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 모빌리티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 seconds

Development of Maritime-S2X, Ship Centric Direct Communication for Autonomy of Maritime Mobility (자율 해상 모빌리티 환경 구현을 위한 선박중심 직접통신 개발 방안)

  • Woo-Seong Shim;Bu-Yo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12-113
    • /
    • 2021
  • 선박을 주로 하는 자율 해상 모빌리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필수적인 직접통신의 필요성에 대응하여 M-S2X 통신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M-S2X 통신을 선박중심 직접통신, SCDC(Ship Centric Direct Communication)으로 정의하며 선박과 선박 통신 중에서 선박과 선박 통신의 대용량 및 고속화가 필요한 점, 그리고 선박 운항 안전을 위한 통신 수요의 대부분이 선박을 중심으로 그 주변 객체와 상호 통신이 필요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관련 연구에서 선박과 선박, 선박과 육상 간 통신 소요를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기존 AIS등의 레거시 해상통신만으로는 자율운항선박과 같은 해양 모빌리티의 자율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M-S2X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로 VDE와 비면허대역과 같은 고대역의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선박과 같은 해양 모빌리티가 주변의 객체(선박, 해양모빌리티, 인프라, 익수자 등)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프라 환경을 제공한다면 향후 도래할 해양 모빌리티 환경의 기본 통신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해상 모빌리티 통신인프라 구현을 위한 VDES 개발 및 활용방안

  • 심우성;김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06-407
    • /
    • 2022
  • 자율운항선박, 무인선과 같이 전통적 선박 형태에 자율성이 부여되는 형태로의 발전과 함께 드론, 비행체 같은 비행 형태까지 포함하는 해상 모빌리티는 기존 통신 체계 대비 실시간성 향상 및 대용량 데이터 교환이 요구되는 새로운 해상 안전 운항 체계가 수반되어야 한다.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 송수신기를 장착한 국내 선박의 경우, LTE급의 통신 서비스를 연안 최대 100km까지 받을 수 있지만, 국제 항해를 하는 국적선과 외국적 선박을 포함하는 해상 모빌리티 안전 운항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VDES(VHF Data Exchange System)와 같은 국제협약에서 인정하고 해상이동서비스(Maritime Mobile Service)에 속하면서 기존보다 빠른 통신망의 보급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해상 모빌리티 구현을 위해 필요한 해상무선통신망의 하나로 VDES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그간의 개발 현황으로부터 향후 VDES 서비스 도입 및 활용방안에 관해 논한다.

  • PDF

A Research on Forecasting Change and Service Direction for the Future Mobility System (미래 모빌리티 체계 변화 예측 및 서비스 방향 연구)

  • Kwon, Yeongmin;Kim, Hyungjoo;Lim, Kyungil;Kim, Jaehwan;Son, Woongbe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9 no.3
    • /
    • pp.100-115
    • /
    • 2020
  • The manufacturing-oriented mobility system is being reorganized around the future mobility system represented by electrification, sharing, and autonomy, driven by the social deman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hanges in future mobility systems are expected to accelerate thanks to advances in IT technology.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t survey (N=23) to predict the direction of changes in the future mobility system. Through the survey, 'mobility sharing' was selected as a key factor in the future mobility system among four future mobility. In addition, 'safety' was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service factors in future mobility system among eight future mobility service factor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design policies and service directions of preparation for the future mobility system.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n Smart Mobility : Topic Modeling Approach (스마트 모빌리티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 토픽 모델링의 적용)

  • Park, Jungtae;Kim, Choongyoung;Kim, Tae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2
    • /
    • pp.85-100
    • /
    • 2022
  • Recently, with the widespread expansion of convergence based on digital connectivity, the transportation and mobility fields are rapidly changing, and research related to this is also diversify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the mobility field and identify key research areas and topics. Topic modeling analysis has been proved as a useful approach for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The abstracts of 142 research papers concerning mobility from the Korean academic citation index were analyzed, derived 9 research topics and linked to 6 key elements of research framework. The result showed that 'Advanced vehicle and transportaion technology' and 'Linkage and integrated services among means for mobility' were most actively studied research fields. It also found that research on insurance, law, regulation for securing user's safety and conflict-resolving with the existing industry has been conducted.

Electric Vehicle-Drone Transforming Mobility with AFPM (AFPM을 적용한 전기차-드론 트랜스포밍 모빌리티)

  • Myeong-Chul Park;Jun-Ho Lee;Ui-Yeon 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271-272
    • /
    • 2024
  • 현재 자동차 산업은 내연기관에서 전기차 시스템으로 접어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 정책이 이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자동차 제조사들은 기존 내연기관 시스템으로는 불가능했던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기차에는 PMSM이 적용되고 있는데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토크 밀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AFPM은 기존 PMSM의 단점을 개선한 모터로, 부피와 무게가 작으며 토크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어 전기차의 In-Wheel Motor System과 UAM에 적용되는 모터이다. 하지만 전기차는 도로 주행만 가능하고 UAM은 비행만 할 수 있기 때문에, 미래 모빌리티인 전기자동차와 UAM이 통합된 모빌리티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과제에 적용되는 AFPM모터는 PMSM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차-UAM 트랜스포밍 모빌리티의 모터로 적합하다. 이 모빌리티는 자동차와 UAM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이동을 돕고 도시의 교통 인프라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 PDF

