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 관리 시스템

Search Result 4,074,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Integration for Port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항만건설사업관리시스템 통합화)

  • Jeong, Seong-yun;Kim, Young-jin;Kim, Tae-hak;Ok,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1-432
    • /
    • 2013
  • 본 연구는 기존에 운영 중인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 시스템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을 통합화하였다. 도로와 항만 건설사업관리는 대상목적물만 다르고 기본적인 업무프로세스는 유사하다. 따라서 통합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안정적으로 통합화하기 위해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을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도로건설사업관리시스템으로 통합하는 방식으로 추진하였다. 도로건설사업관리시스템은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보다 시스템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건설사업관리 업무프로세스 지원 및 관리기능이 안정적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시스템 통합화 과정에서 겪었던 애로사항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타 시스템을 통합화할 경우에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면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Risk Management System: Object-Oriented Approach (국내 은행금융기관의 통합 위험관리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객체지향적 접근)

  • Jung, Chul-Yo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4 no.2
    • /
    • pp.361-376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for integrated credit risk management system in domestic bank financial institutions. Credit evaluation system, loan processing system, credit monitoring system, and credit risk management system are integrated for efficient and effective risk-adjusted performance management in this framework. Risk exposures, not only for each credit, but also for bank's whole credit portfolio need to be measured and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of Value-at-Risk (VaR). The effects of changes in credit ratings of individual loaners on bank's credit risk exposure are also considered. We tried to model this integrated credit risk management system by using object-oriented modeling language, UML.

Design of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JMX (JMX를 이용한 통합 망 관리 시스템 설계)

  • 김대영;이종언;차시호;조국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475-477
    • /
    • 2004
  • 기존 원격 통신 네트워크나 서비스를 위한 관리는 통합된 관리 모델(SNMP/SMI)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기반 구조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음성과 데이터의 통합, 유선과 우선의 융합, 사업자간 서비스 영역 구분으로 인하여 기존 관리 시스템은 비능률적이고, 복잡하며, 구현과 큰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SUN에서 네트워크 관리 기술인 JMX(Java Management Extenstions)를 제공하고 있다. JMX는 어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아키텍처이며, 현존하는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합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JMX를 활용하여 통합 네트워크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통합관리시스템 운영개선방안

  • Kim, Dong-Tae;Kim, Hak-Seok;Yu,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10-313
    • /
    • 2013
  • 서남해 해역의 집약관리시스템, 기상신호표지시스템, 원격감시제어시스템 등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대책을 마련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Study on Technology for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통합수자원관리 기법 연구)

  • Kim Sung;Shim Kyu-Cheoul;Kim Ha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487-491
    • /
    • 2005
  • 오늘날 우리들이 직면하고 있는 물에 대한 주요 이슈는 인간과 환경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효율적 관리방안의 모색으로 볼 수 있고, 물관리의 위기를 극복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물관리 기술을 발전시켜 좀더 효율적으로 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통합수자원관리는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대안으로 자국 혹은 유역 현실에 적합한 통합수자원관리 계획수립을 바탕으로 통합수자원관리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구현되어질 수 있다. 통합수자원관리는 정책수행과정의 포괄적 의미와 시스템 구성요소에 입각한 협의적 의미로 정의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통합수자원관리는 다차원적 요소(인문, 사회, 환경, 경제, 제도 등)를 포함함으로 인해 그 절차가 복잡하며, 국가별 유역별 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계획$\cdot$이행되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통합수자원관리 계획수립 시 상존하는 구성요소의 다양성과 상충적 이해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전략으로 한국형 통합수자원관리 계획 기법수립을 위한 연구회 설립방안을 마련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수자원 통합지식관리시스템 개발)

