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항량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정박지 항행관련 VTS의 역할에 대한 고찰

  • Choe, Gyeong-Sik;An, Byeong-Ok;Jeong, Gi-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215-217
    • /
    • 2010
  • VTS 관할 구역 중 정박지에서의 해양사고가 빈발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우선 울산항의 해양사고 통계를 통해 정박지에서의 해양사고의 비중이 의외로 높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정박지에서 투묘를 위한 접근단계에서부터 양묘단계까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박지 통항량의 감쇄, 정박지 지정의 전략, 단계별 맞춤형 적극적인 정보 제공, 정박 중 안전관리 방안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 PDF

해양사고관리시스템의 개발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사고관리체계를 중심으로

  • Song, Hyeon-Ung;Jeong, Dae-Deuk;Song, Hui-Seon;O, Tae-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311-315
    • /
    • 2014
  • 최근 조선기술의 발달과 해운업체의 요구로 선박이 점차 고속화 대형화됨에 따라 선박의 통항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해양사고의 위험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해양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을 설치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그러한 안전장치에도 불구하고 해양사고 발생하였다면 VTS는 보고체계에 따라 사고내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파하는 등 초동조치를 취하여 더 이상 사고위험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하지만 각종 사건이나 사고가 발생하면 상황 보고 및 지휘 체계는 아직 팩스나 구두보고에 의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신속하고 효율적인 사고처리업무를 저하시킨다. 이 연구에서는 팩스나 구두보고 등 그동안 사용되었던 사고처리체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해양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해양사고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선회조기감지시스템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Jeong, Chang-Hyeon;Park, Yeong-Su;Lee, Yun-Seok;Gong, Gil-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120-122
    • /
    • 2014
  • 선박의 조타기 작동 신호를 AIS를 통하여 전달함으로써 상대선박의 변침의도를 신속히 파악하여 충돌위험을 피할 수 있는 선회조기감지시스템을 구현하고 실선실험을 통하여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실선실험을 통해 선박의 타각정보가 AIS를 통해 송 수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ECDIS에 표시된 타각정보는 주변선박의 충돌회피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회조기감지시스템은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정보 제공의 필요성, 선박 통항량 증가 및 고속화 등으로 인한 위험성 증대로 VTS관제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는 상황에서 선박의 조타각이 표시된 해당 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변침상황을 보다 신속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관제가 보다 쉬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선박의 침몰이나 VDR의 소실로 인한 해양사고 분석의 어려움도 AIS를 통한 조타신호가 저장된 해양안전종합정보시스템(GICOMS)의 분석을 통해 다소 해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한 140K 컨테이너선의 부산항의 주요터미널 안전 접.이안을 위한 표준 및 응급 조선법에 관한 연구

  • Gang, Eul-Gyu;Je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4-36
    • /
    • 2013
  • 부산항 및 부산신항 개발의 특징은 매립으로 인하여 가항수역은 협소화되는 반면에 선박은 대형화되면서 흘수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점점 더 깊은 수심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초대형선들은 출입항선 상호간의 간섭이 증가하고, 심흘수화로 인한 조종성능의 저하와 비상시 대응책의 한계를 드러내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전반적인 선박 통항량의 증가는 거대형 컨테이너선이 부두전면에서 회두하거나 감속, 접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서 항만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주변수역의 안전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의 안전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초대형 선박의 조종특성과 주변 여건을 다각도로 고려한 최적의 표준 조선방법 및 응급조선을 2D베이스로 개발된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Basic Research on the Elements of Maritime Traffic Characteristic Model (해상교통 특성 모델의 요소 식별에 관한 기초 연구)

  • Oh, Jae-Yong;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
    • /
    • 2019
  • 일반적인 해상교통 분석 방법은 대상 항만의 항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한 후 모델을 구축하며, 구축된 모델을 바탕으로 해상교통 현상을 재현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항로 혹은 통항량 변동 등의 변화에 따른 교통류를 예측할 수 없어 그 활용에 제약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해상교통 분석 사례를 통해 교통 특성 모델의 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동적인 해상교통 환경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에이전트 기반의 교통류 생성 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VTS 운영성과 분석을 통한 관제서비스 개선방안 고찰

  • 허학선;정재연;정병우;박성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7-10
    • /
    • 2022
  • '21년 전국 20개 해상교통관제센터의 선박통항량, 교신량, 관제정보 제공 등 VTS 운영실적 분석 및 사고현황, 원인 분석을 통한 관제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해양사고 예방기능 강화를 위해 관제사 경험·직관에 의한 관제에서 빅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 첨단관제로의 전환, VTS 운영성과에 대한 공신력 확보 및 첨단관제 기술개발에 활용 등을 위한 VTS 통계관리체계 개산 방안에 대해서도 고찰해보았다.

