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추진방안

Search Result 43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도로와 지하시설물 정보의 효율적인 통합관리에 관한 연구

  • 김명호;신동빈;김감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57-260
    • /
    • 2002
  • 현행 도로기반시설물의 정보화추진계획은 각각의 지방자치단체와 시설물 관리기관별로 수립되어 있어서 관리기관간 구축정보의 공유 및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도로기반시설물 정보를 공동으로 구축함으로써 도로기반시설물정보의 공유 및 활용을 통해 소요비용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정보화사업의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리기관별로 추진되고있는 도로기반시설물 정보화사업에 대하여 통합추진방안을 제시함으로서 관리기관간의 정보공동활용기반을 조성하고 구축된 정보의 유지관리 및 갱신방안을 도출하여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도로기반시설물 통합관리 사업추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사전점검 및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확대적용을 위한 제도마련과 지침제공을 도모한다.

  • PDF

A Study on the us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Integration and Operation System in u-City (u-City 도시통합운영체계를 위한 공간정보 활용방안 연구)

  • Kim, Eun-Hy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3-50
    • /
    • 2007
  • 최근 수요가 급증되고 있는 u-City의 경우 성공적인 구축을 위하여 도시통합운영센터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나아가 이를 보다 확장시킨 개념인 도시통합운영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u-City의 핵심기반으로서 도시통합운영체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효율적인 도시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해선 공간정보 활용이 필요하다. 즉, 지자체에선 오래전부터 GIS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공간정보를 구축 활용하고 있다. 효율적인 도시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해선 공간정보의 활용은 필수적이며, 이는 u-City 추진의 핵심적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도시통합운영체계에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을 위해 u-City의 도시통합운영서비스와 관련하여 공간정보의 활용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통합의 당위성과 향후 방향

  • Gwak, Chang-Sin
    • 대학교육
    • /
    • s.147
    • /
    • pp.48-55
    • /
    • 2007
  • 대학 통합이란 2개 이상의 대학을 하나의 대학으로 합치는 것으로서 통합 방안에 대해 통합 전 대학의 지역사회, 동문, 교수, 학생, 학부모 등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견해가 표출되고 갈등 상황이 발생하는 등 그 추진이 매우 어려운 정책이라 할 수 있다. 대학별 갈등 양상은 개별 대학이 처한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갈등의 깊이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통합 추진과정에서 대학의 장과 구성원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슬기로운 지혜의 발휘로 원만히 극복하였다.

  • PDF

The Design Strategy for Implementing the Integrated Defense Information Management Center (국방통합정보관리센터 설계)

  • Suh, Ye-Young;Kim, Young-Do;Ahn, Byung-Oh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516-520
    • /
    • 2005
  • 최근 국내 ${\cdot}$ 외적으로 통합데이터센터의 출현으로 전산운영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우리군도 정보기술 추세에 따라 국방통합정보관리샌터 구축을 추진 중이나, 예산 부족과 현실적 적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방통합정보관리센터는 군의 정보자원 통합으로 기동성 보장과 단순화 및 정보화의 인프라를 제공하며, 향후 전장에서 무기체계 효과를 십분 발휘하기 위한 필수적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우리 군의 국방통합정보관리센터 구축을 위한 추진 방안을 제시하고 방안별 비교를 통한 방안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 PDF

Strategic Approaches for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통합수자원관리 추진방안)

  • Kim, Sung;Lee, Mi-Yeon;Jang, Su-Hwan;Lee, Sung-Hack;Kang,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50-1654
    • /
    • 2007
  • 홍수와 가뭄의 증가, 수질악화, 물부족 등 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한 논의가 국제사회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많은 학자들이 수자원관리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통합수자원관리를 주장하고 있지만, 추상적인 설명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한 정의, 원칙, 추진전략 등을 정리하여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갖는다. 첫째, 수자원관리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통합수자원관리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이고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시스템(係)'으로 수자원을 인식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으며, 통합수자원관리가 그러한 인식을 갖고 있는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둘째, 통합수자원관리의 정의, 원칙 등을 조사하였다. 통합수자원관리는 자연의 지속가능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경제적, 사회적 복지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물, 토지 및 관련 자원의 조화로운 개발을 위한 과정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원칙으로는 지속가능한 수자원의 개발, 이용 및 관리원칙, 물순환 체계 고려 및 유역관리원칙, 이해당사자 참여 및 조정의 원칙, 비용부담 및 편익 균형배분의 원칙 등이 있다. 셋째,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법제도 정비 및 부문별 통합관리강화, 수자원 관련 자료의 신뢰도 제고 및 의사결정 체계 구축, 관련계획과의 연계, 계획-실행-평가의 순환구축, 물관리 비용부담체계 구축 등이 통합수자원관리의 실행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개선을 위한 추진방안을 제시하여 국내 수자원관리의 문제해결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범람범위의 1차적인 정보에서 수립할 수 있었던 계획이 가질 수 있었던 한계점을 좀 더 향상된 정보를 이용하여 극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치수 방재 계획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group) 67개, 속(family) 161개로 분류되었으며, 가장 저차단위인 통(series)이 390개 분류되었다. 또한 작물이용측면에서 실용적 분류를 실시하였는데, 논토양의 경우 보통논, 미숙논, 사질논, 습논, 염해논, 특이산성논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이 31.9%, 23.0%, 31.9%, 9.1%, 3.9%, 0.2%이었다. 밭토양의 경우에도 보통밭, 사질밭, 미숙밭, 중점밭, 고원밭, 화산회밭으로 6개 유형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은 41.9%, 23.3%, 17.5%, 13.9%, 1.1. 2.2% 이었다. 도시화 및 도로확대 등 다양한 토지이용 및 지형개변으로 과거의 토양정보가 많이 변경되었다. 그래서, 앞으로는 인공위성자료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토양조사 방법개발과 기 구축된 토양도의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브로 출시에 따른 마케팅 및 고객관리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한다.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수 있다.36.4%)와 외식을 선호(29.1%)${\lrcorner}$ 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응답 하였으며,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