  • Lee, Sung-Hack;Kim, Sung;Kim, Ha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338-342
    • /
    • 2006
  • 최근 들어 수자원관리에 있어서도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자원과 함께 생태, 환경, 사회, 경제적인 요소의 고려도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수자원관리자들은 통합수자원관리의 실현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수자원관리에 필요한 지식관리시스템(www.water21.net)을 구축하였다. 수자원 통합지식관리시스템에서는 지식을 구조화/체계화하기 위하여 관리계획의 준비, 모델의 구성, 계획의 수립, 계획의 평가 등 4단계로 구성된 프로세스 온톨로지(Ontology)를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수자원관련 지식의 효율적인 유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물 관련 지식의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버퍼 개념을 도입하고, 지식제공자들과 '물관련 지식공유협약'의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통합수자원관리에는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와 생태, 환경, 사회, 경제적 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 자원통합 지식관리시스템은 사용자들에게 물관련 정보를 빠르고 체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줄 것이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물관련 분야의 지식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Integrated Intelligent SCADA System for Industrial Facilities Management (산업설비 안전관리를 위한 지능형 원격감시 제어 통합시스템 연구)

  • 이성열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6 no.1
    • /
    • pp.51-64
    • /
    • 2000
  • 사회 기간산업이라 할수 있는 전기, 가스 석유등의 대단위 산업설비들은 사고 발생시 대량의 인명, 재산 피해를 가져오기 때문에 고도의 안전관리 시스템 하에서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 산업설비들의 안전관리는 서로 분산, 독립적인 안전관리 시스템들을 사용하고 있다 분산, 독립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은 산업설비에 대한 사고나 고장발생시 대부분 사람에 의존한 상황처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사고가 발생하면 다른 안전관리 시스템들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통합하는 과정을 거처 상황처리에 대한 대책을 세우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추가적인 인력소모와 시간소모가 발생하게 되고 상황처리자의 미숙한 상황처리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논문에서는 이러한 독립 안전관리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 정확하고 효율적인 상황처리를 위해 개별적인 안전관리 모니터 시스템들을 통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기존의 독립적이고 단편적인 상황추론을 국복하고자 통합된 지식베이스와 모니터 시스템들의 실시간 자료에 근거한 블랙보드 기반의 제어지식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상황추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각 시설물들에 대한 고장진단 시스템을 포함하는 지능형 원격감시 제어 통합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KM Integration Model thru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igital Library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디지털도서관과 지식관리시스템의 비교 분석을 통한 지식관리 통합모형 구현)

  • 최희윤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9 no.4
    • /
    • pp.113-135
    • /
    • 2002
  • An interface or integration among various information system is needed to construct knowledge management infrastructure. Particularly, digital library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have to be implemented in the view of integration for activating interaction of organizational knowledge. So this study conduct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systems in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management key factors, and then explores the ways toward an integration model. The integration model is designed for activating user interface and consistent flow of knowledge. This model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integrated system based on BIM (BIM 기반의 통합 공사관리 시스템)

  • Kim, Sung-Hoon;Sun, Oh-Young;Park, Young-Ho;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43-24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개발되어 지하철 919공구에 적용된 BIM 기반 통합 공사관리 시스템의 구축방법과 적용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최근 대형 국책사업이 발주, 시공되면서 효율적인 공사관리를 위한 PMIS 도입이 보다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텍스트와 그래프 위주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법의 하나인 4D, 5D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시도가 되고 있다. 한편, BIM은 건설 전 생애주기에 걸쳐 활용되어야 그 도입목적을 극대화할수 있으나, 현 단계에서는 계획 및 설계단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실제 공사중에는 그 활용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BIM 기반의 통합 공사관리 시스템은 공사중, 현장과 본사를 비롯해 발주처와 감리단 등 다수의 공사 주체들이 계획, 설계시 구축된 BIM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BIM의 공사중 활용성을 높일 뿐 아니라 유지관리 단계까지 확장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BIM 기반 통합 공사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절차를 살펴보고, 최종 구축된 통합시스템의 적용성 분석후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Unified Threat Management System Security Evaluation Model (통합보안관리 시스템 보안성 평가모델)

  • Kang, Sang-Won;Jeon, In-Oh;Yang, Hae-Soo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578-58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통합보안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주요 기능을 분석하고 시장동향을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기술 및 표준화에 관한 연구를 추진하고, 통합보안관리 시스템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통합보안관리 시스템의 보안성 품질 평가 모델을 통하여 통합보안관리 시스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