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항 특성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f Traffic Safety and Harbor Tranquility due to Port Expansion (항만확장에 따른 통항안전 및 항만정온도 검토)

  • Moon, Seung-Hyo;Kwon, Seong-Min;Lee, Jo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64-67
    • /
    • 2017
  • 화물량이나 해상관광객 유입 확대 등 항만수요의 증가에 따른 대응으로 항만을 확장하거나 신규항만을 계획하게 된다. 우리나라 어항의 경우 경관이 수려하고 청정지역으로 분류되어 개발여지가 크다. 이중 감포항의 경우도 해상을 통한 연안 화물의 운송확장과 어항의 기능에서 연안항의 여건을 갖추고 경주와 연계한 해양 관광벨트를 구성하여 친수공간 조성, 송대말 등대 컨텐츠 사업 등 해양관광의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집중개발을 추진 중에 있어서 종합적인 관점에서 항만확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추진 중인 항만확장과 관련하여 남측 및 동측의 항만확장안에 대해 선박의 통항안전 및 계류한계파고에 대한 항만 정온도 여부를 제 3세대 수치파랑 모형인 SWAN모형과 강비선형 Boussinesq 방정식을 적용한 불규칙파 Bouss-2D 모형을 적용하여 모형간 특성을 도출한 후 현재안과 각 대안별로 파랑반응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각 대안별로 장래 항만확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n the Navigational Dangerous Elements in South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서남해 연안해역의 항행 위해요소에 관한 분석)

  • Baek, Won-Sun;Gim, Ok-Sok;Jeong,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3
    • /
    • pp.219-225
    • /
    • 2008
  • Since July 2006, marine traffic safety management system have been enforced to support the vessels transiting across the coastal area and the vessels coming in and out of ports in southwestern coastal area where heavy traffic density and marine casualties occurred frequently. The marine traffic volume for the marine traffic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measured by the information from RADAR and AIS system in the area. The distributions of marine casualties were analyzed in the main routes and traffic separation schemes during the last five years and the navigational dangerous elements were investigated with the influence of natural environment, the distribution of fisheries and survey questionnaire. Marine accidents of merchant ships have a tendency to decrease gradually but in case of fishing boats, the rate of marine accidents have a contrary results in this area during the last five years. The dangerous elements on navigation appeared to be the dense force from June to August, fisheries activities and the vessels which not follow the compulsory watch on VHF-band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s.

  • PDF

A Study on the Navigation Rules of Wing-In-Ground Effect Craft (수면비행선박의 통항항법에 대한 고찰)

  • Yun, Gwi-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5
    • /
    • pp.491-496
    • /
    • 2013
  • Since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hereafter IMO) has decided the Wing-In-Ground craft as one of the ships, A few regulations and recommendations have been revised and approved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However, the navigation rules considering types and navigation characteristics to secure the safe navigation of Wing-In-Ground craft are not sufficient and especially, there are no navigation rule between Wing-In-Ground crafts. In this situation, it is judged that the navigation rules related to the Wing-In-Ground crafts in any condition of visibility should be moved to the section of the ones in sight of one another to define the responsibilities between WIG and other vessels, and the new regulation, which Type 'B' and 'C' WIGs should avoid Type 'A' WIG, has to be established to ensure the safe navigation between WIGs on the current laws.

Development of a Calculation Model for an Optimal Safe Distance between Ship Routes and Offshore Wind Sites (선박 통항로와 해상풍력단지 간 최적의 이격거리 산정 모델 개발)

  • Ohn, Sung-Wook;Namgung, 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6
    • /
    • pp.973-991
    • /
    • 2022
  • Globally, several countries with sea are using eco-friendly energy resources through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by overcoming the weak point of the existing power generation method. The sea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velop large scale wind farms in wide waters, but the installation of marine structures threatens the safe operation of vessels. Accordingly, a standard guideline for safe navigation by analyzing the mutual effects between ship routes and offshore wind site was presented by the PIANC. Nonetheless, the standard guideline calculated the same safe distance in all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calculation model for an optimal safe distance between ship routes and offshore wind sites by reflecting the ship's maneuvering, encounter situations, environmental force, traffic density,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s, and channel types. As a result of the validation simulation, the developed model showed that the optimal safe distance was secured.

경인 아라뱃길 해상수로교통관제(VTS) 시스템

  • Yu, Je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46-48
    • /
    • 2011
  • 본 시스템은 국내 최초의 내륙수로인 경인 아라뱃길에 통항하는 모든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해 필요한 운항정보를 제공하며, 주운수로의 특성을 고려하여 레이더, AIS, CCTV를 이용하여 해양에서는 고성능 레이더로 선박관제를 하고, 협수로에서의 관제능력 향상 및 전파 음영구역 해소를 위하여 DGPS를 이용한 AIS시스템과 지능형 CCTV시스템을 도입하였다.

