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과정

Search Result 55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idal depositional processes and late Quaternary (Holocene and pre Holocene) stratigraphy in the western coasts of Korea (한국 서해안 조수 퇴적과정과 제4기 후기(현세와 선현세) 층서)

  • 박용안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33-42
    • /
    • 1995
  • 우리나라의 서해(West Sea)는 일명 황해(Yellow Sea)라고 일컬어지는 약 40여 m의 평균 수심을 갖는 대륙붕 해저지형 분지에 의하여 지배되는 전형적 육연해이다, 그런데 이 바다는 중심부(황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 대륙의 산동반도에서 양가강 하구에 이르는 서부 해안을 가지며 북부에는 발해만의 해안이 있고 동부에는 서해(황해) 특유의 넓 은 조수환경(tidal environment)과 조수해안이 발달한다. 그러나 남쪽으로는 북서태평양과 연결된다. 한국 서해안이 평균 4m 이상의 조차(tidal range)를 나타내는 조간대 조수환경이 며 조간대 해저지형(intertidal morphology)이 전형적인 퇴적층(체)에 의하여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미국의 경우와 같이 연구가 잘되어 세계 적으로 널리 알려진 소위 barrier island system and tidal depositional environments와는 크 게 다른 퇴적과정과 환경이다. 경기도 남양만의 조수 환경의 경우, 조간대 해저지형 요소인 조류로(tidal channel)와 조간대 정규해저(intertidal zone proper)에 관한 동력적 퇴적과정 연 구결과 조간대 특유의 lateral sedimentation 과 vertical sedimentation 2가지 퇴적과정중 후 자의 퇴적과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퇴적과정의 진행이 매우 안정한 지속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퇴적과정의 조간대 퇴적물의 쇄설 입자는 약 20% 미만의 모 래(sand) 입자 50~70%의 실트(silt) 와 점토(clay) 입자가 20~30%에 달하는 입자조직 (grain texture)의 퇴적상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조간대의 동력적인 조수수괴의 수위(level of tidal water)는 평균 만조선과 평균 저조선으로 한정되며 이것은 퇴적과정과 퇴적작용의 조정(control) 요인으로 조간대 퇴적상의 발달과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들면 남양만 등의 대부분의 서해안 조간대 표층 퇴적상(녁\ulcorner미 sedimentary faci-es)은 만조선에서 간조 선에 가까울수록 조립화현상(coarsening trend)을 나타낸다. 이러한 퇴적상 변화는 저조선에 서 만조선으로의 조간대 지형과 주조수로의 지형.수력학적 특성이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a) a general decrease in width b) a general decrease in depth c) a general decrease in maximum and average current velocities d) a general increase in contents of suspended mud e) a general decrease in grain size of the bottom sand and an increasing abundance of muddy deposits. 우리나라 서해안 조간대 퇴적층(체)의 수직 층서(vertical stratigraphy)는 지난 3여년동안의 수십개의 vibracoring(주상시추)에 의하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하게 밝혀지고 있는바 이것은 현세(Holocene)와 선현세(preHolocene: 11000 years BP)의 오랜시간 경과에 따른 조수환경 변화의 수직퇴적 과정과 기후 해수면 변화의 현상에 원인이 있다고 해석된다.(박용안 외, 1992-1995)결과적으로 서해안 조수퇴적체(층)의 분지주변(basim margin)진화과정이 밝혀지 고 있다.

  • PDF

A study of sedimentation processes in seamangum coastal area (새만금지구의 퇴적과정에 관한 연구)

  • 신문섭;유철웅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6.05a
    • /
    • pp.689-69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edimentation patterns variation in Seamangum coastal sea region. Water circulations are calculated diagnostically from the observe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and wind data and tidal residual current. There dimensional movements of injected particles due to currents, tubulence and sinking velocity are tracked by the Euler-lagrange method. Calculated sedimentation patters of riverine material are highly similat to the observed ones.

