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적 개입방법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yncML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Devices (이동 단말을 위한 SyncML 기반 응용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rk, Ji-Eun;Kim, Sang-Wook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8 no.1
    • /
    • pp.62-7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n that users can use mobile device applications more easily and efficiently through MoDAM (Mobile Device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 MoDAM automates the process of web retrieval for obtain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and the process of installing or updating it on mobile devices and then supply users with these automated services in a step form by combining two separated processes. We implement a web agent conforming to OSD (Open Software Description) specification for automating software retrieval and downloading and also a mobile device based software management module conforming to SyncML (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 specification for synchronizing common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The method of automated software retrieval and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using these standard specifications minimizes users' interrupts and also can be applied to traditional several different mobile devices, operating systems or downloading web sites without platform dependent considerations.

The Lived Experiences of Supported Housing among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정신장애인의 체험홈 이용경험에 관한 연구)

  • Koo, Chun Young;Kim, Mi Young;Koo, Jin H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2
    • /
    • pp.1-1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lived experiences of utilizing supported housing among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9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September, 2016 to March, 2018. Transcribed data from audio recordings on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Colaizzi method. 6 clustered themes consisting of 17 sub-themes emerged through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and they include the following: 1) Confusion at site daily residence; 2) Feeling relaxed in supported housing site; 3) Development in self-perception; 4) Undertaking a leading role; 5) Growing capacity for independent living; and 6) Integration into normal lif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expanding supported housing and improving its quality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re needed. Additionally, the field of mental health need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 managers with expertise in dealing with people suffering from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their recovery.

A Study on the Initial Motherhood Experiences of Non-married Mothers who Decided to Raise Their Babies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y- (양육 결정 미혼모의 초기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 Lim, Hae young;Lee, Hyuk k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5 no.3
    • /
    • pp.35-6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nitial motherhood experience of non-married mothers who decided to raise their babies. We applied Rennie's hermeneutic grounded theory for this study in which 7 non-married mothers participated. 9 hermeneutic categories which are 'decision to give birth', 'feeling of hitting bottom', 'ambivalence toward a life in stomach', 'realization of motherhood', 'motherhood anxiety', 'the bridle of social tag', 'hope of motherhood', 'encounter with new self' and 'visage of weary life' were constructed based on 145 meaning units, 34 subordinate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that integrates motherhood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as postulated as living with two conflicting visages of motherhood which are a cure and a poison at the same time. Motherhood experience processes were emerged in five stages which are decision to give birth, psychological frustration, realization of motherhood, confusion, and hope and discouragement of motherhood. Three types of motherhood experience were analyzed in the study which are adaptative, conflictive, and resista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motherhood experience of non-married mother who decided to raise their babies are the process of emergence of new identity called mother. The non-married mothers formed their motherhood identities as they internalize socioculturally granted motherhood ideology. Moreover, the gap between socially oriented motherhood and realistic role of motherhood led to confusion.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intervention plans to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at will support initial motherhood of non-married mothers who decided to keep their babies.

A Meta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죽음준비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 Kim, Sin Hay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8 no.3
    • /
    • pp.196-207
    • /
    • 2015
  • Purpose: We comprehensively analyzed domestic studies on th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order to present objective data. Methods: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2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14. Results: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ad a mid-size effect. The effect size of a moderator variable was the greatest in infants and children, and the effect size was bigger in younger ages. The effect size was the greatest when education was given through a total of 10~15 sessions, twice a week, and less than 60 minutes per session. The effect variable and death-related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ize, and sub-variables were equivalent to the death-related variable with a biggest effect size. Non-death related variables had a mid-level effect size and sub-variable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ego integrity.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ts systematic integration of advanced research on th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rough meta-analysis. By suggesting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evidence-based basic data were proposed which will more likely strengthen intervention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more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and extensively carry out a death preparation program which can meet needs of specific age groups from children to seniors.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ale Immigrant Workers' Lives after Undergoing the Industrial Accidents (남성 이주노동자의 산업재해 후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Ro, Ji hy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8 no.1
    • /
    • pp.23-52
    • /
    • 2016
  •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eaning and essence of male immigrant workers' life who underwent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Van Manen(1990)'s lived experience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actively describes the experiences about the industrial accidents in the perspective of male immigrant worker.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 thirteen male immigrant workers participants who underwent the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the interview, 121 meaning units and 38 disclosed themes were constructed. The following is the summarized results as 9 essential themes: < the oppression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s hospitals to the aliens >, < being treated like the surplus man who lost the labor force >, < the class rank below despite undergoing the industrial accidents >, < survival having resistance sentiments >, < living at the anonymous lands as the Homo sacer >, < the stratified strategies between the immigrant workers >, < the origins as the bodiless shadow >, < struggling to escape the present conditions >, < present circumstances tied by the past experiences without hope >, researcher sought the essential meaning structure about the four Life-world Existentials (Body, The other, Space and Time) of constructing human's live-world. Based on the study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restore the male immigrant workers' damaged quality of their lives who experienced industrial accidents and to contribute the social integration in view of the social welfare.