  • PDF

시계제한 시 선박운항통제에 관한 소고

  • Kim, Min-Ho;Seo, Cheol-Jun;Park, Jo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1-13
    • /
    • 2019
  • 선박운항통제란 관제구역 내 기상특보가 발효되거나 시계가 500미터 이하로 불량한 경우 운항을 통제하는 행정규칙이다. 이는 저시정 및 기상특보가 발효한 위험한 상황에서 통항을 통제하여 사고위험을 대비하는 행정규칙이나 국지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특성의 안개와 넓은 관제구역에 어느 지점이 500미터 이하라는 기준 적용의 애매함으로 인해 선박운항자 및 관계자들로부터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선박운항통제에 대한 근거법 해석과 운항통제의 실제적인 문제점에 대한 개선점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Basic Research on the Elements of Maritime Traffic Characteristic Model (해상교통 특성 모델의 요소 식별에 관한 기초 연구)

  • Oh, Jae-Yong;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
    • /
    • 2019
  • 일반적인 해상교통 분석 방법은 대상 항만의 항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한 후 모델을 구축하며, 구축된 모델을 바탕으로 해상교통 현상을 재현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항로 혹은 통항량 변동 등의 변화에 따른 교통류를 예측할 수 없어 그 활용에 제약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해상교통 분석 사례를 통해 교통 특성 모델의 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동적인 해상교통 환경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에이전트 기반의 교통류 생성 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항로표지용 플라스틱 부표의 특성 분석

  • Kim, Jong-Uk;Han, Ju-Seop;Jo, Gyeong-Ju;Gang, Se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63-265
    • /
    • 2011
  • 우리나라 해역에서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와 선박교통량의 증가 및 항만과 해양개발 등으로 해상교통 환경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항로의 좌 우 측방 한계 표시, 항행위해요소의 표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표류는 항만, 연안해역 및 내륙수로에서 통항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그 수요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변화하는 해양교통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부표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경량화, 내부식성, 저비용 등 장점으로 정온도가 유지되는 항내나 내륙수로 등에서 국제적으로 항로표지용 부표로 이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부표의 국외 개발 동향, 제조 방법 및 시제품의 특성 평가를 통한 기술 향상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A Basic Study on Establishment of Sea Trial Prohibition Waterway Based on Marine Traffic Survey (해상교통량 조사 기반 시운전금지해역 설정 기초 연구)

  • Park, Young-Soo;Kim, Jin-Kwon;Kim, Jong-Sung;Kim, Jong-Soo;Lee, Yun-Sok;Park, Sang-Wo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3
    • /
    • pp.318-325
    • /
    • 2015
  • Korea has very strong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world, so many new ships are constructed in Korean shipyards. These built vessels are carrying out sea trial at sea before delivering to shipowner, and sea trial ships cause navigation risk to other passing vessels to accomplish sea trial tests as quick turning, zigzag maneuvering and crash astern etc. in traffic congestion conditions. It occurred more than 1 collision accident related sea trial for recent 5 years. It has been increased about 30% of risk because of navigation of sea trial vessel by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This paper analyzed marine traffic density surveyed by AIS data for 7 days, and investigated position of marine accidents for 5 years in Korean coastal waterway, it established the sea trial prohibition areas as 10/100 level of total marine traffic volume, which is considered no danger for ship operator. This analyzed maritime safety law for setting of the prohibition waters to propose the basic legal system. It makes contribution to marine pollution prevention by setting of the sea trial prohibition water to improve the ship's navigation safety.

LED 등명기의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특성 변화

  • Kim, Jong-Uk;Ji, Hyeong-Min;Yu, Yong-Su;Han, Ju-Seop;Gang, Se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85-386
    • /
    • 2013
  • 우리나라 해역에서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와 선박교통량의 증가 및 항만과 해양개발 등으로 해상교통 환경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항로의 좌 우 측방 한계 표시, 항행위해요소의 표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등 명기는 항만, 연안해역 및 내륙수로에서 통항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그 수요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항로표지에 사용하는 등명기의 정기검사는 항로표지법 제31조 및 "항로표지용장비 용품검사기준(해양수산부고시 제2013-101호, 2013.5.8)"에 따라 3년 주기로 수검하여 합격품에 한하여 사용토록 규정하고 있다. 등명기의 정기검사 유효기간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설치장소, 해상여건 등을 고려한 현장시험을 통하여 등명기의 사용 기간에 따른 열화 특성을 조사하고 적정 정기검사주기 및 교체 주기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ED 등 명기의 실제 사용 환경에서 사용 경과 시간에 따른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및 외관상태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LED 등명기의 특성 변화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