 남욱현;김주용;양동윤;홍세선;봉필윤;이윤수;유강민;염종권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6 no.6
    • /
    • pp.545-556
    • /
    • 2003
  • Detailed interdisciplinary investigations demonstrate that the Yeongsan River estuarine-filled sediments clearly record important paleoenvironmental changes during the Last Glacial and Holocene. The sediments from 18.9 m(20.5∼l.6m in depth) long core MW-1 are differentiated by changes in sedimentary textures and palynomorph assemblages. Chronology was provided by AMS$^{14}$C dating and regional pollen correlation. Three paleoenvironrnental phases are recognized: (1) The Last Glacial deposits consist mainly of fluvial sediments and paleosols, experienced deposition alternating with pedogenesis. The appearance of the paleosols suggests that the paleoclimate might be cold and humid. (2) The early and middle Holocene phase started abruptly in response to the rapid global climatic warming. and is characterized by abundant marine palynomorphs. (3) The late Holocene is marked by more cool conditions.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s recorded in the sediments coincide not only with local but also with broad-scale, probably global climate changes.

REE 분석과 GIS를 이용한 퇴적물 이동 연구

  • 곽재호;이현구;이승구;양동윤;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80-283
    • /
    • 2003
  • 희토류원소는 변성작용, 변질작용 및 풍화작용의 영향 측면에서 다른 원소에 비해 영향을 덜 받는 특성 (Taylor and McLennan, 1985; McLennan, 1989; Lee et at., 1994)과 더불어 암석생성과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지구의 생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퇴적물의 기원을 밝히는데 있어서 희토류원소가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Piper, 1985; Cullers et al., 1987; Elderfield et at., 1990), 지표수 혹은 지하수에서의 희토류원소 존재도가 지하수의 유동방향을 지시해준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Johannesson et al., 1996, 1997).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