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퇴실 기준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통원 수술환자의 안전한 귀가 결정을 위한 퇴실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Discharge Criteria to Determine Patients' Readiness for Safe Return to Home after Ambulatory Surgery)

  • 윤계숙;김은경;정소현;이승주;정미경;이영미
    • 임상간호연구
    • /
    • 제18권3호
    • /
    • pp.435-446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ree discharge criteria; 1) discharge criteria of S Hospital determined by nurses, 2) discharge readiness determined by patients, and 3) the Modified Post-Anesthetic Discharge Scoring System (MPADSS). The usefulness of MPADSS as a discharge criteria for the patients'safe return to home after ambulatory surgery was also evaluated. Methods: A total of 370 day surgery cases were investigated. The MPADSS was employed in every 30 min. in parallel with discharge readiness assessment by nurses and patients. The percentage of the patients who were categorized as being ready to discharge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ree discharge criteria. Results: The percentage of patients scored to be as MPADSS > 9 in 30 min, 60 min, 90 min were 96.5%, 99.5%, 100%respectively. Whereas 11.1%, 44.3%, 71.1%of patients rated themselves as being ready to discharge and 2.7%, 23.5%, 54.3% of patients actually discharged by nurses according to discharge criteria of S Hospital. Conclusion: Nurses tend to keep patients longer in the hospital when compared to the patient's own assessment about their readiness to home and to that of MPADSS. Faster discharge in the evening than day time suggests patient discharge can be influenced by nursing factors. This brings out the importance of scoring system to determine the safe discharge. The MPADSS could be a useful tool in evaluating patients for safe discharge.

중환자실의 입실과 퇴실 기준 개발 (Development of Admission and Discharge Criteria in Intensive Care Units)

  • 장연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91-30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tensive Care Unit (ICU) admission and discharge criteria that would lead to the appropriate utilization of ICU resources and nursing services. For this study,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n in order to identify the overall health condition of patients in the ICU, and to draw up preliminary criteria, the medical records of 58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of Y Medical Center in Seoul between March, 1999 to February, 2000 of were analyzed. Two expert validity tests were done for the preliminary criteria for admission and discharge with 21 patients over 18 years of age who were admitted patients and for 12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between May 30, 2000 and June 5, 2000 a clinical validity test was also done. After this process, the final admission and discharge criteria were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re were 9 categories for admission criteria cardiologic, gastrointestinal, neurologic, endocrine, post-op care of major surgery, vital signs, laboratory values, and a category of miscellaneous items. Discharge criteria had 3 categories which were vital signs, laboratory values, and a category of miscellaneous items. 2. From the medical records of the 58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45 items for preliminary criteria for admission and 17 for discharge were identified. 3. The two expert validity tests showed that of the 45 items 29 admission items received over 75 percent agreement. The 16 admission items which received less than 75 percent agreement were revised or deleted from the admission criteria. Of the 17 discharge items, 11 had over 75 percent agreement and 6 less then 75 percent agreement. These were revised or deleted from the discharge criteria. 4. In the clinical validity test, 14 admission items showed more than 75 percent agreement and 11 discharge items more than 83 percent agreement. 5. The final criteria consisted of 29 items for admission and 11 items for discharge. Since patients being considered for admission to the ICU have complex problems, there is a need to make the decision based on more than a single issue. This tool will insure that the ICU nursing care and treatment resources are appropriately used by allowing a multi-professional health team to make admission and discharge decisions.

  • PDF

의료기관 특수실 감염관리를 위한 비접촉 출입인증 관리 시스템 (Contactless Access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Infection Control in Special Rooms in Medical Institutions)

  • 이효승;최우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87-392
    • /
    • 2022
  • 2019년 의료법 시행규칙에 따라 감염관리가 필요한 시설(수술실, 분만실, 중환자실 등)에 대하여 출입기준을 준수함은 물론이며 출입자에 대한 입실, 퇴실, 연락처 등의 출입 사실에 대한 기록을 남겨 1년간 보존하도록 의료기관의 특수 실에 대한 출입기준이 개정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이러한 내용에 대하여 수기로 작성을 하거나 오기 등의 이유로 불편함이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IoT 장치와 UWB 기술을 활용하여 인가된 사용자에 대한 자동 개폐 및 출입 기록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고, 이를 통해 출입자의 편의와 시스템화된 출입통제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일반병동 전실예정의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Burden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Patients : Planned Transfer to General Ward after Intensive Care)

  • 이혜숙;유미애;이수경;손연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11-223
    • /
    • 2014
  • 본 연구는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횡단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일정기간 집중치료를 받고 신체상태가 안정적으로 회복되어 일반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의 가족 중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101명이 연구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8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객관적 부담감은 전실 시 환자의 의식수준, 환자 몸에 부착된 기계장치의 수, 기관절개관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환자 가족의 주관적 부담감의 경우 환자의 성별, 환자의 교육수준, 환자와의 관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은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인 회귀분석에서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으로 객관적 부담감의 경우 전실불안이, 주관적 부담감은 환자 성별과 전실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인으로 제시되었고, 각각의 설명력은 12.7%와 23.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이 환자 가족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퇴실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각 대상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맞춤형 전실교육을 통해 환자가족의 부담감을 적극적으로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만성질환을 동반한 노인 응급환자 추이: 2014-2019 (Trend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 2014-2019)

  • 이명화;김지연;허영진;오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83-190
    • /
    • 2021
  • 본 논문은 만성질환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노인 환자의 응급의료 이용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4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 자료에서 응급실 퇴실 주 진단 상병코드가 8개 만성질환에 해당하는 환자를 선택하여 응급실 이용 현황 및 응급실 내원과 입원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2014년을 기준으로 만성질환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노인 환자는 지속 증가하였고, 특히 85세 이상의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만성질환별 응급실 내원 비율 변화추이에서는 대부분 질환에서 증가세를 보였고(P<0.001), 그 중 허혈성심장질환, 관절병증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고지혈증은 전 연령에서 감소세를 보였다(P<0.001). 응급실 입원율 변화 추이에서는 고지혈증, 고혈압, 결핵을 제외한 만성질환에서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P<0.001).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환자의 응급실 내원 및 입원율의 지속적인 증가는 응급의료자원의 점유 및 의료 소비량 증가 문제를 가속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만성질환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