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항량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Traffic Flow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Ship's Routing of Po-hang Port (포항항 항로지정을 위한 주요 통항로 및 통항 특성에 관한 연구)

  • Song Chae-Uk;Lee Yun-Sok;Park Young-Soo;Kim Jin-Kwon;Lee Yun-Chul;Kang Je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5.10a
    • /
    • pp.111-116
    • /
    • 2005
  • The approaching waters of Po-hang port will be increased the traffic volume and passage of larger vessel according to the opening of Young-il new port in 2006. But the adjacent area of Po-hang port still exist the danger elements of safe navigation, the disordered navigation and traffic congestion. Therefore the safety of traffic must be improved in Po-hang vicinity area. This paper describes the status of marine traffic flow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marine traffic survey using the exclusive software, and the results of marine traffic survey classify into the ship's types and tonnage and track history of passing ships through the statistical method. Finally the examinations of main traffic route, traffic flow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and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the best design of ship's routing at the Po-hang approaching water.

  • PDF

맞춤형 관제지원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Song, Hyeon-Ung;Park, Heung-Ryeol;Ji, Mi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542-544
    • /
    • 2012
  • 조선기술의 발달과 해운업체의 요구로 선박이 점차 고속화 대형화됨에 따라 선박의 통항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해양사고의 위험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어선이나 예선 등 소형선도 AIS(선박자동식별장치)를 설치하면서 관제대상 선박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선박이 항만으로 진입하기 이전 단계에 해양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항만관제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관제사의 업무량 및 스트레스도 증가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중인 관제시스템은 모두 외국 제품으로 관제사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여러 기종이 혼재해 있어 VTS 간 연계도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제장비를 통합 연동하여 관제사의 업무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전국 VTS 및 관련 기관 업체와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맞춤형 관제지원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 및 개념, 주요기능, 활용방안 등을 모색하여 보았다.

  • PDF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관제정보 DB 구축 및 활용 방안: 장안서 해역을 중심으로

  • Song, Hyeon-Ung;Lee, Sang-Rok;Jeong, Dae-Deuk;Gang, Nam-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91-394
    • /
    • 2013
  • 조선기술의 발달과 해운업체의 요구로 선박이 점차 고속화 대형화됨에 따라 선박의 통항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해양사고의 위험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어선이나 예선 등 소형선도 선박자동식별장치(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를 설치하면서 관제대상 선박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관제사의 업무량 및 스트레스도 증가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관제센터에서 관제운영을 위해 사용중인 관제시스템을 제외하고는 관제사의 업무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은 연구된 바가 없다. 이 연구에서는 전자해도 기반의 관제사 지원 시스템의 주요 기능 중 관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양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관제통계분석 기능에 대한 개념, 주요기능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여 보았다.

  • PDF

군산항 항로횡단 해저케이블 해상교통안전진단

  • Yu, Sang-Rok;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41-343
    • /
    • 2012
  • 농어촌민들에게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낙후도서에 해저케이블 공사 중인 곳이 많다. 특히 선박통항량이 많은 무역항내 해저케이블 공사는 준설이 수반되기 때문에 안전위해요소가 많다. 안전위해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고찰해 본다.

  • PDF

PortMIS 관제대장을 활용한 항만 내 항로 해상교통분석

  • Kim, Gwang-Il;Kim, Ji-Gwan;Gang, Sa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331-332
    • /
    • 2015
  • 항만운영전산망(PortMIS)은 항만 내 선박 입출항, 투묘, 양묘, 이동 등 모든 항만운영관련 사항들이 포함된 정보망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VTS등에서 PortMIS 통계자료 활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표는 PortMIS 통계현황을 분석하고, PortMIS 관제대장 분석을 통해 해상교통안전분야에 활용 가능한 통계분석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관제대장을 활용하여 제안되는 기능은 시간별, 선박별, 항로 통항량 산출 및 예측기능이다.

  • PDF

항로표지 사고예방 및 관리운영을 위한 블랙박스 활용방안 연구

  • Park, S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26-328
    • /
    • 2013
  • 선박의 고속화 및 대형화, 통항량의 증가와 더불어 항로표지시설에 대한 수요와 기능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항로표지의 관리와 운영에 대한 보호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일환으로 해상 환경에 맞는 감시장비에 대한 연구와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목적으로, 인력에 의한 관리 한계를 보완하고, 고비용 감시장비에 대한 예산 절감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해상교통량 기반 집중관제 구역에 관한 기초 연구

  • Park, Sang-Won;Park, 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71-272
    • /
    • 2018
  • 부산항 신항은 현재 21개의 선석 규모에서 2030년까지 총 40선석까지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다. 항만의 확대에 따라 선박 통항량 증가가 예상되며, 이를 대비해 해상교통관제도 해상교통량을 기반으로 집중관제구역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산항 신항을 대상으로 해상교통위험도 모델을 이용해 위험구역을 정량화하고 집중적으로 관제가 필요한 구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관제구역 내 어선 사고 예방을 위한 VTS의 역할 연구

  • Im,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36-38
    • /
    • 2019
  • VTS는 해상사고를 예방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임이 입증 되어왔다. 그러나 여러 한계로 인해 VTS의 어선 관제가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해상사고의 70%가 어선관련 사고 임에도 불구하고 어선 사고 방지를 위한 어떠한 장치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하여, 어선의 VTS 관제대상선박 추가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어선 관련 사고를 예방할 VTS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VTS 관제구역 내 어선들의 이동 패턴을 1년간 분석하고 해상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관제 대상 선박과 어선의 사고율 감소를 위한 VTS 관점에서의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부산신항 적극적 관제 장려 방안 연구

  • Yu, Sa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63-65
    • /
    • 2011
  • 부산신항은 지형적인 특성상 마산 방면에서 입출항하는 선박과 신항으로 입출항하는 선박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대형 컨테이너선과 저속 예부선 등의 통항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년 중 안개일수도 많아 충돌사고 위험이 상존한다. 따라서 선박에 정보제공 정도만 하는 소극적 관제 보다는 선박의 이동에 개입하는 적극적인 관제가 사고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부산신항의 관제 자료 및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사례 등을 통하여 충돌사고의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적극적 관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부산신항에서의 적극적 관제 사례와 문제점을 주로 법률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적극적 관제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보았다.

  • PDF

A Study on Maritime Traff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ater Time(Multte) (물때에 따른 해상교통특성에 관한 연구)

  • Yoo, Sang-Lok;Jeong, Cho-Young;Jeong,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1 no.5
    • /
    • pp.501-506
    • /
    • 2015
  • This study seeks to analyze ships traff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ater time in order to provide the necessary data for efficient traffic management development. To analyze maritime traffic volume according to water time, 1 year amount of solar calendar data were converted into lunar calendar, and then applied the traditional water time system of West Sea by using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observation data gathered in Mokpo port for a year of 2013. As a result, it was found herein that the number of outbound ships was larger on the $2^{nd}-3^{nd}$ water times than the $7^{th}$ water times by 23-24 %. And the number of inbound ships was higher on the $12^{th}-13^{th}$ water times than the $9^{th}$ water time by 29-33 %. The hourly variation index of inbound and outbound ships according to time, in particular, was found to change in the form of sine function model.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necessary basic material for development of maritime traffic management according to water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