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항법시스템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4초

약결합 방식의 GPS/INS 통합시스템 설계 (Design of a loosely-coupled GPS/INS integration system)

  • 김종혁;문승욱;김세환;황동환;이상정;오문수;나성웅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86-196
    • /
    • 1999
  • The CPS provides data with long-term stability independent of passed time and the INS provides high-rate data with short-term stability. By integrating these complementary systems, a highly accurate navigation system can be achieved. In this paper, a loosely-coupled GPS/INS integration system is designed. It i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implement and preserves independent navigation capability of GPS and INS. The integration system consists of a NCU, an IMU, a GPS receiver, and a monitoring system. The navigation algorithm in the NCU is designed under the multi-tasking environment based on a real-time kernel system and the monitoring system is designed using the Visual C++. The integrated Kalman filter is designed as a feedback formed 15-state filter, in which the states are position errors, velocity errors, attitude errors and sensor bias errors. The van test result shows that the integrated system provides more accurate navigation solution then the inertial or the GPS-alone navigation system.

  • PDF

지상파 통합항법 서비스의 성능예측 시뮬레이션 툴 개발 (Development of the Simulation Tool to Predict a Coverage of the R-Mode System)

  • 손표웅;한영훈;이상헌;박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429-436
    • /
    • 2019
  • 위성항법시스템의 취약성에 따른 보완 시스템의 필요가 높아지면서, eLoran 시스템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도 서해 일부 지역에서 eLoran 시스템의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전 해양지역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송신국 설치가 필요하지만. 여러가지 현실적인 이유로 인해 추진되기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NDGNSS 기준국과 AIS 기지국을 활용한 측위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미 운영 중인 NDGNSS 기준국, AIS 기지국을 활용하면 전 해상에서 보다 높은 정확도의 탄력적 항법시스템 운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시스템이 통합운영 되었을 때의 성능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eLoran 시스템과 전국의 NDGNSS의 해양기준국, AIS 기지국을 활용한 지상파 통합항법시스템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툴을 제작하였다. ITU에서 배포한 송출 주파수와 거리에 따른 신호 세기, 대기잡음 등을 고려해 Cramer-Rao Lower Bound로 수신 신호의 측정 거리 오차를 계산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제로 전국의 NDGNSS 해양기준국에서 수집된 DGPS 신호 정보를 통해 300 kHz 신호의 연평균 대기잡음을 추정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다 정확하게 하였다. 해당 결과는 추후 진행될 지상파통합항법시스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형참조항법시스템의 발전 동향

  • 유영민;유명종;박찬국
    •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31
    • /
    • 2013
  • 본 고는 국내외의 지형참조항법시스템 관련 기술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형참조항법은 국외에서 1940년대부터 그 필요성이 대두된 학문으로 잠수정, 군용 전투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로 군사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1950년 ATRAN의 개발을 시작으로 1990년대 PTAN 지형참조항법기술까지 발전되어 무인기뿐만 아닌 Tomahawk 같은 유도무기에도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적인 제약과 GPS의 발달로 관련 연구가 주춤하였으나 컴퓨터 기술의 발달, 지형측정센서의 정확도 향상과 더불어 GPS 교란 가능성 등이 부각되면서 최근 다시 관성항법시스템(INS)을 보조하는 대체 항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주로 다중 측정치를 이용하는 방법과 비선형 필터를 이용하여 항법해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병렬 다중필터를 이용하여 항법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리고 다양한 지구물리데이터와 통합한 데이터베이스기반 복합항법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GPS/DME 통합항법시스템에서 전파고도계의 효과적인 사용 (Effective Use of Radio Altimeter in GPS/DME Integrated Navigation Systems)

  • 구문석;소형민;오상헌;황동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72-279
    • /
    • 2016
  • Many researches on use of local ground navigation systems can be found to overcome vulnerability of GNSS. Effective use of an altimeter is proposed in GNSS/DME integrated navigation systems. A weighted DOP based on statistics of measurement error is derived for a given vehicle motion trajectory. From the derived DOP, the vertical error is estimated. By comparing the estimated vertical error with error specification of the altimeter, use of the altimeter is determined in the GPS/DME integrated navigation systems. In order to show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50 times Monte-Carlo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a GPS/DME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gives more accurate navigation outputs when the number of GPS satellites in view varies.