  • PDF

The Status of Managing Posttraumatic Stress in Life Manager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Focusing on Employees in Seoul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 실태와 개선 방안: 서울 지역 종사자를 중심으로)

  • Kim, Keun-Hong;Yang, Jae-seok;Lee, Gyeong-jin;Kim, Jeong-yeon
    • 한국노년학
    • /
    • v.37 no.2
    • /
    • pp.293-30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examine Life Manager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LMEPLAs) in Seoul regarding their traumatic experience and the status of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lso how they are coping with it in order to find out ways to improve it. As a study method, we investigated LMEPLAs in Seoul through a self-administered survey regarding whether they had faced any traumatic experience, types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 diagnosis on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status of their coping with trauma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186 respondents (37.57%) have been found to indicate either partial or complet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but the status of their coping with it is very poo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our discussion. First, it is needed to find out life managers suffering fro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build up a system to manage them consistently. Second, it is necessary to vitalize education about traumatic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management. Third, it is urgently needed to build up a system to support life managers who have faced any traumatic experience or been diagnosed to hav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urth, it is demanded to cultivate and arrange experts equipped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technique. Fifth, it is needed for them to build a network with medical institutes to receive a prompt diagnosis and specialized treatment.

An Oral History Study of Overseas Korean Astronomer: John D. R. Bahng's Case (한국천문연구원 원외 원로 구술사연구 - 방득룡 전임 노스웨스턴 대학교 천문학 교수 사례 -)

  • Choi, Youngsil;Seo, Yoon Kyung;Lee, Hyung M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3.4-74
    • /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은 2017년 제1차 구술채록사업에 이어 2020년 제2차 사업을 진행하면서 최초로 원외 원로에 대한 구술채록을 시도하였다. 국가 대표 천문연구의 산실로서 연구원 존재 의의를 확립하기 위하여 원내 원로에 국한되었던 구술자 대상을 확장한 것이다. 그 첫 외부 구술 대상자로 방득룡 전임 노스웨스턴 천문학과 교수를 선정하여 2020년 7월부터 준비단계에 들어갔다. 방득룡 전(前)교수가 첫 번째 한국천문연구원 원외 인사 구술자로 선정된 이유는, 그가 우리나라 천문대1호 망원경 구매 선정에 개입한 서신(1972년)이 자료로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2017년에 수행한 제1차 구술채록사업에서 구술자로 참여한 오병렬 한국천문연구원 원로가 기증한 사료들은 대부분 연구원 태동기 국립천문대 구축과 망원경 구매 관련 자료였으며 이 가운데 1972년 당시 과학기술처 김선길 진흥국장에게 Boller and Chivesns(사(社))의 반사경을 추천한 방득룡 전(前)교수의 서신은 한국 천문학 발전사에서 중요한 사료였다. 연구진은 이 자료를 시작으로, 방득룡 전(前)교수의 생존 여부와 문서고의 공기록물들에서 그의 흔적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그는 실제 세계와 한국천문연구원 문서고 깊숙이 기록물들 모두에서 상존하고 있었다. 1927년생인 방득룡 전(前)교수, Dr. John D. R.은 미국 플로리다 한 실버타운에서 건강한 정신으로 생존하여 있었고 연구진의 인터뷰에 흔쾌히 응했다. 2020년 9월 16일에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세종홀 2층 회의실에서 영상통신회의로 그와의 구술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이 구술인터뷰는 원외 인사가 대상이란 점 외에도 방법적으로는 전형적인 대면 방식이 아닌 영상 인터뷰였다는 점에서 코로나 시대의 대안이 되는 실험적 시도였다. 현대 한국천문학 발전사의 재조명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었다. 1960년대 초반부터 1992년 정년퇴임까지 30년을 미국 유수 대학교 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한 활동을 해 온 한국계 천문학자가 우리나라 최초 반사망원경 구매 선정에 적극 개입하였던 역사는, 공문서 자료들과 서신 사료들에 이어 그의 육성으로 나머지 의구심의 간극이 채워졌다. 또 구술자 개인이 주관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기억'이 중요한 아카이빙 콘텐츠 확장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구술사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관점을 주었다. 애초 연구진이 방득룡 전(前)교수의 공식 기록에서 아카이빙의 큰 줄기로 잡았던 것은 1948년 도미, 1957년 위스콘신 대학교 천문학 박사학위 취득, 1962년부터 노스웨스턴 대학(일리노이주 에반스턴)의 천문학 교수진, 1992년 은퇴로 이어진 생애였다. 그러나 그와의 구술 준비 서신 왕래와 구술을 통하여 알게 된 그가 인생에서 중요시 여겼던 지점은, 1948년 도미 무렵 한국의 전쟁 전 상황과 당시 비슷한 시기에 유학한 한국 천문학자들의 동태, 그리고 1957년부터 1962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M. Schwarzschild 교수와 L. Spitzer 교수를 보조하며 Stratoscope Project를 연구하였던 경험이었다. 기록학적 의미에서도, 전자를 통해서 그와 함께 동시대 한국 천문학을 이끌었던 인재들의 맥락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후자를 통해서는 세계 천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석학에 대한 아카이브 정보와의 연계 지점과 방득룡 전(前)교수의 연구 근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들은 추후 방득룡 콘텐츠 서비스 시에 AIP, NASM, Lyman Spitzer 콘텐츠, 평양천문대, 화천조경천문대, 서울대와 연세대, 그리고 한국천문연구원까지 연계되어 전 세계 폭넓은 이용자들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검색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번 방득룡 구술사 연구에서 구술자 개인의 주관적인 소회가 공식 기록이 다가갈 수 없는 역사적 실체에 일정 부분 가까울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하여 개인의 역사는 공동체의 역사로 확장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연구진은 방득룡 전(前)교수의 회상을 통하여 구술자 개인의 시각으로 한국과 미국 천문학계의 공동체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었고, 이것을 아카이브 콘텐츠 확장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무엇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주제의 아카이브로 연동될 수 있는 주제어와 검색도구를 구술자 개인의 회상으로부터 유효하게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향후 한국천문 구술아카이브의 확장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활용과 연구 재활용의 선순환이 가능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는 최근 기록학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LOD(Linked Open Data)의 방향성과도 흡사하여 한국천문학 구술사연구의 차세대 통합형 기록관리의 미래모형을 기대케 하는 대목이다.

