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적 재생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arseille's Euromméditerranée as an Integra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통합형 도시재생사업으로서 마르세유 유로메디테라네의 특성과 시사점)

  • Wonseok Par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1
    • /
    • pp.99-115
    • /
    • 202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Marseille's Euromméditerranée project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domestic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irst, we identify Euroméditerranée as a pivotal urban regeneration effort, executed by EPAEM-an organization fostering governance-driven project advancement through collaboration and investment from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is endeavor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revitalizing Marseille, enriching the quality of life for its residents. Second, this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the following notable features: consolidated approach with combination of full re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integrated regeneration covering hardware-like physical regeneration and software-like 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al regeneration; government-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tructure. Finally, we suggest that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the economic scal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national-level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efficient public-private partnerships.

A Study on the Governanc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t Waterfront Areas in Korea (한국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의 거버넌스 연구)

  • Lee, Yoo Kyung;Lee, Se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26
    • /
    • 2019
  •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 정부가 선정한 다수의 도시재생사업 중 수변공간 관련 사업을 선별하여 세부내용을 살펴보고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의 거버넌스 특성을 분석한다. 도시재생사업에서 거버넌스는 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협업을 통한 민간 커뮤니티의 역할과 주민참여는 더욱 중요한 비중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Tallon(2013)의 도시재생 거버넌스 네 가지 형태-관주도(top-down), 주민주도(bottom-up), 시장주도(market-led), 지주주도(property-led) 재생을 기준으로 도시재생사업 활성화계획의 세부내용을 분석한다.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및 시행단계에서 거버넌스의 역할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수변공간을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 총 20개의 도시재생사업이 도심 내 하천변과 해안가를 활용하여 추진되고 있었다. 구체적인 사업의 형태로는 (1) 생태하천복원, (2) 역사문화자원을 연계한 수변관광지 개발, (3) 수변네트워크 녹지 산책로 조성 (4) 항구 기반 수변도시개발 및 도심재생, (5) 섬의 이점을 활용한 수변경관사업, (6) 조선업 침체지역재생 등이 있었다. 한국의 수변공간 도시재생사업은 가장 일반적인 도시재생방식인 '관주도'로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지역의 권한과 역할을 강화하고자 하는 노력은 우선시되고 있었다. 또한, 관계부처 및 공공기관과의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었다. 특히, 부산시 영도구와 경상남도 통영시의 도시재생사업에서 협업의 노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을만들기'와 같은 주민주도의 도시재생방식은 '주민참여협의체'를 통하여 일부 반영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서울시 도봉 노원구, 인천시 부평구, 경상남도 김해시, 부산시 영도구 등이 해당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통한 주민주도 도시재생 거버넌스를 구축하는데는 부족함을 보였다. 더불어 민간투자를 유치하는 시장주도의 도시재생 접근은 찾아볼 수 없었다. 도시재생사업의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특성을 고려했을 때, 안정적인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PDF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declining area - Focusing on the declining area in Daejeon - (쇠퇴지역의 유형에 따른 도시재생사업의 평가 - 대전광역시 쇠퇴지역을 중심으로 -)

  • Park, So-Yeon;Oh, Deog-S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7
    • /
    • pp.4984-4991
    • /
    • 2015
  • This study derives the city's declining area by the type, and evaluate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o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lanning factors. And assess wheth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suitable for declining aspect of area. Application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lan factors of 19 declining areas is found to be less than 'normal'. This showed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not being actively enforced. All areas except hoedeokdong have been estimated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id not enforce the corresponding type on the decline, it still showed that concentrated on the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Excavation of social, economic regeneration projects that can respond to the type of decline and integrated, ongoing urban regeneration efforts are needed.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ew & Renewable Energy Resources (신재생에너지 자원별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Choi, Young-Moon;Lim, Jung-Yeol;Cha, In-Su;Park, Se-J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06a
    • /
    • pp.94-96
    • /
    • 2008
  • 신 재생에너지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 에너지 절약 및 대체기술, 대기환경 평가 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자원의 표준데이터 작업이 요구되며, 장기간에 걸쳐 데이터를 꾸준한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앞서 본 연구에 의해 얻어지는 지역별/자원별 데이터를 토대로 관련 기술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자료의 측정 수집 및 전송은 물론 방대한 데이터가 보다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IT기술 접목을 통한 다양한 응용시스템 및 에너지원 발굴의 기반환경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신 재생에너지 이용 발전 시스템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 신 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 최적 운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지역별 신 재생에너지 통합관리 운영 시스템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tegrative Regeneration Plan of Traditional Market : The Case of the Namhang-Market's Development Plan of the Cultural-Tourism Market in Yeongdo-gu, Busan (전통시장의 통합적 재생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시장의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을 대상으로)

  • Jung, Young-Min;Oh, Kwang-Sue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2
    • /
    • pp.394-40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cultivating and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 through Busan Yeongdo-gu Namhang-Market, cultural-tourism market type. The study's result shows culture-tourism market should establish integrated regeneration plans to satisfy residents, traders, and tourists with the security of public facilities considering local franchise specializing street, open space, and living area.

A Study on networks integration management of generated output data by new & renewable energy (신.재생에너지 출력 데이터의 네트워크 통합 관리에 관한 연구)

  • Yoon, J.P.;Cha, I.S.;Lim, J.L.;Lee, J.I.;Cho, G.B.;Moon, C.J.;Kim, E.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251-1252
    • /
    • 2007
  • 유류비용의 증가, 환경보존, 기존 에너지원의 분산전원으로서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연구, 개발, 보급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신재생에너지원에서 발생되는 출력 및 발전환경에 대한 관리 기법의 중요성은 나날히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의 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새로운 방식을 제안함으로서 신재생에너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합관리 기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관리 툴의 프로그래밍을 위해 NI사의 LabVIEW S/W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데이터 수집을 위해 DAQ와 측정 트랜듀서를 사용하였다.

  • PDF

(Regeneration Study Using the Earthworm) (지렁이를 모델로 한 재생연구)

  • 박순철
    • The Zoological Society Korea : Newsletter
    • /
    • v.18 no.1
    • /
    • pp.49-54
    • /
    • 2001
  • 재생에 관한 연구는 정상적인 발생 및 분화의 기작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연구모델이며 재생의 기작을 규명함으로써 재생의 능력이 없는 동물에 이를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렁이는 재생연구의 대상동물로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는데 특히 뇌, 심장 등과 같은 중추기관의 재생을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라고 사료된다. 현재 지렁이에 관한 연구는 여러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재생아세포의 기원, 재생시 발현이 촉진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특성, Hox 유전자의 발현양상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PDF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Chung, Jae-Hee
    • Korean Architects
    • /
    • s.515
    • /
    • pp.72-76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서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세번째 사례로 Transbay Transit Center Master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Chung, Jae-Hee
    • Korean Architects
    • /
    • s.517
    • /
    • pp.68-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는 마지막 완결편으로 지금까지 4회 연재한 사례들에 대한 시사점을 종합하고자 한다.

  • PDF

Toward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ocused on the Green City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를 지향하며 (미국의 녹색도시와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Chung, Jae-Hee
    • Korean Architects
    • /
    • s.514
    • /
    • pp.68-71
    • /
    • 2012
  • 미국에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친환경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친환경 설계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호에서는 두번째 사례로 Parkmerced Vision Plan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