고신뢰도 통합항전시스템에 대한 추세 분석 및 인증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rends on Safety Critical Integrated General Avionics Systems and Certification)

  • 박수진;이재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A)
    • /
    • pp.54-56
    • /
    • 2012
  • 민간 항공기용 통합항전시스템의 개발은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거의 경험이 없는 분야이다. 국내에서는 군수용 항공기의 항법전자장치의 국산화 개발은 일부 추진되었으나, 민수용 항공기 분야에서는 전무하다. 세계 시장에서 민간 항공기의 수요는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민간 항공기용 통합항전시스템을 국내에서 개발하고 시험, 인증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의 비행/항법 등의 계기를 통합하는 항공전자 연구개발의 필요성, 세계적인 흐름과 핵심기술력의 확보를 위하여 민간 항공기용 통합항전시스템 개발에 관련한 국내/국외 기술수준 및 산업 동향, 국내에서 개발한 통합항전시스템 인증의 필요성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GLONASS 현대화 및 실측 데이터 분석 (An Analysis of Modernization and Real Data of GLONASS System)

  • 최창묵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40-841
    • /
    • 2014
  • 전세계 위성항법시스템은 미국의 GPS, 러시아의 GLONASS가 운용되고 있으며, Galileo, COMPASS 등이 구축 중에 있다. 세계적인 시스템으로 발전한 GPS와는 대조적으로 GLONASS는 세계 위성항법 사용자는 물론 자국 내의 사용자에게까지도 외면 당해왔다. 이는 구소련의 붕괴이후 러시아의 재정문제로 GLONASS가 완전한 임무수행을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GLONASS 시스템의 현대화 정책을 분석하고,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실측데이터를 통해 시스템의 운용정도를 분석한 결과 정상작동 중이며 GPS와 GLONASS 통합 데이터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무인항공기용 항법센서 통합 비행제어 시스템 설계 (UAV Navigation Sensor Integrated Flight Control System Design)

  • 이동혁;정태원;이기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928-1929
    • /
    • 2011
  • 무인항공기란(Unmanned Aerial Vehicle : UAV)란 일반적으로 조종사 없이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또는 비행체 스스로 주위환경(장애물, 항로)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자율 비행(Autonomous Flying)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항법센서(Attitude Heading Referance System: AHRS)를 비행제어 시스템과 통합한 시스템에 관하여 다루었다.

  • PDF

자세측정용 GPS/INS 통합시스템 구성 및 비행 시험 (An Attitude Determination GPS and INS Integration Scheme: Design and Flight Experiment)

  • 김정원;황동환;이상정;박찬식;오상헌;김세환;안이기;이장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2-11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무인기용으로 개발된 자세측정용 GPS/INS 통합 항법 시스템의 설계 개념을 제안하고 비행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무인 항공기 자동 비행 시스템의 일부분으로 설계되었고 자세측정용 GPS 수신기, 항법 컴퓨터, 상용의 IMU(Inertial Measurement Unit)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된 항법 시스템은 소형 저가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무인 항공기의 안정된 비행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정확도를 가지는 자세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한 통합 항법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비행 실험을 통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비행 실험 결과 개발된 항법 시스템은 GPS 또는 INS 단독보다 정확한 위치, 속도, 자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특히 자세 결과는 기준 자세 시스템과 비교를 통하여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INS/GPS 통합 항법 시스템의 위치 오차 개선을 위한 IMM 필터 설계 (A Design of the IMM Filter for Improving Position Error of the INS / GPS Integrated System)

  • 백승준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21-22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위성 항법 해를 이용하여 INS의 순수항법을 보상하는 INS / GPS 통합 항법 알고리즘을 구성할 때 불안정한 위성 항법 위치 해 출력에도 안정적인 항법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IMM (interacting multiple model)필터를 설계하였다. INS / GPS 통합 항법 시스템 구조 내에 칼만필터를 서브 필터로 하는 IMM 필터 구조를 정의하였다. IMM필터 구성시 서브필터는 2개로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칼만필터는 INS의 오차 방정식으로부터 위치, 속도, 자세, 센서 오차 등으로 구성한 16차의 상태를 정의하고 추가로 위성항법의 유색 잡음(coloured measurement noise)영향으로 2차를 확장하였다. 제안한 IMM 필터의 성능을 확인하기위해 위성 항법에 임의의 오차를 위도와 경도에 삽입하고 필터의 추종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100회 수행하여 결과를 RMS로 비교한 결과 제안한 필터 방식이 오차에 대해 안정적이며 빠른 수렴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GPS/ GLONASS 통합 수신용 RF 전단부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bined RF Receiver Front End for GPS/GLONASS)

  • 주재순;염경환;이상정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94-502
    • /
    • 2001
  • GPS(Global Positiong System)와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는 위치와 시각을 제공하는 기초 기술이며 항법 분야, 측지분야, 자세 측정 및 제어 분야 등 그 응용분야가 다양하다. 그러나 GPS나 GLONASS는 각기 제한된 가시 위성의 수로 인해 정확한 항법 해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하나의 항법 시스템만을 이용하는 경우 의존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전략적인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GPS와 GLONASS 의 통합수신은 보다 정확한 항법 해를 구할 수 있고 보다 나은 시스템의 안정도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목적으로 GPS/GLONSS 통합 수신용 RF 전단부를 130$\times$80 mm$^2$의 PCB상에 구현하였고 실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지를 측정하였으며 GLONASS 수신기의 one chip화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