  • PDF

Depositional processes of Tidal Flat Deposits off Mankyung-Dongjin Rivers West Sea Korea.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과정)

  • 최진용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19-32
    • /
    • 1995
  • 한반도 서해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수직층서 퇴적상 변화를 분석 하여 퇴적과정을 기초해양환경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해역 저 조선의 퇴적층은 사 질함량이 우세한 반면 방조제와 인접한 만조선의 퇴적층은 실트질이 우세하였고 상층과 하 층의 퇴적물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사질퇴적층의 내부퇴적구조는 괴상구조, 평행층리 및 사층리 구조등이 우세하며 니질퇴적층에서는 모래/니질 교호엽리구조가 우세하다. 본 연구 의 결과 만경강-동진강 조간대 퇴적층서는 인근의 방조제 축조에 다른 퇴적환경 변화에 크 게 영향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즉 방조제축소 이전 고에너지의 퇴적환경에서 집적되었던 사 질퇴적층이 방조제축조 이후에는 저에너지 환경조건에서 집적된 니질퇴적물로 피복된 것으 로 해석된다.

A study of Sedimentation Processes in Estuary of the Geum river before and after Saemangeum reclamation (새만금 간척전·후 금강 하구의 퇴적 과정에 관한 연구)

  • Shin, Moon Seup;Bae, Ki Seong;Kim, Nam Hy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 no.3
    • /
    • pp.5-1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edimentation patterns variation before and after the Saemangeum reclamation. Water circulations before and after the Saemangeum reclamation are calculated diagnostically and prognostically from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data, wind data and tidal residual current. Three dimensional movements of injected particles due to currents, turbulence and sinking velocity are tracked by the Euler-lagrange method. The dispersion range of soil grain for one and three day after releasing in the Geum river indicates that the soil grain was sedimented coastal area of Janghang and outer harbor of Kunsan. The soil grain moves a quite distance from the release point when size of soil grain is a sm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ze of soil grain and residual current is greatly influenced on the dispersion range of soil grain.

  • PDF

Simulation of Erosion/deposition in Debris Flow (토석류의 침식/퇴적과정 모의)

  • Jun, Byong Hee;Jun, Kye Wo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63
    • /
    • 2015
  •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빈발하고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적절한 대책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토석류 매커니즘에 대한 많은 선행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토석류 수치해석은 설정된 지형이나 수문곡선 등의 조건하에서 토석류의 발생, 이동, 퇴적, 범람범위 등의 거동을 표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해석에 자주 이용되는 Takahashi model과 Egashira model을 이용하여 침식과 퇴적과정을 모의하였다. Takahashi model에서는 토석류, 소류 상집합유동 등에 따라 유동형태가 달라지는 반면, Egashira model에서는 유동형태의 구분없이 침식이나 퇴적이 일어나지 않는 평형경사를 상정하여 하상구배가 평형구배를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침식/퇴적이 발생한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각각의 토석류 모델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하상에서의 침식현상, 퇴적현상을 수치모의하고 각 모델의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동상에서의 침식/퇴적거동을 해석하였으며, 실제 지형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토석류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토석류재해의 규모나 범위를 예측할 수 있으며 실제로 발생한 토석류재해의 검증, 사방구조물의 기능평가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해석에 머물러 있으나 계류상의 거동을 표현하고 사방구조물의 위치선정을 위해서는 무리가 없으며, 향후 2차원해석을 통해 범람거동을 해석한다면 토석류위험지도 작성에 유효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마산만의 해저퇴적물 입자 분포의 통계학적 특성

  • 염말구;권영택;정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64-165
    • /
    • 2002
  • 내만의 해저퇴적물은 하천이나 외해로부터 유입되어 침강, 응집, 확산, 이동, 재용출 등의 과정에서 수질변화와 저서생물의 서식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조 등,1982; ASCE, 1992; Kwon and Lee, 1998). 그러므로 해저퇴적물의 변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입자 분포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오염이 비교적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마산만의 여러 정점에서 채취한 해저퇴적물의 입자크기를 측정하고 그 분포의 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중략)

  • PDF

고수동굴의 이차생성물에 관한 지형학적 분석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33
    • /
    • pp.13-43
    • /
    • 1993
  • 고수동굴을 비롯한 수많은 석회동굴 속에는 많은 퇴적물들이 있다. 특히 사력, 점토 등 여러가지 종류의 퇴적물이 있는데 때로는 동굴내에 점토로 메꾸어져 있는 곳도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퇴적물들을 동굴 퇴적물이라고 부른다. 물론 때로는 이차생성물 중에서 석순이나 석주 등을 동굴퇴적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는 동굴속에 이몰되고 있는 사력이나 토사를 가리킨다. 이 고수동굴속에서도 많은 동굴 퇴적물층이 발견되고 있다. 그 동굴 퇴적물 가운데서는 고생물의 화석이나 때로는 토기 파편까지도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동굴 퇴적물들의 화석들을 분석 판별함으로써 동굴 생성의 과정을 판독할 수 있다.(중략)