  • PDF

통합공공통신망 이용분석과 연동구축 방안

  • Ju, Ch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3
    • /
    • pp.53-65
    • /
    • 2016
  • 통합공공통신망 주파수 700MHz(상향: 718~728MHz, 하향: 773~783MHz) 대역에서 국민안전처 주관으로 'PS-LTE 재난안전통신망'구축, 국토교통부 주관 '무선통신 철도제어시스템 LTE-R'구축, 해양수산부 주관 '연안 해상통신망 LTE-M'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서로 다른 용도로 추진되는 3개 공공통신망의 특징을 조사하여 각각의 망이 제공하고자 하는 고유한 기능, 서비스를 만족시키며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공존하기 위한 방안을, 망간 단말 이동 사례와 서비스 연동 시나리오 관점에서 분석하고 3개 공공통신망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망연동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농.축협 2001년까지 통합-김성훈 장관 "농.축협 등 협동조합 개혁방안" 발표

  • Korea Swine Association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21 no.4 s.236
    • /
    • pp.84-87
    • /
    • 1999
  • 김성훈 농림부장관은 3월 8일 농림부 대회의실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농.축협 일선조합과 중앙회에 대한 협동조합 개혁방안을 대통령에게 보고한 후 확정 발표하였다. 김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해 조합별로 구조조정 작업을 강도 높게 추진 한데 이어 "협동조합을 농민을 위한, 농민의 협동조합 그리고, 농민조합원의 진정한 봉사조직으로 거듭나게 하기 위해 협동조합개혁 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개혁안은 지난해 7월 정부가 농.축.임.삼협 등 4개 협동조합에 "협동조합개혁위원회"가 건의한 개혁안을 토대로 공동개혁안을 합의하여 제출토록 하였으나 합의에 도출하지 못함에 따라 정부에서 2001년까지 농.축협중앙회 통합 등을 포함한 근본적인 개혁작업에 나서게 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 대해 많은 축산농가를 포함해 축산관련 기관.단체 인사들과 축협노조는 협동조합 개혁에는 찬성하면서도 농.축협중앙회 통합에 대해서는 전문화 시대에 역행한다며 반대하는 여론이 높아 통합이 실현될지 여부가 주목된다. 다음은 김성훈 농림부장관이 이날 발표한 농.축협 등 협동조합 개혁방안의 주 내용이다.

  • PDF

BcN 시범사업 추진방향

  • 이영로;이승택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8
    • /
    • pp.43-55
    • /
    • 2004
  • 지난 2004년 2월 광대역통합망 구축 기본계획이 확정된 이후로, 정부에서는 통신ㆍ방송ㆍ인터넷 대통합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미래에도 정보인프라 강국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계 최초의 광대역통합망(BcN) 구축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BcN 구축 촉진 및 이용활성화 유도하며, 관련 IT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들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중략)

국내 실내공간정보 추진 동향

  • Choe, Hyeon-Sa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4
    • /
    • pp.39-46
    • /
    • 2017
  • 본고에서는 실내공간정보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 및 서울시 등 공공분야에서 추진한 실내공간정보 구축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실내공간정보 구축기술의 현주소와 향후 실내외를 연결한 통합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실내외 공간정보 통합플랫폼 개발 사례 및 실내외 연계기준점 설치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인공위성의 추진체계 현황 및 전망

  • 이상희;이성태;이용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1a
    • /
    • pp.59-66
    • /
    • 1995
  • 인공위성의 궤도진입, 궤도수정 및 자세제어를 담당하는 추진체계는 위성의 용도와 궤도위치, 자세/궤도제어 방식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공위성 추진체계는 AKM(Apogee Kick Motor)과 단일 추진제 추력기로 구성된 "통상 추진체계"이나 최근에는 AKE(Apogee Kick Engine)과 이원 추진제추력기로 구성된 "통합 추진체계" 그리고 이와 유사한 "완전통합 추진체계", "이중 추진체계" 등이 기술적 선택방안으로 제안되어 일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추진체계의 효과적 실용화를 위해서 단일 추진제(하이드라진) 추력기의 성능향상 및 이원 추진제 엔진과 이원 추진제 추력기의 기술개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원 추진제 엔진과 이원 추진제 추력기의 기술개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