Methodology for Assessing an Integrated Mobility of the Passenger Passing through Intermodal Transit Center (복합환승역사 통행자 기반 통합 모빌리티 평가 기법 개발)

  • You, So-young;Kim, Kyongtae;Jeong, Eunbi;Lee, 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6 no.5
    • /
    • pp.12-28
    • /
    • 2017
  • The core of the transportation service, so-called Mobility 4.0 is the flexibility of the entire mobility and its implementation. By doing so, the most essential element is to build a platform to link a supply and a demand simultaneously. In other word, a comprehensive analytical framework is to be set with a data repository which can be periodically updated. With such circumstances, the entire trip chain including pedestrian movements is required to b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constructed at the viewpoint of the intermodal transit station. A few studies, however, have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the comprehensive analytical framework with the integrated mobility at intermodal transit station was proposed, which consisted of the three modules; 1) Data Repository Extracting from Smart Card DB, 2) Framework of Analyzing Integrated Mobility, and 3) Interpretation of the Integrated Mobility with GIS information and the other factors. A case study with the seven railway stations (Sadang, Sindorom, Samseong, Gwanghwanoon, Gangnam, Jamsil, Seoul Nat'l Univ. of Education) was conducted. The stations of the case study were clustered by the three groups with the statistical ground, and it is most likel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 variety of factors and a comprehensive data-driven analyses with the entire trip stages.

System Architecture of the Integrated Data Safety Zone for the Secured Application of Transportation-specific Mobility Data (교통 분야 모빌리티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통합데이터안심구역 시스템 아키텍처 개발)

  • Hyoungkun Lee;Keedong Y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3
    • /
    • pp.88-103
    • /
    • 2023
  •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systems are generating large amounts of mobility data related to the individual movement trajectories of vehicles and people. There are many constraints on utilizing mobility data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Thus, in South Korea, the processing and generation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and the analysis and utilization of this information have been managed in a dual manner by applying separate agencies and technologie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Data 3 Act and the enactment of the Data Basic Act. However, this dual approach fails to securely support the entire data lifecycle and suffers from inefficiencies in terms of processing time and cost. Therefore,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Expert Data Combination System and Data Safety Zone,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Data Safety Zone Framework that integrates and unifies the process of generating, processing, analyzing, and utilizing mobility data. The integrated process for data processing was redesigned, and common requirements and core technologies were derived. The result is an architecture for a next-generation Integrated Data Safety Zone system that can manage and utilize the entire life cycle of mobility data at one stop.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with Mobility as a Service :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 Jae Hoon Jeong;Oh Hoon K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2
    • /
    • pp.117-132
    • /
    • 2023
  • Mobility as a Service(MaaS) is an integrated mobility service that enables flexible reservation and payments for various transportation services on one platform, including existing public transportation. To popularize MaaS, users need to be satisfied with the service, and the factors that lower satisfaction need to be improved.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factors on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Improvement plans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were derived based on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and the decision tree model. The analysis revealed the level of connectivity in MaaS apps to be a significant factor that needs to be improved for a higher user satisfaction level of MaaS

New Silk Road in Mobility Market, TAXIO (모빌리티 시장 속 새로운 비단길, 'TAXIO(타시오)')

  • Koo, Ha Eun;Moon, Ga Hee;Park, Kwan Woo;Park, Ju Hye;Kim, Kyong Ah;Kim, Ji Sim;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297-298
    • /
    • 2021
  • 현재 코로나19의 여파로 아웃바운드 관광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모빌리티 시장의 활성화로 인하여 안전하면서 방해받지 않는 프라이빗한 국내 여행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은 아직 수요자와 공급자 등의 시장 체계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코로나19로 인하여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사람들에게 힘이 되어줄 수 있는 택시 투어 통합 애플리케이션인 'TAXIO'를 개발하였다. 중장년층도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UI와 Firebase와 Google Places API, Google Maps API, Weather API를 이용하여 기존 애플리케이션보다 쉬운 접근이 가능하게 개발하였다.

  • PDF

Force calculation method for Performance of partitioning that apply FDS (FDS 를 응용한 분할의 성능을 위한 힘 계산방법)

  • Oh, Ju-Young;Park, Do-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467-470
    • /
    • 2003
  • 통합설계의 분할 단계에서 스케줄링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FDS(Force-Directed Scheduling) 를 응용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분할될 노드를 선택하면서 그 노드가 스케줄 되어야 하는 제어구간을 결정한다. 그러나,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힘을 응용하는 기존의 분할 방법들은 알고리즘 실행시간은 현격하게 줄이는 반면 성능은 저하되는 결과를 보인다 FDS 응용 기법은 노드의 모빌리티와 구현비용에 따라 분할할 대상 노드를 결정하고 분할 이후에 다른 노드들의 모빌리티를 변경하게 된다. 따라서, 분할 대상 노드들 중에서 어떤 노드를 최초로 선택하여 분할하는가에 따라서 전체적인 분할의 결과가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힘 응용에 의한 분할 알고리즘의 실행시간 측면에서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처음 분할 대상 노드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논문에 의한 분할 결과는 기존 방법의 알고리즘 실행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개선된 성능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