  • PDF

Role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Nurse-Educators (미래 간호교육자의 역할과 이를 위한 준비)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39-49
    • /
    • 1981
  • 기존 간호 영역 내 간호는 질적으로,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관리체계가 부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건강관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어 수준 높은 양질의 건강관리를 전체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혹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는다고 해도 이들 역시 보다 더 양질의 인간적인 간호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는 또한 간호영역 자체 내에서도 급격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같은 선진국가의 건강간호사(Nurse practitioner)는 간호전문직의 새로운 직종으로 건강관리체계에서 독자적인 실무자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의사의 심한 부족난으로 고심하는 발전도상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간호원들에게 전통적인 간호기능 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에서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하며 일선지방의 건강센터(Health center) 직종에 많은 간호원을 투입하고 있다. 가령 우리 한국정부에서 최근에 시도한 무의촌지역에서 졸업간호원들이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법적 조치는 이러한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간호영역내외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Melvin Toffler가 말한 대로 ''미래의 충격''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는 간호전문직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던져준다. 첫째,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새로운 영역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길러내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셋째 내일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1.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미래의 간호원은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것과는 판이한 환경에서 일하게 될 것이다. 1)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컴퓨터화되고 자동화된 기계 및 기구 등 새로운 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2) 1차건강관리가 대부분 간호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3) 내일의 건강관리는 소비자 주축의 것이 될 것이다. 4) 간호영역내에 많은 새로운 전문분야들이 생길 것이다. 5) 미래의 건강관리체계는 사회적인 변화와 이의 요구에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될 것이다. 6) 건강관리체계의 강조점이 의료진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뀔 것이다. 7) 건강관리체계에서의 간호원의 역할은 의료적인 진단과 치료계획의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여 병원내외에서 보다 더 독특한 실무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미래 간호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미래 간호원들은 지금까지의 간호원보다 더 광범위하고 깊은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보다 발전된 기술환경에서 전인적인 접근을 하기위해 신체과학이나 의학뿐 아니라 행동과학 $\cdot$ 경영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훈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동양상면에서 전문직인 답게 보다 진취적이고 표현적이며 자동적이고 응용과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간호원은 효과적인 의사결정자$\cdot$문제해결자$\cdot$능숙한 실무자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요구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이 요구에 효과적인 존재를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2. 미래의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은 전문직으로서의 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석이다. 이는 간호교육자야말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는 능력있는 간호원을 공급하는 일에 전무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일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선 간호교육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이 일을 수정해야 된다고 본다. 그 하나는 간호교육기관에서의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엣서이다. 우선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교육자는 1)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2) 효과적인 교과과정의 발전과 수정보완을 계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3) 잘된 교과과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철저히 시켜야 한다. 4) 간호교육자 자신이 미래의 예측된 현상을 오늘의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자신감과 창의력을 가지고 모델이 되어야 한다. 5) 연구 및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도록 해야한다.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교육자 자신들이 능력있고 신빙성있으며 간호의 이론$\cdot$실무$\cdot$연구면에 걸친 권위와 자동성$\cdot$독창성, 그리고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자질을 갖추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 3. 미래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내일의 도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논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실정을 참조하겠다. 전문직 간호교육자를 준비하는데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간호원 훈련수준을 전문직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면허를 높이는 것이고, 둘째는 훈련수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사 및 석사간호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것이며, 셋째는 현존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방법은 정부의 관할이 직접 개입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고 현존하는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고 그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미래의 여러가지 도전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자를 준비시키는 교육과정의 발전을 두가지 면에서 추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국제간의 교류를 통하여 idea 및 경험을 나눔으로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나라의 간호교육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생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연구하므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체인(chain)이 형성되는 것이다. ICN같은 국제적인 조직에 의해 이러한 모임을 시도하는 것인 가치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간 또는 국제적인 간호교육자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환은 한 나라안에서 그 idea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분한 간호교육전문가를 갖춘 간호교육기관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렇지 못한 기관과의 연차적인 conference를 가지므로 확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런 방법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그 문화상황에 적합한 교과과정 개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는 둘째전략은 현존간호교육자들이 간호이론과 실무$\cdot$연구를 통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당면하는 여러가지 요인-전인적인 간호에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고 임상실무경험의 부족등-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런 실제적인 문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 몇몇 대학에서 방학중에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직 간호교육자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임상실무교육도 이때 실시할 수 있다. 2) 대학원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입학자의 자격에 2$\~$3년의 실무경험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와 학생간의 진정한 동반자관계는 자격을 구비한 능력있는 교수의 실천적인 모델을 통하여서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고 믿는 바이다.

