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Sedimentation Processes in Estuary of the Geum river before and after Saemangeum reclamation

새만금 간척전·후 금강 하구의 퇴적 과정에 관한 연구

  • 신문섭 (군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
  • 배기성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
  • 김남형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1.02.01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edimentation patterns variation before and after the Saemangeum reclamation. Water circulations before and after the Saemangeum reclamation are calculated diagnostically and prognostically from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data, wind data and tidal residual current. Three dimensional movements of injected particles due to currents, turbulence and sinking velocity are tracked by the Euler-lagrange method. The dispersion range of soil grain for one and three day after releasing in the Geum river indicates that the soil grain was sedimented coastal area of Janghang and outer harbor of Kunsan. The soil grain moves a quite distance from the release point when size of soil grain is a sm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ze of soil grain and residual current is greatly influenced on the dispersion range of soil grain.

새만금방조제 축조 전 후 금강하구의 조류 변화와 잔차류특성, 금강의 부유사 유입에 의한 퇴적 과정을 알아보았다. 잔차류는 새만금방조제 축조 전후 금강 하구역의 조석잔차류와 관측된 수온 염분,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계산에 의한 퇴적과정은 잔차류와 입자의 침강속도를 고려하여 Euler Lagrange 방법으로 부유사의 분산 퇴적과정을 3차원 수치 실험에 의하여 재현하였다. 토립자(土粒子)의 중앙입경은 $150{\mu}m$, $300{\mu}m$, $400{\mu}m$의 경우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토립자(土粒子)의 분포사항은 금강하구둑에서 토립자(土粒子) 방류후 24시간과 72시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봄에 관측한 수온 염분, 바람, 조석응력을 이용하여 계산한 잔차류의 특성은 상층에서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역에서 시계방향의 흐름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구특성의 하나인 밀도류에 의한 흐름은 하구 쪽 방향으로 아주 작은 분포를 하고 있었다. 부유사의 분산 퇴적과정을 수치실험 한 결과 24시간후의 퇴적분포는 대부분 금강하구와 장항해역에서 퇴적분포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72시간 후에는 금강하구와 장항해역, 만경강과 동진강하구까지 퇴적분포를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