  • PDF

Deposition Mechanism and Modeling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and Suspended Sediment in Riparian Vegetation (식생영역에서 입자성 유기물과 유사이송의 퇴적과정 및 모델링)

  • Jeon, Ho Seong;Lee, Woo Dong;Kim, Kyu Ho;Ho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80-384
    • /
    • 2016
  • 홍수완화의 관점에서 강을 관리하기 위하여 수자원의 이용과 생태계보전, 하천흐름과 형태학적 변화들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 수변지역에서 발달된 식생은 홍수시에 감속영역과 생물들의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횡단방향의 혼합작용을 활성화하여 유사와 식물의 씨앗 및 입자성 유기물(POM)을 포착하는 기능을 하고 특히 흐름과 유사이송 및 하도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입자성 유기물(POM)은 하천생태계를 지탱하는 에너지원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미생물의 분해를 받아 무기화된 식생의 번무와 물질순환의 시발점이 되기도 하지만 현재까지 식생영역 내에서 그 공급과정에 관련이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생영역의 유사퇴적 및 분급작용, 입자성 유기물의 포착을 일으키는 원인과 흐름의 특징 중 식생영역 내에서 흐름방향으로 감속에 주목하여 수리 모형실험을 실시하였고 수변식생에서 부유사와 POM의 퇴적과정에 대하여 검토 및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수리 모형실험 결과 CPOM과 FPOM 모두 유사의 퇴적없이 그 자체로는 퇴적이 되지 않았고 수변식생의 종방향 이송의 경우 식생에 의해 퇴적된 부유사가 사련 형태로 형성이 되어 CPOM이 사련의 배후에서 캡쳐 되었다. 또한 두가지 샘플 움직임의 상호작용은 사련의 파고와 파장의 전파속도를 감소시켰다. 식생지역에서 횡방향 분산의 경우에 대해서는 각각의 유사 크기에 대한 퇴적물의 능선은 식생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었고 운동의 범위는 유사 퇴적의 능선에 의해 촉진되어 횡방향으로 확산하며 확장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된 경험적인 지식보다 오히려 실험을 통하여 식생을 동반하는 장소에서 유사와 POM의 거동특성 차이 및 간섭작용을 명확히 한 후 현장에서 관측된 현상과 비교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추후에 운동기구를 모델링 및 업그레이드 해 나가는 것이 앞으로의 하천생태계 예측평가에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난류강도에 따른 미세퇴적물의 퇴적율 추정

  • 박광순;이동영;추용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172-172
    • /
    • 1992
  • 미세퇴적물 이동연구는 최근 실험실 실험 또는 현장 자료에 의해 많은 진전을 이루어 왔으나, 아직은 미세, 점착성 퇴적물의 복잡한 과정을 다 고려한 신뢰성 있는 이동예측 수치모델의 개발에 충분한 지식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 수치모델에 의한 예측 기술을 계발하는데 있어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는 해저면에서의 퇴적물의 수송량을 정량화하는 일로서 난류하에서 점착성 퇴적물의 복잡한 퇴적 관련 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에 의해 각종 파라미터의 정량화가 요구된다.(중략)

  • PDF

Unconformity and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Tidal Deposits, Namyang Bay,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 남양만 조수 퇴적분지의 제 4기 퇴적층서와 부정합)

  • 박용안;최진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v.30 no.4
    • /
    • pp.332-340
    • /
    • 1995
  • To study stratigraphy of tidal basin deposits, related unconformity and source of late Holocene tidal sediments in Namyang Bay, west coast of Korea, total 8 vibracore sediments have been analyzed. The uppermost stratigraphic sequence of the late Holocene Namyang intertidal deposit overlies three different stratigraphic sequences (1) oxidized reddish brown muddy deposit (Yongduri Member), (2) oxidized yellow deposit (Kanweoldo Formation) and (3) the pre-Cambrian gneiss complex unconformably. Accordingly, three unconformities between those different sequences are recognized. The Namyang tidal deposits (late Holocene) with several meter thickness are mostly coarsening upward sequence suggesting transgressive phase during a continuous rise of sea level. The tidal deposit vibracored down to 4.5 m in depth contains clastic glauconite sands (2% in average) from 2.5 m to the vibracore bottom. These glauconite sands are considered to be transported to the site of Namyang Bay tidal sedimentation from offshore continental shelf of the Yellow Sea along the course of late Holocene sea-level ri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