  • PDF

Case Studie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National Urban Park (사례로 본 한국 국가도시공원 조성 연구)

  • Choi, Hyeyoung;Seo, Young-A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0 no.2
    • /
    • pp.116-126
    • /
    • 2022
  • Although the 'Act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was revised in 2016 to provide a legal foundation for national urban parks, there was no further discussion or follow-up research for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urban parks.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s park and green space regulations and national urban park cases from across the world. It aims to analyze worldwide cases and set a course for a viable national urban park system in Korea. The importance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urban parks were evident after reviewing the cases of Japan, Sweden, Finland, and Canada, which have national urban park systems, and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hich aid city parks with national budgets. Each country determined the plans and procedures by assessing the scope of government intervention and the government's rol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tate and municip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and governance was recognized. A system was also formed in which local governme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nomination, establishment,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urban pa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equitable national development should be implemented to activate the national urban park system. Second, the national urban park should be a land management tool that may be used to balanc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Third, a specific method of securing, constructing, administering, and operating national urban parks should be supplemented by the current legislative framework amendment.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research institute is need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parks and green space systems and make appropriate decisions.

A Study on Human Rights Behavior of Korean Care Workerin Long Term Care Facilities: The Interaction Effect of Human Rights Awareness and Service Orientations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노인인권옹호행동 영향요인: 개인의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을 중심으로)

  • Kim, Min-Kyoung;Kim, Mee-Hye;Kim, Ju-Hyun;Chung, Soon-Dool
    • 한국노년학
    • /
    • v.36 no.3
    • /
    • pp.673-691
    • /
    • 2016
  • As the provision of long-term care policy takes root and with a gradual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the use of elderly care service has become a growing norm. More than ever, there exists an urgent need for a paradigm shift in the building of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care service, from the prevalent practice of 'need based service' towar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based service'. A great focus is being shed on care-workers, at the 'front line' of advocating human rights, as their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ur is seen as a key variable in providing high quality care service for elde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are-workers' individual human rights awareness levels, and the influence of their respective organizations, a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 their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ur. The study inclu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regulatory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service orientation?) on an organizational level, human rights awareness (individual level) and the service environment (organizational). The analysis sample consisted of 782 registered non-profit corpor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ll over the country in 2014. The findings of the thesis suggest that human rights awareness at individual level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r. The interaction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service orientations was also found to influence human rights advocacy on a significant level. Both human rights awareness at individual level and service orientations at organizational level were thus determined as key variables for improving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care worker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