  • PDF

Jeju and Seogwipo Costal Control Workload based on VTS Big Data (VTS 빅데이터를 활용한 제주·서귀포 연안 관제 업무량 산정)

  • Ji-Hee Kim;Kwang-Il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67-268
    • /
    • 2022
  • Jeju coastal waters are limited to high-risk areas due to the passage of international cruise ships, passenger ships,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fishing boats, or to the jeju port and the jeju civilian-military combined port and near by seas, so a VTS system will be established along jeju and seogwipo coast. There is no accurate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people required by the maritime traffic control center. Therefore, this study calculated the required operating personnel for control seats on the coast of jeju and seogwipo by using VTS big data to efficiently calculate the workload of maritime traffic control.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basic data for research that sets the standard for calculating the control workload.

  • PDF

A Basic Study on Establishment of Sea Trial Prohibition Waterway Based on Marine Traffic Survey (해상교통량 조사 기반 시운전금지해역 설정 기초 연구)

  • Park, Young-Soo;Kim, Jin-Kwon;Kim, Jong-Sung;Kim, Jong-Soo;Lee, Yun-Sok;Park, Sang-Wo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3
    • /
    • pp.318-325
    • /
    • 2015
  • Korea has very strong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world, so many new ships are constructed in Korean shipyards. These built vessels are carrying out sea trial at sea before delivering to shipowner, and sea trial ships cause navigation risk to other passing vessels to accomplish sea trial tests as quick turning, zigzag maneuvering and crash astern etc. in traffic congestion conditions. It occurred more than 1 collision accident related sea trial for recent 5 years. It has been increased about 30% of risk because of navigation of sea trial vessel by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This paper analyzed marine traffic density surveyed by AIS data for 7 days, and investigated position of marine accidents for 5 years in Korean coastal waterway, it established the sea trial prohibition areas as 10/100 level of total marine traffic volume, which is considered no danger for ship operator. This analyzed maritime safety law for setting of the prohibition waters to propose the basic legal system. It makes contribution to marine pollution prevention by setting of the sea trial prohibition water to improve the ship's navigation safety.

A Proposal of Bridge Design Guideline by Analysis of Marine Accident Parameters occurred at Bridges Crossing Navigable Waterways (항만횡단 해상교량의 해양사고 관련 인자 분석을 통한 교량설계안 제안)

  • Park, Young-Soo;Lee, Yun-Sok;Park, Jin-Soo;Cho, Ik-Soon;Lee, 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2 no.10
    • /
    • pp.743-750
    • /
    • 2008
  • Recently Bridges crossing waterway are constructed in navigable waterway, so marine accidents near bridges navigable waterway often occurred bemuse that has affect dangerous element for. This paper analysed the necessary environmental factors to navigate safely near bridges and how to set up the environmental factors. Marine accidents elements occurred near bridges relate to span of bridge, size of navigating ship, length of straight way and traffic volume except mistake of mariners. As results of marine accident parameter analysis, Span of bridge is necessary more than 300m at least based on marine accident's analysis, and in case of more than ship's Length 150m, span of bridge is necessary more than 500m, $3{\sim}4L$(L; Ship's Length). Length of straight way before bridge is necessary more than 8L to minimize the marine accident.

Improving Assessments of Maritime Traffic Congestion Based On Occupancy Area Density Analysis for Traffic Vessels (통항선박의 점용영역 밀집도 분석을 통한 해상교통혼잡도 평가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Soung-Tae;Rhee, Hahn-Kyou;Gong, 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2
    • /
    • pp.153-160
    • /
    • 2017
  • It may be reasonable to consider density per unit area over time rather than analyze traffic volume, which is simply the traffic volume per unit of time, in assessing the maritime traffic congestion of a certain area.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tandardization of maritime traffic congestion assessment methods for the maritime traffic safety diagnosis institute while seeking a new method to minimize evaluation error due to converted traffic volume per ship tonnage level.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to evaluate maritime traffic congestion by comparing the area occupied by a vessel with the area of its route using vessel identification data from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has been proposed. In this new model, it is possible to use actual data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ducing conversion error while allowing for the evaluation of maritime traffic congestion by ro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